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脫)신체적 패션 디자인에 관한 고찰 - 몸과 유리된 고정 공간의 형성을 중심으로 -
Transfiguration in Fashion Design - Focused on Stationary Space Isolated from the Body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4 = no.113, 2007년, pp.70 - 80  

임은혁 (SADI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thes and human body are inseparably related.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body determines the form of clothing, reflecting the time and culture as well as the individual and society. Clothes can even reorganize the meaning of the body, while transcending their instrumental functions of prot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몸-복식의 역의 모호성은 패션의 과정을 가속화하며, 몸의 경계는 자기의 경험과 복식을 통한 자기 경험의 표현 사이의 접점을 나타낸다.9)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식확장의 장으로서의 몸의 개념을 토대로 하여 복식을 몸의 확장으로 보고, 몸과 복식을 상호 매체적인 하나의 개념으로 간주하여 고찰하도록 한다.
  • 분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복식과 몸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불완전한 몸을 받아들이는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나타난 탈신체화의 개념을 밝히고 그 조형적 특징과 미적가치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기존의 복식뿐 아니라 새로운 복식형태와 이미지 를 분석하는 틀을 정립하고자 한다.
  • 자인히 각 인체 부위에 해당하는 복식 부분은 서로 구는되지 않을 뿐 아니라 각 부위의 전통적인 상징성과는 일치하지 않게 되며, 전체적인 복식의 실루엣을 중심으로 은유적이거나 추상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인체와 유리되어 고정된 공간을 형성하는 건축적 특징을 나타내는 복식을 탈신체적 디자인이라 정의하고 그 조형적 특징과 미적 가치를 고찰하고자 한다.
  • 이차적 모형의 형태는 착용자에게 사회적이고 동시에 개인적인 메시지를 조직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적 모형인 복식이 몸의 신체적 특징과는 무관하게 복식 그 자체로 고정된 공간으로 표현되는 탈신체화 현상을 탈신체적 패션디자인의 개념적 근거로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체와 유리되어 고정된 공간을 형성하는 탈(脫신)체적 디자인의 복식을 몸과의 관계에서 분석하고, 신체행위(bodily practice)로서의 복식 개념을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틀로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탈신체적 패션 디자인의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복식과 몸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불완전한 몸을 받아들이는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나타난 탈신체화의 개념을 밝히고 그 조형적 특징과 미적가치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기존의 복식뿐 아니라 새로운 복식형태와 이미지 를 분석하는 틀을 정립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탈신체적 디자인의 조형성을 조형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형태의 구체성과 추상성을 중심으로, 인공적 혹은 자연적 형상을 상징하는 모조물을 통해 사물의 형태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은유적 조형성과 실재하는 어떠한 형상과도 연관을 갖지 않는 추상적인 조형으로 제시되는 추상적 공간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탈신체화를 몸의 형태를 변형하는 것에서 나아가 형태를 넘어서기를 시도하는 단계로 분석하였다. 몸의 형태와 아무런 관계를 갖지 않는 조형물로써 몸의 부재를 상징하는 탈신체적 복식은 몸의 어떠한 사실성과도 무관한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식의 형태 분석을 위해 '몸' 이라는 해석기준을 선택하여 복식에 표현된 탈신체적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과 미적가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순히 아방가르드나 오트 쿠튀르 패션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탈신체적 디자인의 특징을 규명하는 새로운 시각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인간은 복식을 통해 끊임없이 몸의 부분을 드러내고 감추는 새토운 방식을 찾아서 몸을 가시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식은 몸을 보는 시각을 드러내며, 몸이 새로운 미학의 영역으로 진입하는 방식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탈 신체적 디자인을 미학적 관점을 통해 고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한다. 첫째, 복식과 몸에 관한 개념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탈 신체적 패션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복식에 나타난 탈신체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행한다.
  • 이를 통해, 단순히 아방가르드나 오트 쿠튀르 패션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탈신체적 디자인의 특징을 규명하는 새로운 시각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의복은 몸을 표출함으로써, 영혼도 동시에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복식을 몸에 관련하여 고찰하여 복식이 움직이는, 현상적인 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oach & Eicher (1973). The Visible Self Perspective on dress. Prentice-Hall. p. 1 

  2.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pp. 4-15 

  3. Boyne, Roy & Rattansi, Ali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 김보현.신명아(역), 한신문화사,p. 262 

  4. 김민자 (2004). 복식미학강의 2. 교문사, pp. 80-9 

  5. 피종호(편) (2004). 몸의 위기. 까치,p. 50 

  6. Bell, Quentin (1976). On Human Finery. Hogarth Press,p. 19 

  7. Fukai, Akiko (2005). Visions of the body 2005. 전시 카탈로그, 서울시립미술관, p. 114 

  8. Boultwood, Anne & Jerrard, Robert (2000). Ambivalence, and its relation to fashion and the body. Fashion theory, 4(3), UK: Berg,pp. 314-315 

  9. Boultwood, Anne & Jerrard, Robert (2000). Ambivalence, and its relation to fashion and the body. Fashion theory, 4(3), UK: Berg, p. 302 

  10. Derycke, Luc & Van de Veire Sandra (eds.) (1999). Belgian Fashion Design. Amsterdam: Ludion, p 9 

  11. Quinn, Bradley (2003). The Fashion of Architecture. Oxford: Berg, p. 209 

  12. 월간미술(편) (1999).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p. 187 

  13.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8 

  14.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68 

  15. Milbank,C. R. (1985). Couture, The Great Designers. New York: Stewart, Tabori and Chang, pp. 8-9 

  16. 김은희.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58 

  17. Derycke, Luc & Van de Veire, Sandra (eds.) (1999). Belgian Fashion Design. Amsterdam: Ludion, p. 104 

  18. Steele, Valerie (1997). Fifty Years of Fashion: New Look to Now.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p. 163에서 재인용 

  19. Koda, Harold (2001). Extreme beauty: The Body Transformed,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91 

  20. Koda, Harold (2001). Extreme beauty: The Body Transformed,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41 

  21. Koda, Harold (2001). Extreme beauty: The Body Transformed,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89 

  22. 장애란. Hussein Chalayan의 실험적 디자인. 복식52(5), p. 94에서 재인용 

  23. Arnheim, Rudolf (1982).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역), 홍성사, p. 14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