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인여성의 옷차림에 나타난 패션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hion Sensibility of adult Women's Town Wear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9 no.4, 2007년, pp.380 - 390  

이은령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이경희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Part I) was to provide the guidance in more objective and proper clothing design and wearing rule to make good image making by analysis of fashion sensibilities about adult women's town wear in unlimited circumstance.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to investigate about fa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실제 착용자인 한국 소비자들의 옷차림을 통하여 한국 여성 관찰자에게서 형성되어지는 옷차림 평가를 통한 패션감성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국적 옷차림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며, 연구자의 의도가 배제된 비제한된 조건에서 실제 한국 여성에게 착용된 옷차림을 통한 한국 여성의 특성에 맞는 옷차림 연구 결과는 실생활에 접목될 때 생기는 한계성이 최소화 될 수 있으므로 더욱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옷차림을 통하여 전달되는 많은 상징적 의미들 중에서 한국 여성들의 실제 착용된 외출복을 통하여 각 연령별 여성 소비자들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외출복의 패션감성을 분석하여 한국 성인 여성의 패션감성과 취향에 맞는 여성 외출복 디자인 기획과 패션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옷차림 연출에 따른 이미지 메이킹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실제 옷차림 환경에서 성인여성이 착용한 외출복에서 형성되는 ‘좋은(Good)-나쁜(Bad)’ 옷차림을 통하여 옷차림이 가지는 계절 및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패션감성을 알아보고 한국 성인여성 외출복 디자인 기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와 옷차림의 규칙 및 이미지메이킹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여성 옷차림에 따른 옷차림의 패션감성을 분석하여 패션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상품 디자인 기획과 이미지 메이킹 분야에서는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패션연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계절에 따른 옷차림의 패션감성 차이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혜원.고애란 (1991) 여자한복의 인상형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211-227 

  2. 김광경.강혜원 (1992) 남성적-여성적 의복이 직장여성의 직업특성과 직업적합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I). 대한가정학회지, 30(2), 1-20 

  3. 김유진 (2002) 패션감성과 감정에 대한 의복조형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유진.이경희 (2000) 의복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미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7), 976-986 

  5. 김윤경.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861-872 

  6. 김지연.이경희 (2001) 현대패션에 나타난 인체 노출의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913-924 

  7. 김희정.이경희 (2000) 현대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복식이미지 연구 (제 2보)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3), 313-322 

  8. 안광호.황선진.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교문사, 서울, p.155 

  9. 오은주 (1998) 자켓과 스커트의 비율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변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해순.이경희 (1999) 의복재질의 시각적 감성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은소영.주소현.이경희 (2002)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6(5), 715-726 

  12. 이경희 (1991) 의복형태 이미지의 시각적 평기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경희 (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537-547 

  14. 이경희.김희정.김유진.김윤경.노경혜.오해순.은소영.주소현 (2001) '패션 디자인 발상'. 교문사, 서울 

  15. 이구형 (1998)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한국감성학회지, 1(1), 113-122 

  16. 이순요.長町三生 (1996) '정보화 시대의 감성인간공학'. 養英閣, 서울 

  17. 이은령 (1995) 실루엣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X-line의 변화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은령.이경희 (2004) 옷차림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특성 연구 - 성인여성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549-557 

  19. 이은령.이경희 (2004) Japanism 디자인의 소비자 감성 연구. 복식, 54(3), 73-86 

  20. 이정옥.조차.이연순.권미정 (1997) '패션과 의생활'. 형설출판사, 서울, p.195 

  21. 이주현.조긍호 (1995(a)) 의상디자인요소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제1보) -의복 형태와 색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747-764 

  22. 정찬섭 (1998) 감성과학의 심리학적 측면. 한국감성과학회지, 1(1), 19-24 

  23. 주소현 (2003) 여성 패션 트랜드 분석을 통한 감성 지표화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주소현.이경희 (1998)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1), 78-89 

  25. 하수진.이경희 (1999) 브래지어 디자인에 대한 시각적 감성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5), 635-644 

  26. 高林恒子.中澤智子.中川早苗 (1988) 服裝における女らしさについて- 第1報 女らさしの評價と好みの傾向. 纖維機械學會誌, 41(5), 289-295 

  27. Damhorst, K.L. (1990) In a search of a common threa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dres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12 

  28. Lee, E.R. and Lee, K.H. (2006) Meaning structure of fashion sensibility that appears in adult women's wear. Clothing Research Journal, 4(1), 11-18 

  29. Lennon, S.J. (1990) Effect of clothing attractiveness on perception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8(4), 303-310 

  30. Paek, S.L. (1986) Effect of garment style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trait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5(1), 10-16 

  31. Sears F. and Pepleau (1985) 'Social Psychology'. 5th Ed., PrenticeHall, Inc., N.J.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