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6, 2007년, pp.759 - 765  

김경선 (한국식품연구원) ,  박재복 (한국식품연구원) ,  김선아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의 화학적 품질을 분석하여 매운맛과 색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의 제품화를 위해 고추장에 응용함으로써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YW213은 ASTA 색상값이 $212.71{\pm}2.38$, YW211은 매운맛 함량이 $271.67{\pm}25.10mg/100g$으로 매우 높은 특성을 보였다. YW211과 YW213을 첨가하여 매운맛과 색상을 조절한 고춧가루로 제조한 고추장의 발효에 따른 품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YY는 색상이 우수하나 매운 맛 함량이 $3.98{\pm}0.24mg/100g$으로 매우 낮은 특성으로 YW211을 비율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결과, YY+30% YW211 는 매운맛 $52.61{\pm}8.62mg/100g$으로 매운맛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줬다. ASTA 색상값은 YY+20% YW211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색상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R 시료는 매운맛 함량이 높고 색택 또한 우수한 시료로 고추장 제조에 적합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W213을 첨가하여 성분특성을 분석한 결과, ASTA 색상값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R+30% YW213 첨가구에서 $130.01{\pm}1.31$로 높은 색소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운맛 함량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YW211, YW213 첨가 고추장의 pH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반면,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YW211,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pH는 높았으며 90일 경과후의 pH는 $4.7{\sim}4.9$로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YW211, YW213 첨가 고추장 모두 숙성 6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90일에는 소량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숙성초기에 YY에 YW211을 첨가한 고추장이 급격히 증가하여 30일경까지 최고수준에 달하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emical properties of single.harvested pepper (YW211, YW213),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kochujang quality by the addition of single-harvested peppers. Capsaicinoids content of YW211 was $271.65{\pm}25.10mg/100g$ and ASTA color value of YW2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 매운맛과 색상 특성이 우수한 일시 수확 형 고추를 상용되는 고추와 혼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성을 분석해봄으로써 일시 수확형 고추의 고추장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eong YJ, Seo JY, Lee GD, Lee MH, Yoon SR. 2000.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pple and persimmo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75-581 

  2. Kang DI. 2006. A food distribution yearbook. Food Journal, Seoul. Vol 1, p 293-302 

  3. Cho HO, Park SA, Kim JG. 1981. Effects of traditional and improved kochujang koji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19-327 

  4. Lee KH, Lee MS, Park SO. 1976.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s influencing on Korea native kochuzang (red pepper soybean paste) aging. J Korean Agric Chem Soc 19: 82-92 

  5.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7-912 

  6. Ahn CW, Sung NK. 1987.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microorganism during the fermentation of Korean ordinary kochujang. J Korean Soc Food Nutr 16: 35-39 

  7. Kim KH, Bae JS, Lee TK. 1996. Studies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repared with grain and flour of glutinous rice. J Korean Agric Chem Soc 29: 227-236 

  8. Park CH, Lee SK, Shin BK. 1986. Effects of wheat flour and glutinous rice on quality of kochujang. J Korean Agric Chem Soc 29: 375-380 

  9. Oh HI, Park JM. 1997. Changes in quality char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66-1174 

  10. Oh HI, Park JM.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58-1165 

  11.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12. Kim YS, Oh HI, Shin DH. 1997.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24-933 

  13. Ahn CW, Sung NK. 1988. Identific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Korean ordinary kochujang inoculated with Bacillus sp. and Saccharomyces sp. J Korean Soc Food Nutr 17: 1-5 

  14. Kim YS, Oh HI. 1993.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94-501 

  15. Park JS, Lee TS, Woo KH, Ahn SM, Noh BS. 1993. Study on the preparation of kochujang with addition of fruit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98-104 

  16. Lee KS, Kim DH. 1985. Trial manufacture of low-salted kochujang (red pepper soybean paste) by the addition of alcohol.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146-154 

  17.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Ryu CH. 1999.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red ginseng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6-772 

  18.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19. Chung KM, Kwon SK, Hwang JM. 2002.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28-131 

  20. Chung KM, Hwang JM. 2002.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by harvest time and fruit grad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19-923 

  21. Chung KM, Hwang JM. 2003.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29-333 

  22.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15-620 

  23. Kim S, Koo HJ, Kim KS, Park JB. 2006.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flakes and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2-21 

  24. Lee SM, Lim IJ, Yoo BS. 2003. Effect of mixing ratio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4-51 

  2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Washington, DC, USA 

  26. ASTA. 1986. Official Analytical Method. 2nd ed.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Analytical Method 20-1. Englewood Cliffs, NJ, USA 

  27. Vincent KA, Ken AB. 1987. Rapid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35: 777-779 

  28.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88-594 

  29.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30. SAS Institute, Inc. 1996.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5th ed. Cary, NC, USA 

  31. Lee SM, Kim SN, Park JB, Hwang IK. 2005. Prediction of chemical compositions for on line quality measurement of red pepper powder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Food Sci Biotechnol 14: 280-285 

  32. Korea industrial standard KS H 2157. 1998. Quality standard of red pepper powder. Korean Standard Association 

  33.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2-156 

  34. Shin DH, Kim DH, Choi U, Lim EK, Lim MS. 1996.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35. Shin DB, Park WM, Yi OS, Koo MS, Ching KS. 1994.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red pepper soybean paste). Korea J Food Sci Technol 26: 300-304 

  36. Kim HS, Lee KY,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95-600 

  37. Park JM, Lee SS, Oh HI. 1995.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8: 184-191 

  38. Choi JY, Lee TS, Noh BS.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meju and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