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의 향장학적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513 - 517  

박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협동과정) ,  이기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향장품 소재로 물이 IC50 680.98ppm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활성 산소 소거능에서는 50% 에탄올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IC50 646.94, IC50 661.94ppm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각 에탄올 추출물은 일정농도(100-10000ppm)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에탄올 추출 농도와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macrophage에 각각의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NO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0% 이상의 에탄올 추출물(10000ppm)에서 85%이상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보였으며,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90% 이상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각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1250-10000ppm)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소재로서 각 추출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과 항염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t 30, 50, 70, and 90% to utilize the effective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as a cosmetic and pharmaceu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각 농도별 에탄올로 추출한 자소엽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조절작용에 관해 비교 연구하였다. DPPH와 ABTS 실험결과 에탄올 추출 농도와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 농도(100-10000ppm)에따른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도하게 발현된 NO의 위험성은? 정상적인 농도로 존재하는 NO는 신경계와 심혈관계및 면역계의 전달물질로서 종양을 억제하거나 감염성 병원체에 대한 억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20]. 그러나 과도하게 발현된 NO는 독성을 가지는 radical로 작용하여 세포손상 뿐 아니라 염증반응을 비롯한 퇴행성 질환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21]. 따라서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소재에 대해 NO의 생성 억제와 소거활성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지고 있다[22].
자소엽이란? 자소엽은 차즈기(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또는 주름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의 잎과 끝가지를 말하며, 예로부터 발한, 해열, 기관지염, 위장염 등에 사용되어 왔다[2-4]. 자소엽은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균활성, 항종양효과 등에 대해 보고되어 졌으며, 특히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11].
최근 화장품, 의약품 소재로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식물성 유래의 소재를 사용하며 나타나는 문제점은? 최근 화장품, 의약품 소재로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식물성 유래의 소재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이 대표적으로 지적되는 문제점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민간 처방식 재료혼합이나, 원료물질의 안정성에 관한 자료 미흡, 유효 성분 함량의 일관성 부재 등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우수한 천연물 유래의 소재 개발을 위해 피부활성 평가, 집중기술 확보, 안전성, 유효성을 고려한 원료와 기술 확보에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D. Kim. The prospects and current situation of oriential herbal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5(1), pp. 1-7, 2007.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herbmed [internet], pharmacopeia, https://www.mfds.go.kr/herbmed/index.do (accessed Nov., 20, 2016) 

  3. J. K. Jang. Good medicinal herb for your body, p.334, Nexus Books, 2009. 

  4. Pharmacognos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Pharmacognosy, p475, Dongmyoungsa, 2014. 

  5. J. S. You, S. Y. Kim, S. H. Kim.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or. J. Pharmacogn. 43(2), pp. 163-166, 2012. 

  6. T. Makino , Y. Furuta, H. Wakushima, H. Fujii, K. Saito, Y. Kano. Anti-allergic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active constituents. Phytother Res. 17(3), pp. 240-243, 2003. DOI: https://doi.org/10.1002/ptr.1115 

  7. M. H. Kim, N. H. Lee, M. H. Lee, D. J. Kwon, U. K. Choi. Antimicrobial activity of aqueous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Korean J. Food culture. 22(2), pp. 266-273, 2007. 

  8. U. Hiroshi, Y. Chikako, Y. Masatoshi.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Biol. Pharm. Bull. 25(9) pp. 1197- 1202, 2002. DOI: https://doi.org/10.1248/bpb.25.1197 

  9. M. Linghua, F. Yves, M. Emile, L. Bin.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14(1), pp. 133-140, 2009. 

  10. M. H. Kim, W. W. Kang, N. H. Lee, D. J. Kwoen, U. K. Choi.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ea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0(4), pp. 327-333, 2007. 

  11. H. U. Son, J. C. Heo, M. S. Seo, S. H. Le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L.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Korean J. Food Preserv. 17(5), pp. 757-761, 2010. 

  12. B. Y. Kim, J. S. Jeong, H. J. Kwon, J. H. Lee, S. P. Hong. Determination of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var. acuta by Reversed-Phase HPLC. Kor. J. Herbology. 23(3), pp. 67-72, 2008. 

  13. Y. Nakamura, Y. Ohto, A. Murakami, H. Ohigashi.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Rosmarin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f. viridis. J. Agric. Food Chem., 46(11), pp. 4545-4550, 1998. DOI: https://doi.org/10.1021/jf980557m 

  14. E. A. Ainsworth, K. M. Gillespie.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in plant tissues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Nature Protocols, 2, pp. 875-877, 2007. DOI: https://doi.org/10.1038/nprot.2007.102 

  15. A. Li, A. Wang. Synthesis and properties of clay-based superabsorbent composite. European Polymer Journal. 41(7), pp. 1630-1637, 2005. DOI: https://doi.org/10.1016/j.eurpolymj.2005.01.028 

  16. H. S. Kim, M. J. Hong, I. Y. Kang, J. Y. jung, H. K. Kim, Y. S. Shin, H. J. Jun, J. K. Suh, Y. H. kang.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 pp442-447, 2009. 

  17. L. Marcocci, J. J. Maguire, M. T. Droylefaix, L. Packer. 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1(2), pp748-755, 1994. DOI: https://doi.org/10.1006/bbrc.1994.1764 

  18. R. H. Liu.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mechanism of action. J Nutr . 134(12) pp. 3479S-3485S, 2004. 

  19. P. M. Dewick. Medicinal Natural Products: A Biosynthetic Approach. p.149-151, Wiley&Sons. 2002. 

  20. D. Y. Im, K. I. Lee.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Kor. J. Pharmacogn. 43(2) pp. 173-178, 2012. 

  21. H. T. Chung, H. O. Pae, B. M. Choi, T. R. Billiar, Y. M. Kim.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2(5) pp. 1075-1079, 2001. DOI: https://doi.org/10.1006/bbrc.2001.4670 

  22. T. B. Kang, T. J. Yoon. Effect of herbal composition on alcohol degrad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mice. Korean J. Food & Nutr. 24(4), pp. 489-495, 2011. DOI: https://doi.org/10.9799/ksfan.2011.24.4.4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