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분으로부터 Lactobacillus salivarius의 분리 및 생균제적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CPM-7 Isolated from Chicken Fece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5 no.2, 2007년, pp.98 - 103  

임수진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장성식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강대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란계의 분변으로부터 생균제 특성을 가진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무작위 선발법과 agar well diffusion assay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유산균을 1차 선발하였으며 이 중에서 대장균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CPM-7 균주를 분리하였다. 최종 선발된 CPM-7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당 이용성 및 16S rRNA 서별 분석을 통하여 Lactobacillus salivarius CPM-7으로 동정되었다. L. salivarius CPM-7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pH 2에서 30분 동안 및 pH 3에서 6시간 동안 생균수가 거의 유지되었으며, bile salt 0.2%가 첨가된 MRS 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었다. L. salivarius CPM-7은 a-galactosidase를 포함한 다수의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돼지의 장 상피세포에 흡착할 수 있었다. L. salivarius CPM-7의 배양액 및 중화액은 자돈 설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E. coli K88에 대한 강력한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solat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or animal, we have screened the microorganisms from chicken feces, by random selection and agar well diffusion assay. Among them, CPM-7 strain showing superio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was selected. By examining carbohydrates utiliz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착을 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13]. 본 연구를 통해선 발한 L. salivarius CPM-7이 동물의 장관세포에의 흡착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간이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Overnight 배양한 L.
  • salivarius CPM-7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는 E. c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은 L. salivarius CPM-7를 산란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균제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L.
  • 본 연구에서는 닭의 분변으로부터 L. salivarius를 분리하여 그 생균제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Y. T., K. L. Lim, J. C. Ryu, D. K. Kang, J. S. Ham, Y H. Jang, and H. U. Kim. 2002.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piglets and chicken. Asian-Aust. J. Anim. Sci. 15: 1790-1797 

  2. Carrera-Silva, E. A., A. Silvestroni, J. G. Leblanc, J. C. Piard, G. Savoy de Giori, and F. Sesma. 2006. A thermostable alpha-galactosidase from Lactobacillus fermentum CRL 722: genetic characterization and main properties. Curr. Microbiol. 53: 374-378 

  3.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4. Gilliland, S. E., T. E. Staley, and Bush, L. J. 1984. Importance of bile toleran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used as a dietary adjuncts. J. Dairy Sci. 67: 3045-3051 

  5. Ham, J. S., H. S. Kim, K. H. Hong, J. G. Kim, S. G. Jeong, H. S. Chae, J. N. Ahn, D. K. Kang, and H. U. Kim. 2003. Inhibitory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hazardous microbes. Asian-Aust. J. Anim. Sci. 16: 1550-1554 

  6. Kim, D. S. 2002.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ocin from Lactobacillus sp. Oh-B3. Kor. J. Microbiol. Biotechnol. 30: 184-188 

  7. Kim, P. I., M. Y. Jung, Y. H. Chang, S. Kim., S. J. Kim, and Y. H. Park.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s isolated from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2006.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1103-1111 

  8. Mayer-Makinen, A., M. Manninen, and H. Gyllenberg. 1983. The adherence of lactic acid bacteria to the columnar epithelial cells of pigs and calves. J. Appl. Bacteriol. 55: 241-245 

  9. Mutai, M. 1983. Utilization and Effect of Latic Acid 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1: 339-345 

  10. Park, H. S., S. H. Lee, and T. B. Uhm. 1998. Selection of microorganisms for probiotics and their characteriz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27: 433-440 

  11. Park, H. S., J. H. Lee, and T. B. Uhm. 1999.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solated from piglet intestines. J. Kor. Soc. Food Sci. Nutr. 28: 830-836 

  12. Pavlova, S. I., A. O. Kilic, S. S. Kilic, J. S. So, M. E. Nader-Macias, J. A. Simoes, and L. Tao. 2002. Genetic diversity of vaginal Lactobacillus from women in different countrie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J. Appl. Microbiol. 92: 451-459 

  13. Quwehand, A. C., P. V. Kirjavainen, C. Shortt, and S. Salminen. 1999. Probiotics: mechanisms and established effects. Int. Dairy J. 9: 43-52 

  14. Robredo, B. and C. Torres. 2000.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livarius of animal origin. J. Clinical Microbiol. 38: 3908-3909 

  15. Sohn, J. H., J. H. Lee, H. Yi, J. Chun, K. S. Bae, T. Y. Ahn, and S. J. Kim. 2004. Kordia algicida gen. nov., sp. nov., an algicidal bacterium isolated from red tide. Int. J. Syst. Eviron. Microbiol. 54: 675-680 

  16. Stern, N. J., E. A. Svetoch, and B. V. Eruslanov. 2006. Isolation of a Lactobacillus salivarius strain and purification of it's bacteriocin, which is inhibitory to Campylobacter jejuni in the chicken gastrointestinal system.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0: 3111-3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