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조기의 에탄올과 물 혼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Aqueous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2 no.2, 2007년, pp.266 - 273  

김미향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난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희 (경북과학대학 바이오식품과) ,  권대준 (아시아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최웅규 (아시아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식품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이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차조기의 무기질은 Ca와 Mg 함량이 각각 595.75 mg%와 467.0 mg%으로 가장 많았다. 에탄올 혼합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95%에탄올 추출물은 9.3%, 70% 추출물은 16.5%, 50% 추출물은 18.9%, 30% 추출물은 19.4%, 물추출물(0%)에서는 20.8%이었다.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낮아질수록 hexane 층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성분은 감소하고 ethyl acetate 층 분획성분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항균력은 95%, 70%와 50% 에탄올 추출물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및 Pseudomonas areuginosa에 대하여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을 단계별 계통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항균력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실험 대상 미생물 모두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혼합율이 낮을수록 즉, 30% 에탄올과 물추출물의 ethyl acetate분획물의 저해환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을 첨가한 액체배양에서 500 ppm의 농도에서는 S. aureus, B. subtilis와 P. aeruginosa에 대하여 대조구의 뚜렷한 증가와 대조적으로 낮은 생균수를 보였으며, 1,000 ppm의 농도에서는 실험 균주 모두에 대하여 배양 24시간 내내 생육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추출과 에탄올 추출의 농도와 항균 활성,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비례적인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으나 30%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분획물이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균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fractions extracted with a mixture of ethanol and water. The Ca and Mg contents of the leaf were 595.75 mg% and 467.0 mg%, respectively, and they were the highest among all of the test mineral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소재로서 차조기의 보다 효과적인 이용과 추출물 제조를 위해 에탄올 농도를 95%, 70%, 50% 및 30%로 달리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식품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고 이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 이때 disc에 흡수시킨 추출물과 분획물의 농도는 100 ㎍으로 하였다. 액체배양법은 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 균을 접종하고 24시간 배양 후 colony 계측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즉, 차조기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은 각각 증류수와 DMSO(dimethyl sulfoxide) 에 용해시켜 농도를 조정하여 준비한 다음 계대 배양하여 활성화된 미생물 배양액에 500 ppm과 1,000 ppm 농도가 되게 추출물과 분획물을 첨가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 이때 물 추출은 삼각 플라스크에 차조기 분말 100 g에 대하여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냉각기를 연결하여 hot plate 상에서 5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가열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과한 여액을 모두 합하여여과지 (Whatman No. 2)로 감압여과하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것으로 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순으로 다시 계통 분획하였다.
  • 95%로 변화시켜 추출하였다. 즉 차조기 분말 100g에 각각의 물과 에탄올 혼합용액을 10배가 되게 가하여 실온의 진탕 항온기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감압여과 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모아진 여액을 합하여 감압 농축기 (Rotary evaporator, EYELA N-1000, Japan)로 농축하였다. 이때 물 추출은 삼각 플라스크에 차조기 분말 100 g에 대하여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냉각기를 연결하여 hot plate 상에서 5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가열 추출하였다.
  • 각각의 추출물은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순으로 다시 계통 분획하였다. 즉, 각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휘발시킨 후 증류수를 가하여 분산시키고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순으로 분획하고 그 나머지 잔사를 물 분획으로 하였다. 이때 추출물과 분획물은 모두 감압 농축하여 필요한 농도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액체배양법은 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 균을 접종하고 24시간 배양 후 colony 계측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즉, 차조기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은 각각 증류수와 DMSO(dimethyl sulfoxide) 에 용해시켜 농도를 조정하여 준비한 다음 계대 배양하여 활성화된 미생물 배양액에 500 ppm과 1,000 ppm 농도가 되게 추출물과 분획물을 첨가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식품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이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차조기의 무기질은 Ca와 Mg 함량이 각각 595.
  • 차조기의 에탄올 추출은 에탄올 농도를 0, 30, 50, 70 및 95%로 변화시켜 추출하였다. 즉 차조기 분말 100g에 각각의 물과 에탄올 혼합용액을 10배가 되게 가하여 실온의 진탕 항온기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감압여과 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모아진 여액을 합하여 감압 농축기 (Rotary evaporator, EYELA N-1000, Japan)로 농축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4,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515,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88, Escherichia, coli O157(Human isolated in PSA)와 Escherichia coli ATCC 8739 등 그람 음성균 6종으로 총 8종을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로는 nutrient broth (Difco, USA)와 nutrient agar (Difco, USA) 배지를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차조기는 2005년 5월에 경북 칠곡에서 수확한 것을 여러 차례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음건한 후 분쇄기(DA282-2, Daesung, Korea)로 분말화하여 4℃ 에서 냉장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와 Bacillus subtilis KCCM 11316 등 그람 양성균 2종과 Pseudomonas aeruginosa KCTC . 2004,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515,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88, Escherichia, coli O157(Human isolated in PSA)와 Escherichia coli ATCC 8739 등 그람 음성균 6종으로 총 8종을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 2004,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515,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88, Escherichia, coli O157(Human isolated in PSA)와 Escherichia coli ATCC 8739 등 그람 음성균 6종으로 총 8종을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로는 nutrient broth (Difco, USA)와 nutrient agar (Difco, USA) 배지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은 version 12의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Chicago, IL, USA) soft-ware package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test를 행하였다.

