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반의 가이스터 게임
AR-Geister 원문보기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v.13 no.2, 2007년, pp.31 - 38  

김진국 (세종대학교 Game Research Interface Center) ,  김병철 (세종대학교 Game Research Interface Center) ,  이혜선 (세종대학교 Game Research Interface Center) ,  이종원 (세종대학교 Game Research Interface Center)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게임 문화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중심축이 급격하게 바뀌었다. 급격한 변화는 온라인 게임의 발전으로 이어졌지만 게임 문화의 획일화를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게임 문화는 유저의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지 못한 채 유저들에게 게임중독, 강박감, 편집증, 체력저하를 심어주고 있다. 그러나 몇 해 전부터 보드게임 붐이 일면서 보드게임카페를 통해 보드게임이 활발히 보급되었다. 보드게임을 통해 유저들은 과거의 추억과 사람사이의 유대감을 다시금 불러일으키게 되었고, 흥행 타이틀을 중심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보드게임에 대한 유저들의 지식 부족과 한정된 타이틀 수, 부담스러운 타이틀 가격은 보드게임의 저변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강현실을 사용하여 보드게임과 온라인 게임의 장점을 융합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이스터 게임을 제안한다. 이 게임은 보드게임 가이스터를 다양한 AR(Augmented Reality)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e trend of the game culture have been changed rapidly from offline games to online games. This change drives the advancement of online games, but it causes the standardization of the game culture. Few years ago, there was a rising interest in board games. Board cafes, place for playing 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게임 문화의 장점과 컴퓨터게임 문화의 장점을 융합한 멀티유저 환경의 증강현실 게임인 ARCAugmented Reality)-Geister를 제안한다. A R-Geister 게임은 보드게임 가이스터를 AR 환경에서 구현한 게임이며 유저가 각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게임이다.
  • [3]. 이 게임은 두 명의 유저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증강된 기차를 컨트롤 하면서 상대 유저 기차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멀티 마커를 통해 좌표를 인식하여 실제 제작된 레일의 위를 증강된 기차가 다니도록 하였고, 각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게임 진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그림 3L
  • [1]. 이 게임의 목표는 놀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효과를 사용하는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림 1]처럼 사용자가 막대를 불면 여러 모양의 비눗방울이 생성된다.

가설 설정

  • 첫 번째는 상대방의 파란 가이스터 4개를 모두 획득하면 이긴다. 번째로 상대방이 자신의 빨간 가이스터를 모두 획득해 가져가면 이긴다. 마지막으로 [그림기에 상대방 쪽 원안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파란 가이스터가 탈출하면 이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