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편성물의 설계 오차값 분석에 관한 연구 - 면사를 사용하여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Minimization of Structural Error in Weft Knitting - Using Cotton Yarn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5 = no.114, 2007년, pp.1 - 11  

권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권명숙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minimize structural error between sample knitting and actual knitting in weft knitting apparel. Basic stitches used in this study were plain stitch, $0{\times}0$ rib stitch, $1{\times}1$ rib stitch, $2{\times}2$ rib stit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편성을 응용한 니트 의류의 인체적합성을 높이고 니트의류 제작 현장에서의 샘 플편 성 과 실제 니 트의류의 오차값을 최 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본 위편성 조직을 활용하여 편성조직, 기계게이지, 편성 사이즈에 따른 중량, 길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위편성 조직은 게이지를 달리하여 단수와 코 수를 증가 시켜 컴퓨터 편성하였으며 각 샘플편성은 중량, 길 이항목으로 분류하고 실증적 인 계측을 통하여 오차값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9. Plain stitch와 비교 시 같은 폭의 lxl rib stitch을 얻기 위해서는 편성 코수의 적절한 증가가 필요하며 같은 폭의 Milan rib stitch을 얻기 위해서는 편성 코수의 적절한 감소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성현 (1993). 피복재료학, 서울: 교문사, p. 312 

  2. 김문상, 박신웅 (1993). 제편공학, 서울: 문운당, p. 4 

  3. Hong, R.H. (1995), Quality measurement of knitted apparel fabrics. Textile Research Journal, 65(9), p. 544 

  4. Lawrence CA & Mohamed SA (1996). Yarn and knitting parameters affecting fly during weft knitting of staple yarns. Textile Research Journal, 66( 11), p. 694 

  5. Wendy P. (2004). Celebrity knitting and the temporality of postrnodernity. Fashion Theory, 8(4), pp, 425-442 

  6. 이선희, 이순홍 (2003). 니트의 편성기법에 의한 디자인 연구-작품제작을 중심으로. 복식, 53(1), pp, 99-116 

  7. 권진, 임영자 (2005), 현대 니트웨어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8), pp. 127-143 

  8. 허은영 (2003). 여성용 Knit Bodice와 Sleeve Block의 치수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41(7), pp. 185-200 

  9. 조혜진, 이원자, 김영주, 서정권 (2004). 편성조직이 위편성물의 태에 미치는 영향-싱글니트의 개관적 태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8), pp. 1153-1164 

  10. 윤혜신, 박신웅, 강복춘 (2002). 경편성물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섬유공학회지, 38(3), pp. 345-3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