이론/모형

  • 8종의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은 disc agar diffusion 법(Bauer; 1966, Piddok; 1990)과 액체 배양법(KFDA 2003)으로 측정하였다. Disc agar diffusion 법은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을 각각의 추출용매와 분획 용매로 적정농도로 제조하여 각각 8 mm의 paper disc에 60 를 흡수시키고 용매는 휘발시켜 준비하였으며, 대조구는 각 용매를 동일하게 올린 후 휘발시켰다.
  • 총 phenol 함량은 Folin-Danis 법(Singleton 1965) 으로 정량하였다. 시료 0.
  • 이때 표준물질은 chlorogenic acid 표준곡선으로 환산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iethylene glycol 비색법(NFRI 1990) 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1 mL에 diethylene glycol 10 mL과 IN NaOH 1 mL를 첨가하여 37P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ritomi, M. Kumori, T. Kawasaki, T. 1985. Cyanogenic glycosides in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Phytochemistry. 24(10): 2438-2439 

  2. Bauer AW, Kibby MM, Sherria JC, Turck M. 196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4): 493-496 

  3. Choi HS. 2004. Characteristic odor componen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oil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3(3): 279-284 

  4. Choi KE, Kwag JS, Kim YO, Baek SH and Han DS 1997 Development of anthicancer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part 4). Korean J. Texicol., 13(4): 311-316 

  5. Do JR, Heo IS, Back SY, Yoon HS, Jo JH, Kim YM, Kim KJ, Kim SK. 2006 Antihypertensive,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Buckwheat Hydrolysate. Korean Society. of food Sci. & Tech., 38(2): 268-272 

  6. Fuiiwara, H. Tanaka, Y. Fukui, Y. Ashikaki, T. Yamaguchi M., Kusumi, T.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 3-aromatic acyltransferase from Perilla frutescens. Plant science. 137(1): 87-94 

  7. Fujita, T. Nakayama, M. 1993. Monoterpene glucoside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Perilla frutescens. Phytochemistry, 34(6): 1545-1548 

  8. Ha MH, Park WP, Lee SC, Choi SG, Cho SH. 2006.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Prunus mune extract.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13(2): 198- 203 

  9. Hwang JH, Jang MS. 200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Jasoja ( Perillae semen).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7(6): 555-564 

  10. Hwang JH, Jang MS. 2003. Free Sugar, Free Amino Acid, Non- Volatile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of Dongchimi added with Jasoja(Perillae semen).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9(1): 1-10 

  11. Ishikura, N.. 1981. Anthocyanins and flavones in leaves and seeds of Perilla plant.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5(8): 1855-1860 

  12. Joe WA, Choi EY, Jeung SH, Kang BY, Son JH, An BJ, Lee CE, Choi KI, Son AR and Lee JT. 2005. Studies on the application for cosmetrics natural materials of folium perillae. Kor. J. Herbology, 20(3): 1-7 

