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귤 농축액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Concentra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6 = no.202, 2008년, pp.626 - 632  

채인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효선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양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민화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상필 (한국식품연구원) ,  신동범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 고추장의 기호성과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귤 농축액을 3, 6, 9% 첨가한 전통 고추장을 만들고 숙성과정 중의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숙성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함량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pH는 숙성 10주까지는 감소하다 그 이후 약간 증가한 반면 적정산도는 10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감귤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6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감귤 농축액 첨가 고추장에서가 더 많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고추장의 색은 감귤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약간 밝아졌으나 숙성과 더불어 L, a, b 값은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총 균수는 숙성 12주 동안 큰 변화가 없이 $1.0{\times}10^7-6.8{\times}10^7CFU/g$정도를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효모는 숙성 6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약간의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감귤 농축액의 첨가로 고추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태 질소와 환원당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고추장의 색도 밝아져 고추장의 품질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6%의 감귤 농축액 첨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kochujang,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ere assessed when different quantities of citrus concentrate were added during ferment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kochujang increased throughout the entire fermen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감귤 농축액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으며, 숙성시키면서 감귤 농축액의 첨가가 고추장의 주요 풍미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감귤 농축액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와 비교하여 그 품질 특성을 알아봄으로서, 고추장의 품질과 기호성이 향상된 전통감귤 고추장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장이란 무엇인가? 이들 발효식품은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어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중요한 식품의 하나가 되어왔다(1). 이중 고추장은 찹쌀, 밀, 대두 및 고춧가루 등을 주원료로 하고 국(koji), 소금 등을 섞어 발효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2)으로 간장 및 된장과 더불어 옛날부터 그 독특한 맛과 기호성 때문에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조미식품 중 하나이다.
고추장의 매운맛 성분은 무엇인가? 고추장의 양조과정 중 전분의 분해로 생성되는 당분의 단맛과 단백질에서 유래되는 아미노산의 구수한 맛, 고춧가루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풍미를 형성하며 고추장의 숙성기간 중 생육하는 효모나 젖산균의 작용으로 생성된 알코올과 유기산에 의해 고추장 특유의 향기와 맛이 생겨난다(3,4). 또한 고추장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trans-8-methylN-vanillyl-6-nonenamide)은 혈중 지질 및 항산화성 비타민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5,6) 된장과 비슷한 수준의 항암효과가 고추장에도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7)도 있어 고추장의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추장의 전분질원으로 무엇이 사용되는가? 고추장은 된장과는 달리 콩과 쌀을 적당한 비율로 섞어 만든 메주와 함께 전분질 원료에 엿기름, 고춧가루, 소금 등을 섞어 발효시키는데 일정한 기준의 제법이 없이 제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분질원으로 찹쌀을 주로 사용하나 특징적으로 보리와 밀을 사용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JW, Kim YS, Jeong PH, Kim HE, Shin D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ood Hyg. Safety 21: 223-230 (2006) 

  2. Cho HO, Kim JG, Lee HJ, Kang JH, Lee TS. 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j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J. Korean Agr. Chem. Soc. 24: 21-28 (1981) 

  3.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7-912 (1997) 

  4. Shin DH, Kim DH, Choi U, Lim EK, Lim MS.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1996) 

  5. Yu RN. Effect of dietary hot red peper powder on humoral immune response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4: 837-842 (1995) 

  6. Yu RN, Kim JM, Han JS, Kim BS, Lee SH, Kim MH, Cho SH. Effects of hot taste preference on food intake pattern serum lipid and antioxidative vitamin levels in Kore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 338-345 (1996) 

  7. Kim MS, Kim IW, Oh JA, Shin DH. Effect of different koji and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96-205 (1999) 

  8. Lee GD, Jeong YJ. Optimization on organeoleptic properties of kochujang with addition of persimmon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132-1136 (1998) 

  9. Park JS, Lee TS, Kye HW, Ahn SM, Noh BS. Study on the preparation of kochujang with addition of fruit juice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ol. 25: 98-104 (1993) 

  10. Kim YS, Song GS. Characteristics of kiwifruit-added traditional kochujang. J. Food Sci. Technol. 34: 1091-1097 (2002) 

  11.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fermented with maesil (Prunus mune) powder or concentrate. Korean J. Food Preserv. 14: 378-384 (2007) 

  12. Carrol KK, Kurowska, FM, Cuthrre N. Use of citrus limonoids and flavonoids as well as tocotrienol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International Patent WO 9916167 (1999) 

  13. Mayer A, Yi O, Pearson D, Waterhouse AL, Frankel E. Inhibi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s oxidation in relation to phenolic antooxidants in grapes. J. Agr. Food Chem. 43: 1838-1843 (1986) 

  14. Monforte MT, Trovato A, Kirjavainen S, Forestieri AM, Galat. EM, Lo Curto RB. Biological effects of hesperidin, a Citrus flavonoid (note II) Hypolipidemic activity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olemia in rat. Farmaco 50: 595-599 (1995) 

  15. Rousff RL, Martin SF, Youtsey CO. Qualitative survey of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citrus. J. Agr. Food Chem. 35: 1027-1030 (1987) 

  16. Cha JY, Kim SY, Jeong SJ, Cho YS.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ine on lipid concentration in orotic acid treated mice. Korean J. Life Sci. 9: 389-394 (1999) 

  17.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tandard Collection of Traditional Food. pp. 90-97 (Standard number T014-1993). Seoul, Korea (1999) 

  18.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19. National Miso Technocal Federation. Standard Miso analysis, pp.1-34. Pyung Chang Dang, Tokyo, Japan (1968) 

  20. Kim DH, Lee JS. Effect of condi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53-360 (2001) 

  21. Choo JJ, Shin HJ.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y of pumpkin-added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51-859 (2000) 

  22. Kim DH, Ahn BY, Park BH. Effect of Lycium chinense frui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J. Food Sci. Technol. 35: 461-469 (2003) 

  23. Kwon YM, Kim DH. Effects of sea tangle and chitosa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Nutr. 31: 977-985 (2002) 

  24. Kim HS, Lee KY, Lee HG, Han O, Chang UJ. Studies on the extention of shelf-life of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6: 595-600 (1997) 

  25. Shin DB, Park WM, Yi OS, Koo MS, Chung KS.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red peper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00-304 (1994) 

  26.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elf-life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6: 588-594 (1997) 

  27. Bang HY, Park MH, Kim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2004) 

  28. Park WP. Quality changes of kochujang made of rice flour and rice starch syrup during aga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25 (2004) 

  29. Kwon DJ, Jung JW, Kim JH, Park JH. Studies on estabilishment of optimal ag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J. Korean Agr. Chem. Soc. 39: 127-133 (1996) 

  30. Ahn CW, Sung NK.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microorganism during the fermentation of Korean ordinary kochujang. J. Korean Soc. Food Nutr. 16: 35-39 (1987) 

  31. Kang YJ. Citrus juice processing, quality control and distribution. Onnuri, Jeju, Korea. p.40 (2005) 

  32. Kim KH, Bae JS, Lee TS. Studies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repared with grain and flour of glutious rice. J. Korean Soc. Agr. Chem. Biotechnol. 29: 227-236 (1986) 

  33. Jeong YJ, Seo JH, Lee GD, Lee MH, Yoon SR.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pple and persimmo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9: 575-581 (2000) 

  34. Kim JO, Lee KH.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preference of industry 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3: 641-646 (1994) 

  35. Kim YS, Kwon DJ, Koo MS, Oh HI, Kang TS.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y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02-509 (1993) 

  36. Kim MS, Kim IW, Oh JA, Shin DH.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24-501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