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음 공간 디자인의 심미적 평가 반응 -지각적.감정적 판단에 따른 미적 변수와 선호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Evaluative Response of Eating and Drinking Space Design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esthetic Variables and Preference by Perceptual-Cognitive and Affective Judgment- 원문보기

디자인學硏究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20 no.1 = no.69, 2007년, pp.21 - 32  

최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  권영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초록

디자인의 심미적 요인은 물리적, 기능적, 행태적, 경제적 요인에 비해 정량적으로 측정되거나 평가되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심미적 요인들은 디자인 조형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심미적 가치평가나 심미적 영향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상업 공간디자인의 시각적 선호도와 지각적-인지적, 감정적 차원의 미적 변수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실증 조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업 공간디자인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통일', '질서', '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기분 좋은', '편안한'을 들 수 있다. 반면, 선호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대비', 복잡성', 그리고 명료성의 반대 개념인 '불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호기심 있는', '긴장되는'을 들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quantitatively measure or evaluate aesthetic factors is not easy in comparison with physical, functional, behavioral or economic factors. Yet aesthetic factors essential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sign modeling process. Despite its importance, research on aesthetic assessment or the intera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림 2] 의 주요한 8개의 감정반응 기술어를 포함하여 공간에 적합한 40개의 기술어도 원형 구조 선상의 좌표적 위치로 표시될 수 있다.(Nasar, 1988, pp.122-123)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가치평가와 연관된 감정적 차원의 변수들로서 기분 좋은 (Pleasant -unpleasant), 긴장되는(arousing・sleepy), 호기심 있는 (exciting-gloomy)/ 편 안한(relaxing-distressing) 둥 네차원의 기술어를 중심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 공간 사례들의 비교평가에서 공간을 정지된 한 시점의 이미지로 지각하는 것보다는 연속적 시각과 다중적 시점으로 직접 공간체험을 한 후 공간디자인에 대한 미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만 후자의 방법으로 조사하기엔 실질적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프로젝트들의 주 공간을 정지된 이미지로 지각-인지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요소가 중요시되는 상업 공간을 중심으로 선호도와 미적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 한다. 따라서 선호도 측면에서 공간 환경의 심미적 질 평가에 영향을 주는 공간의 지각적-인지적 차원, 감정적 차원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연구의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간사례의 실증연구를 통해 그 상관적 영향 관계를 파악해 봄으로써 공간디자인의 심미적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로 작용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따라서 선호도 측면에서 공간 환경의 심미적 질 평가에 영향을 주는 공간의 지각적-인지적 차원, 감정적 차원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연구의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간사례의 실증연구를 통해 그 상관적 영향 관계를 파악해 봄으로써 공간디자인의 심미적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로 작용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별 공간 사례들의 조사에서 공통된성질의 명제를 찾는 귀납적 방법(inductive method)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미적 변수는 속성상 정량화되기 어려운 내용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특정 공간 사례들의 비교평가를 통해 상대적 정량화를 시도하려고 한다. 공간 사례들의 비교평가에서 공간을 정지된 한 시점의 이미지로 지각하는 것보다는 연속적 시각과 다중적 시점으로 직접 공간체험을 한 후 공간디자인에 대한 미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만 후자의 방법으로 조사하기엔 실질적 어려움이 따른다.
  • 본 연구는 상업 공간에 대한 지각적-인지적 판단, 감정적 판단과 관련하여 선호도를 설명하고자 하며, 공간의 시각적 선호도와 복잡성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려고 한다. 따라서 선호도 측면에서 공간 환경의 심미적 질 평가에 영향을 주는 공간의 지각적-인지적 차원, 감정적 차원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연구의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 연구에서는 행동적 반응을 제외한 두 반응과 연관된 지각적-인지적 판단과 감정적 판단을 7점 척도로 측정하여 공간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미적 변수들 중 '내용미'에 해당되는 복잡성 변수는 선행연구들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기 때문에 공간의 복잡성과 선호도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 그 중중요한 이론으로는 벌라인(Berlyne, 1960, 1963, 1971) 의 자극 (Arousal) 이론, 애플톤 (Appleton, 1975)의 조망-안식처 (Prospect-Refuge) 이론,메라비언(Mehrabian, 1976)의 감각 부하(Sensory Load) 이론, 카플란(Kaplan & Kaplan, 1982)의 다차원 정보 모델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Model) 등이 알려져있다. 본 장에서는 공간 환경의 심미적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공간 환경의 심미적 평가 반응모델과 시각적 선호도 및 미적 변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업공간의 선호도와 복잡성은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본 절에서는 상업공간을 다시 용도별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을 때 선호도와 복잡성의 관계가 4T의 내용과 일치하는지 아니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에 사용된 20개의 상업 공간 사례는 [표 10] 의 카페, 레스토랑, 바, 클럽 등 네 범주 용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선호도와 다른 미적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상관분석을 해 보았다. 그 결과, 선호도와 상관계수가 0.
  • 외향형-내향형, 감각형-직관형, 사고형■감정형, 판단형■인식형 으로 구분되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의 지표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공간 사례에 대한 성격유형별 선호도는 [그림 13] 과 같이 차이가 없었다.
  • ) 아래의 [그림 1]은 초기기본 틀에서 조금 수정된 '환경에 대한 심미적 평가모델'이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환경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지각적-인지적 판단과 감정적 판단, 그리고 '좋음', 싫음'의 감정 반응 중 긍정적 감정 반응의 결과로 볼 수 있는 선호도를 중심으로 공간에 대한 평가 반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에서는 행동적 반응을 제외한 두 반응과 연관된 지각적-인지적 판단과 감정적 판단을 7점 척도로 측정하여 공간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미적 변수들 중 '내용미'에 해당되는 복잡성 변수는 선행연구들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기 때문에 공간의 복잡성과 선호도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복잡성 변수는 다양성, 시각적 풍부함, 장식, 불명료성 개념으로 설명되는데 이 중 불명료성 또는 명료성 요인과 복잡성의 관계를 알아보며, 복잡성과 연관하여 '형식미'의 변수들 중에서 통일, 질서, 대비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