  13. Kang YS, Lee SC, Shin HD, Shin MK, Kim JH and Song HJ. 2004. Studies on the allergy asthma effect of Folium Perillae. Korean Association of herbology,.19(3): 25-34 

  14. Kawaguchi K., Mizuno T. Aida, K and Uchino K 1997 Hesperidine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chnol. Biochem. 61, 102-104 

  15. KFDA. 2003. Code DH. Code Food,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Seoul, korea 

  16. Kim CK, Kim YJ, Kwon YJ. 1998.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rilla semen. Korean Soci.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7(3): 381-385 

  17. Kim JG. 1997. Natural medicines dictionary. Namsandang. Seoul. p.172 

  18. Kim YJ, Kim CK and YJ Kwon. 1997.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 semen. Korean Society. of food Sci. & Tech, 29(1): 38-48 

  19. Lee JJ, Kim SH, Chang BS, Lee JB, Huh CS, Kim TJ, BAEK YJ. 1999. The antimicrobials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 764-770 

  20. Lee ES. Seo BI. 2005. Growth inhibi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Korean J. Herbology. 20(2): 83-89 

  21. Lee OH. Lee HB,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yh of olive leaf frac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2): 204-210 

  22. Moon GS. 1999. Medicinal herbs component and utilization. Ilwealsaegak, seoul. pp 517-518 

  23. Moon HI, Zee OP and Shin KH. 1998. Effect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Extract on Serum Ethanol Level and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Korean Medical Crop Science, 6(2): 126-130 

  24.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tion(2). National Food Reserch Institute, Tsukuba, Japan. p 61 

  25. Oh DH, Hum SS, Park BK, Ahn C, Yu JY. 1998. Antimiceobial activity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ol. 30: 957-963 

  26.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2001. Chang EJ, Park KH.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ning outbreaks occurren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ood Hyg. safety, 16(2): 280-294 

  27. Piddok, L. J. 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2): 307-318 

  28. Povilaityte, V.; Venskutonis, P. R. 2000. Antioxidative activity of purple peril (Perilla frutescens L.), Moldavian dragonhead (Dracocephalum moldavica L.), and Roman chamomile (Anthemis nobilis L.) extracts in rapeseed oil.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77(9): 951-956 

  29. Seo HH, Jeong SH and Kim DW. 2003. Research of natural dyeing development using plum - around match dyeing of plum and perilla plant-. Korea Soci. of craft, 6(2): 125-146 

  30. Sohn J.S. and Kim M.K. 1988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in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rat. Korean Nutr. Soc. 31(3): 687-696 

  31. Swo DH and Han DS. 1998. Antitumor Effects of the Chloroform Soluble Fraction of Perilla frutescens against Human Skin Melanoma Cells. Wonkwang univ. dental medical 1.8(2): 55-66 

  32. Takeda, H. Tsuii, M, Matsumiya, T. Kubo, M. 2002. Identification of Rosmarinic Acid as a Novel Antidepressive Substance in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Perillae Herba). Japanese Journal of Neuropsycho pharmacology-Tokyo-. 22(2): 15-22 

  33. Ueda S., Yamashita H, Nakajima M and Kuwabara Y.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by spice extracts and flavoring compounds. Ni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29(3): 389-392 

  34. Yamamoto, H.; Ogawa, T.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perilla seed polyphenols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66(4): 921-924 

  35. Yonekura-Sakakibara, K. Tanaka Y. Fukuchi-Mizutani, M. Fuiiwara, H., Fukui, Y. Ashikari, T. Murakami Y. Yamaguchi, M. Kusumi, T. 2000.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Hydroxycinnamoyl-CoA:Anthocyanin 3-OGlucoside- 6'-O-Acyltransferase from Perilla frutescens. Plant & cell physiology. 41(4): 495-502 

  36. Yoshida, K. Kameda, K. Kondot, T. 1993. Diglucuronoflavones from purple leaves of Perilla ocimoides. 33(4): 917-919 

  37. Zheng, Z., pinkham, J. P. and Shetty, K. 1998: Identification of polymeric dye-tolerant oregano(Oreganum vulgare) colonal lines by quantifying total phenolics and peroxideasse activity. J. Agric. Food Chem. 46: 4441-4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