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s of Academic Library Service Quality on the Satisfaction and the Loyalty of User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1 no.2, 2007년, pp.135 - 159  

김규환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영향요인과 이런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가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C대학도서관 학생이용자 266명의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e-서비스 품질과 컨텐츠 품질, 도서관직원 품질이 만족도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학부생은 공간/환경 품질과 컨텐츠 품질이, 대학원생은 e-서비스 품질과 도서관직원 품질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충성도의 경우는 이용자 만족도와 e-서비스 품질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e-서비스 품질의 경우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ual relationships of the service qualify,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and the loyalty of the users on the academic libraries. The study develops a model and a hypothes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estifi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s and...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김동숙. 2005.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를 위한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 적용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3: 41-48 

  2. 김동숙. 2005.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를 적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김선애. 2006. 공공도서관 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7(3): 193-208 

  4. 김윤실. 200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3): 161- 188 

  5. 김희전. 2003. 'SERVQUAL과 SERVPERF를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박동진, 윤동원. 2000.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측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183-206 

  7. 백항기. 2005.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질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비블리아발표논집', 4: 117-131 

  8. 백항기, 이은철. 2000. 대학도서관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4): 5-26 

  9. 오동근. 2005.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이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22(4): 61-78 

  10. 오동근, 임영규, 여지숙. 2006. 이용자와 직원이 인식하는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 국립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65-181 

  11. 오동근, 황일원. 2004. 서비스 품질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LibQUAL+(TM)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 159-162 

  12. 유양근. 2005.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89-21 

  13. 윤희윤. 2001. 국내 대학도서관의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2(4): 45-70 

  14. 윤희윤. 2002. '대학도서관경영론'. 서울: 태일사 

  15. 이두영, 김희전. 2003. SERVQUAL과 SERVPERF를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2): 73-91 

  16. 이학식, 임지훈. 2005. 고객만족도측정: NCSI와 KCSI의 평가와 새로운 지수개발 방안. '마케팅 연구', 20(3): 137-160 

  17. 한국도서관협회. 2006. '한국도서관연감' 

  18. 홍현진. 2005.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품질평가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6(2): 93-120 

  19. Anne Martensen & Lors Gronholdt. 2003. 'Improving Library Users'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An Integrated Measurment and Management System.'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9(3): 140-147 

  20. Abby Ghobadain Simon Speller, Matthew Jones. 1994. 'Service Quality: Concepts and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 Reliability Management, 11(9): 43-66 

  21. A. Parasuraman, Valarie A. Zeithaml, and Leonard L. Berry.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1): 41-50 

  22. A. Parasuraman, Valarie A. Zeithaml, and Leonard L. Berry.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23. A. Parasuraman, Valarie A. Zeithaml, and Leonard L. Berry. 1990. 'Delivering Quality Service: Balancing Custome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24. A. Parasuraman, Valarie A. Zeithaml, and Leonard L. Berry. 1991. Refinement and Reassessment of the SERVQUAL Scale.' Journal of Retailing, 67(4): 420-450 

  25. Cullen, R. J.. 2001. 'Perspective on User Satisfaction Surveys.' Library Trends, 49(4): 662-686 

  26. C. Cook & B. Thompson. 200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RVQUAL Scores Used to Evaluate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6(4): 248-258 

  27. C. Cook & B. Thompson. 2001. 'Psychometries of Scores from the Web-based Lib-QUAL+ Study of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Library Trends, 49(4): 585-604 

  28. David A. Garvin. 1984. 'What Does Product Quality Really Mean.' Sloan Management Review, 26(1): 25-43 

  29. Gr?nroos, Christian. 1984.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84(4): 36-44 

  30. J. J. Cronin, Steven A. Taylor.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31. J. C. Nunnally. 1967.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2nd ed 

  32. W. J. Kettinger, Choong C. L. 1997. 'Pragmatic Perspectives on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s Service Quality.' MIS Quarterly, June: 229-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