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니트의 편성조직에 따른 물성 평가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Structured Knitted Fabric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6, 2011년, pp.990 - 995  

예수정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송화순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knit stitch type, fiber composition, and yarn thicknes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nitted fabri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urse density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rib stitch. On the other hand, the wale density was the highest in the c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편 조직에 따른 물성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니트 의류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편 조직의 물성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편 조직 별 물성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하고 니트 의류의 불량률을 낮춰 국내 니트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니트산업은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지금까지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니트산업은 컴퓨터 자동 편직 기술의 발달로 비교적 소규모 설비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고, 공정이 간단하여 다품종소량생산의 패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패션 사이클이 짧아지고, 선진국일수록 니트 의류를 선호하는 경향임을 고려할 때, 니트 산업은 전망이 밝은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이다.
니트 의류의 전망은 어떠한가? 니트는 신축성과 유연성이 좋아 편안하면서도 다양하게 어울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연령에 상관없이 폭넓게 수용될 수 있어 의류 소재로서의 가치가 높다(김혜경 외, 2004). 또한 최근 다양한 디자인과 구성법이 개발되고, 컴퓨터 자동 편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직물과 니트의 패치워크 및 다양한 편 조직의 조합이 활발해짐에 따라(강숙녀, 권진, 2008) 패션산업에서 니트의 비중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니트의 물성 데이터가 직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니트 의류는 대부분 경험에 의존하여 제작과 생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량률이 높다.
니트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니트는 신축성과 유연성이 좋아 편안하면서도 다양하게 어울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연령에 상관없이 폭넓게 수용될 수 있어 의류 소재로서의 가치가 높다(김혜경 외, 2004). 또한 최근 다양한 디자인과 구성법이 개발되고, 컴퓨터 자동 편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직물과 니트의 패치워크 및 다양한 편 조직의 조합이 활발해짐에 따라(강숙녀, 권진, 2008) 패션산업에서 니트의 비중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숙녀, 권진. (2007). 봉제원사와 봉제방법에 따른 니트웨어의 역학적 특성. 복식, 57(2), 1-10. 

  2. 강숙녀, 권진. (2008). 편성조직별 봉제게이지 변화에 따른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2), 1-12. 

  3. 김미라, 전연희, 안승국. (2009). 위편성물의 합사조건에 따른 역학특성과 드레이프성의 변화.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3), 460-464. 

  4. 김은애, 박명자, 신혜원, 오경화. (1997). 의류소재의 이해와 평가. 서울: 교문사. 

  5. 김인숙, 이순홍. (1998). 위편조직의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2(4), 93-101. 

  6. 김혜경, 이지영, 이혜성. (2004). 단청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415-420. 

  7. 전미선, 박기윤, 고순영, 김미진, 정승령, 박명자. (2006). 리브편과 리브변화조직 편성물의 역학적 특성과 태 평가.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3(4), 336-347. 

  8. 조혜진, 이원자, 김영주, 서정권. (2004). 편성조직이 위편성물의 태에 미치는 영향 -싱글니트의 객관적 태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8), 1153-1164. 

  9. 최경은, 김학용, 이덕래. (2000). 더블 니트 편성물의 열차단 효과. 都市 및 環境硏究, 15(1), 41-47. 

  10. 최연주, 유효선. (2005). 방추가공된 셀룰로오스 소재의 드레이프성. 한국의류학회지, 29(2), 340-346. 

  11. Choi, M., & Ashdown, S. P. (2000). Effect of Changes in Knit Structure and Density on the Mechanical and Hand Properties of Weft-Knitted Fabrics for Outerwear. Textile Research Journal, 70(12), 1033-1045. 

  12. Cooke, W. D., & Arthur, D. F. (1981). A simulation model of the pilling process.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72, 111-120. 

  13. Gintis, D., & Mead, E. J. (1959). The mechanism of pilling. Textile Research Journal, 29, 578-585. 

  14. Gun, A. D., Unal, C., & Unal, B. T. (2008). Dimension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lain Knitted Fabrics Made from 50/50 Bamboo/cotton Blended Yarns. Fibers and Polymers, 9(5), 588-592. 

  15. Kane, C. D., Patil, U. J., & Sudhakar, P. (2007). Studies on the Influence of Knit Structure and Stitch Length on Ring and Compact Yarn Single Jersey Fabric Properties. Textile Research Journal, 77(8), 572-582. 

  16. McGregor, Bruce A., & Postle, Ron (2009). Wear Attributes of Cashmere Single Jersey Knitted Fabrics Blended with High and Low Crimp Superfine Merino Wool. Textile Research Journal, 79(10), 876-887. 

  17. Oglakcioglu, N., Celik, P., Ute, T. B., Marmarali, A., & Kadoglu, H. (2009). Thermal Comfort Properties of Angora Rabbit/Cotton Fiber Blended Knitted Fabrics. Textile Research Journal, 79(10), 888-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