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eaf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0 no.4, 2007년, pp.327 - 333  

김미향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우원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난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대준 (아시아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최웅규 (아시아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및 물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 공여능, 지질산화 억제능, SOD 유사활성 및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8{\sim}30%$ 정도로 낮았으나, 분획물에서는 95%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이 50% 수준의 활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모든 추출용매에서 75%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이 9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R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200.5 ppm이었다. 저장 온도 $40^{\circ}C$에서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추출물은 70% 에탄올 이었다. 분획물의 경우, 95% 에탄추출물은 hexane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그 외 에탄올 추출과 물추출은 chloroform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28{\sim}32%$, 물추출물이 30.3%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32.4%로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38.8%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I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1549.0ppm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추출물이 $36{\sim}41.2%$이었으며, 물추출물이 46.9%로 추출물중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물추출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1,000 ppm 농도에서 52%의 활성을 보여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For the this purpos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pid oxidation inhibition,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 activity of water extract, ethanol extracts (30, 50, 70, and 95%)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하였다. 0.1 M phosphate buffer(pH 7.0) 9.6 m/에기질용액 1* 0n 을 넣고 추출 시료액 0.4 ml를 넣어 40℃에서 7 일 동안 지질 산화를 관찰하였다. 지질의 산화 억제 효과는 Mitsuda 등37)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 건조 차조기 분말을 물과 30, 50, 70 및 95%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즉, 물 추출은차조기 분말 100 g 에 대하여 증류수를 7~8배 (v/w)로 가하여 hot plate 상에서 5~6 시간 교반하면서 가열 추출하였고, 에탄올 추출은 각 농도의 에탄올 용매를 시료에 대해 7~8배 (v/w)로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 이러한 차조기의 기능성 성분의 분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목적으로 하는 추출에 적절한 용매의 선별과 기능성 확인 및 활성 측정 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조기 추출의 용매를 달리 하여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고자 물 추출물과 30, 50, 70 및 95%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이들 각각의 추출물의 단계별 분획성분들의 전자 공여능, 지질 산화 억제능, SOD 유사 활성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및 물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 공여능, 지질산화 억제능, SOD 유사활성및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8~30% 정도로 낮았으나, 분획물에서는 95%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이 50% 수준의 활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모든 추출용매에서 75% 이상의활성을 보였다.
  • 2로 조정하였다. 용액 0.9mZ에 24mM pyrogall이을 포함한 10mM HC1 을 0.1m/ 혼합한 후 25℃를 유지시키면서 42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18). 이때 TCB 0.
  • 1m/ 혼합한 후 25℃를 유지시키면서 42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18). 이때 TCB 0.9m/을 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흡광도 값의 증가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EC50은 phyrogallol의 자동산화를 50% 억제시키는 시료의 농도로 나타내었다. 활성도(%)는 (대조구의 흡광도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대조구의 흡광도 변화)X 100으로 산출하였다.
  • 95%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즉, 물 추출은차조기 분말 100 g 에 대하여 증류수를 7~8배 (v/w)로 가하여 hot plate 상에서 5~6 시간 교반하면서 가열 추출하였고, 에탄올 추출은 각 농도의 에탄올 용매를 시료에 대해 7~8배 (v/w)로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거즈로 여과하고 건더기는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반복 추출한 다음 이를 모두 합하여 다시 Whatman No.
  • 차조기의 물추출물과 30, 50, 70 및 95%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을 측정하고, 이들 각각의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butanol의 순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의 전자 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은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DPPH의 짙은 자색의 탈색으로 나타난다.
  • 즉, 물 추출은차조기 분말 100 g 에 대하여 증류수를 7~8배 (v/w)로 가하여 hot plate 상에서 5~6 시간 교반하면서 가열 추출하였고, 에탄올 추출은 각 농도의 에탄올 용매를 시료에 대해 7~8배 (v/w)로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거즈로 여과하고 건더기는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반복 추출한 다음 이를 모두 합하여 다시 Whatman No. 2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 (EYELA N-1000, Japan)로 감압농축 하였다. 농축된추출물은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butanol순으로 용매 분획하고 그 잔사를 물분획물이라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차조기 잎은 2005년 5월에 경북 칠곡에서 수확한 것을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음건하여 보관하면서 필요시마다 분쇄하여 분말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36). 메탄올에 일정의 농도로 녹인 시료 0.
  • 4mM DPPH용액 2 ml를 넣고 교반 한 후 30분간 실온의 암소에서 방치한 다음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은 (1-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X 100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를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RC50 으로 하여 나타내었다.
  • 4 ml를 넣어 40℃에서 7 일 동안 지질 산화를 관찰하였다. 지질의 산화 억제 효과는 Mitsuda 등37)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반응액 2mZ에 35% trichloroacetic acid(TCA) 1 m/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bertazzi, P. and Steel. S. A. (2002) Clifford E & Bottazzi M. Attitudes towards and use of dietary supplementation in a sample of postmenopausal women. Climacteric 5, 374-382 

  2. Kedziora, J., and Bartosz, G. (1988) Down's syndrome: a pathway involving the lack of blan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Free Radic. Biol. Med. 4, 317-330 

  3. Cross, E. E., Halliwell, B., Borish, E. T., Pryor. W. A., Ames, B. N., Saul, R. L. and McCord, J. M.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iease. Ann. Intren. Med. 107, 536-545 

  4. Sozmen, E. Y., Tanyakin, T., Onat, T., Kufay, F. and Erlacin, S. (1994)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embrane injury in rat erythrocytes. European J. of Clinical Chem. and Clinical Biochem. 32, 741-744 

