$\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류 브랜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 수준과 소비자의 기대 수준
Apparel Brands' Implementation and Customers' Expectation of Mass Customiza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5 = no.164, 2007년, pp.753 - 764  

양희순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arel goods can be customer-oriented in the extreme and the apparel industry is one of the most customer-centered industries that should maximize customers' satisfaction. Recently, mass customization, a customer-centered system is widely discussed in the apparel industry to provide consumer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ine(1993)이 제시한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5가지 단계론을 바탕으로 의류 브랜드에서 실행할 수 있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단계의 특징을 파악하고, 의류 브랜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 수준과 소비자들의 기대 수준을 비교하여 세분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다양화되고 개성화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의류 브랜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전략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아직까지는 의류학 분야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소비자의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으로 나아가는 기업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요인분석한 결과 4가지 요인을 대량 고객 맞춤화 전략, 신속 대응 전략, 고객 접점 고객화 전략, 개인화 서비스 전략으로 명명하였고, 고객 맞춤화 전략은 2단계와 5단계가 포함되며, 신속 대응 전략은 4단계, 고객 접점 고객화 전략은 3단계, 개인화 서비스 전략은 1단계가 해당된다. 이러한 4가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 전략이 의류 브랜드 특성 즉, 제품범주, 매출액 규모, 생산물량비, 제품의 패션성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제품 범주별로 보면 대 량 고객 맞춤화 전략은 남성복 브랜드가 가장 잘 실행하고 있고, 신속 대응 전략은 캐주얼 브랜드가 잘 실행하고 있으며 여성복 정장,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고은주. (1999). QR 도입업체와 미도입업체간에 QR 요소의 수준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3(5), 645-653 

  2. 고은주, 강희정. (1999). 한국형 신속대응 시스템 모델 개발 에 관한 연구 (제1보)-도입현황과 도입관련 요인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1052-1063 

  3. 고은주, 김재욱. (1996). 신속대응 시스템 현황과 향후 연구 방향. 로지스틱스 연구, 4(1), 1-24 

  4. 김상무. (2004). 한국패션 브랜드연감 2004. 서울: 어패럴 뉴스사 

  5. 김세희. (2003). 의복 쇼핑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윤상. (2002). 운영시스템관리 서울: 박영사 

  7. 김윤희 (2002). 패션산업의 디지털화. 한국과학재단 Tech Report 2002-7 

  8. 김은영. (2004) 의류 브랜드의 해외 소장과 SCM 도입 수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익성 (2003).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하의 글로벌 생산전략,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경영논총, 21(1), 75-93 

  10. 박진아 (2003) 대량 맞춤화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삼성경제연구소. (2003, 8. 27). 대량맞춤의 대두와 기업의 대응 CEO information 415 

  12. 삼성경제연구소. (2003, 10. 22). 제조기술 기반의 원가 경쟁력 강화방안 CEO information 422 

  13. 이순철, 유순안. (2000). 디지털 경제 시대 도래에 따른 E-Transformation과 E-Business/인터넷 마케팅: 효과적인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전략: 한국기업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97-306 

  14. 이순철. (1996). 정보화시대의 신경영. 서울: 청양출판 

  15. 이원준, 김태웅. (2001). e-business 의 관점에서 본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한국생산관리연구화, 12(1), 109-130 

  16. 이유리. (2004a) 의류 상품화 과정에서 패션 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 (제1보): 패션과 베이직 제품의 개념. 한국의류학회지, 28(2), 280-291 

  17. 이유리. (2004b). 의류 상품화 과정에서 패션 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제2보): 기획, 생산, 판매 과정, 한국의류학회지, 28(7),904-915 

  18. 임경복. (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 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1321-1331 

  19. 정인희. (2003). 패션 기업의 CRM에 대한 고객반응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 1060-1071 

  20. 정은숙. (2004). 패션업계의 Mass Customization 전략. 삼성 디자인넷 보고서 

  21. Anderson-Connell, L. J., Ulrich, P. V., & Brannon, E. L. (2002). A conswner-driven model for mass customization in the apparel market.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6(3), 240-258 

  22. Choy, R. & Loker, S. (2004), Mass customization of wedding gowns: Design involvement on the internet.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22(1/2), 79-87 

  23. Davis, S. (1987). Future perfect. Reading: Addison-Wesley 

  24. Feitzinger, E. & Lee, H. (1997). Mass customization at Hewlett-Packard: The power of postpon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Jan.-Feb., 116-121 

  25. Fiore, A. M, Lee, S., Kunz, G., & Campbell, J. R. (2001). Relationships between optimwn stimulation level and willingness to use mass customization option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5(2), 99-107 

  26. Hawkins, D. L., Best, R. J., & Coney, R. A. (1989). Consumer behavior (4th ed.). Homewood, II.: Irwin 

  27.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and lifestyle on shopping orient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 of Alkansa 

  28. Pine, B. (1993). Mass customization: the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9. Ulrich, P. V., Anderson-Connell, L. J., & Wu, W. (2003). Conswner co-design of apparel for mass customizatio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7(4), 398-4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