  5. Frei, B. Natural antioxidants in uman and disease. Academic Press. 25-55 p 

  6. Mavelli, I., Ciriolo, M. R., Ratilio, G., De S. P., Castorino, M. and Stabile A. (1982) Superoxide dimutase, glutathion peroxidase and catalase in oxidative hemolysis. A study of Fanconi's anaemia erythrocytes. Biochem. Biophys. Res. Comm. 106, 286-290 

  7.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8. Sen, C. K. (1995) Oxidants and antioxidants in exercise. Appl. Physiol. 79, 675-692 

  9. Fridorich, I. (1978) The biological activit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1 

  10. Imlay, I. A. and Linn, S. (1986) DNA damage and oxygen radical toxicity. Science 240, 1302-1309 

  11. Branen, A. L. (1991)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12. Barlow, S. M. (1990) Toxicological aspects of antioxidants used as food additives. In Food Antioxidant. Hudson BJF, ed. Elsevier, Amsterdam. 253-307 p 

  13. Eliott, J. G. (1999) Application of antioxidant vitamins in foods and beverages. Food Tech. 53, 46-48 

  14. Yamamoto, k. and Niki, E. (1988) Prooxidant effect of $\alpha$ - tocopherol. Biochem. Biophys. Acta 958, 19-23 

  15. Nam, S. H. and Kang, M. Y. (2000)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nol. 43, 141-147 

  16. Kim, S. M., Cho, Y.S. and Sung, S. 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7. Yang, S. A., Im, N. K. and Lee, I. S. (2007)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83-87 

  18. Yoon, G. A. (2006) Effect of garlic supplement and exercise on plasma lipid and antioxidant enzyme system in rats. Korean Food Nutr. Soci. 39, 3-10 

  19. Han, S. H., Woo, N. Y., Lee, S. D. and Kang, M. 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49-55 

  20. Kim, H. Y., Park, Y. K., Kim, T. S. and Kang, M. H. (2006) The effect of green vegetable drink supplementation on cellular DNA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of Korean smokers. Korean Food Nutr. Soci. 39, 18-27 

  21. Kim, M. H., Lee, M. H., Lee, N. H., Kwon, D. J. and Choi, U. K.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aqueous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J. of the Kor. Soc. of Food Culture. 22, 182-189 

  22. Yoon, Y. S., Lee, S. H., Baek, N. I., Kim, H. Y. and Park, C. H.. (2004) Innibition of Cell Growth and Urease Activity of Helicobacter pylori by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187-191 

  23. Lee, E. S. and Seo B. I. (2005) Growth inhibit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Kor. J. Herbology. 20, 83-89 

  24. Okuyama, H. (1992) Minium requirements of n-3 and n-6 essential fatty acids for the func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and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Proceedings of the Society for Experimental Biology & Medicine 174-176 

  25. Nakayama, M., Ju, J. J. R., Sugano, M., Hirose, N., Ueki, T., Doi, F. and Eynard, A. R. (1993) Effect of dietary fat and cholesterol on dimethylbenz. (a)-anthracene-induced mam-mary tumorigenesis in Sprague-Dawley rats. Anticancer Res. 13, 6791-6798 

  26. Han, D. S., Kim, Y. I., Choi, K. E., Kwang, J. S. and Baek, S. H. (1998) Development of anticancer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Part 7. Cytotoxic activity of the chloroform soluble fraction of Perilla frutescens against human oral epitheloid carcinoma cells. Environmental Mutagens & Carcinogens. 18, 37-42 

  27. Sugaya, A., Tsuda, T. and Obuchi, T. (1981) Pharmacological studies of perillae hera I. neuropharmacological action of water extract and perillaldehyde, Yakugaku Zasshi. 101, 642-648 

  28. Kameoka, H. and Nishikawa, K. (1976) Th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from Perilla frutescens L. Brit. var. acuta Thunb. Kudo and Perilla frutescens L. Brit. var. acuta thunb. kudo f. discolor Makino. Nippon Nogeikaku Kaishi. 50, 345-349 

  29. Okuda, T., Hatano, Y., Agata, I. and Nishibe, S. (1986) The components of tannic plants in Japan. Yakugaku Zasshi. 106, 1108-1111 

  30. Honda, G., Koezuka, Y., Kamisako, W. and Tabata, M. (1986) Isolation of sedative principles from perilla frutescens. Chem. Pharm. Bull. 34, 1672-1677 

  31. Fujita, T., Nakayama, M. and Perilloside, A. (1993) A monoterpene glucoside from perilla frutesens. Phytochem. 34, 1545-1548 

  32. Fujita, T. and Nakayama, M. (1992) Monoterpene glucoside and other constituents from perilla frutescens. Phytochem. 31, 3265-3267 

  33. Aritomi, M., Kamura, T. and Kawasaki, T. (1985) Cyanogenic glycosides in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Phytochem. 24, 2438-2439 

  34. Yoshida, K., Kameda, K. and Kondo, T. (1993) Diglucanoflavones from purple leaves of Perilla acimoides. Phytochem. 33, 917-919 

  35. Tada, M., Matsumoto, R., Yamaguchi, H. and Chiba, K.. (1996) Novel antioxidants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Tunb), Biosci. Biotech. 60, 1093-1095 

  36. Bio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7. Mitsuda H, Yasumoto K, Iwami K. (1966) Antioxidative action of indol X compounds during the antioxidation of linoleic acid. Eiyo to shokuro. 19, 210-214 

  38.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39. Stripe, F. and Della, C.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40. Cho, M. J., Park, M. J. and Lee, H. S. (2007)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sterol glucoside fro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77-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