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cdot}$경북지역 유방암 위험에 영향 미치는 생식적 요인 및 식품섭취 패턴
Reproductive Factor and Food Intake Pattern Influencing on the Breast Cancer Risk in Daegu${\\cdot}$Gyungbuk Area, Ko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0 no.4, 2007년, pp.334 - 346  

이은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서수원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이원기 (경북대학교 건강증진연구소) ,  이혜성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구${\cdot}$경북 지역의 103명의 유방암 환자 와 15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생식적 특성과 식품섭취패턴이 유방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설문지와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인 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식품섭취패턴에 따른 유방암의 상대적 위험도는 일반특성과 생식특성에서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들을 혼란변수로 통제한 후 산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방암 환자군의 평균 BMI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이 차이는 특히 폐경 후 여성에서 현저하였다. 환자군은 유방암 가족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유산경험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모유수유 경험과 총 모유수유기간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경구피임약과 호르몬 대체요법 등의 외인성 호르몬의 사용과 유방암 사이에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식품섭취패턴과 관련하여서는 찜조리 선호군에 비해 튀김, 구이 조리 선호군에서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일류와 해조류의 섭취 빈도가 높을수록 상대적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녹황색 및 담색 채소류와 콩류는 섭취빈도가 많을수록 위험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결과는 아니었다. 생선류, 육류, 유지류, 유제품류의 섭취빈도에 따른 위험도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녹차 커피의 경우는 일주에 2${\sim}$3회 섭취가 위험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방암의 위험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높은 BMI, 유방암 가족력, 높은 유산 경험과 낮은 모유수유 경험, 짧은 모유수유 기간으로 나타났고, 식품섭취관련 인자로는 튀김 및 볶음, 구이 등의 조리법 선호와 과일과 해조류의 낮은 섭취 빈도가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productive factors and food intake pattern which influence on the breast cancer risk in Daegu${\cdot}$Gyungbuk area. The case subjects were 103 patients newly diagnosed as breast cance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control subjects were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 지역의 103명의 유방암 환자와 15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생식적 특성과 식품 섭취 패턴이 유방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설문지와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인 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유방암 환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유방암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생식적 특성 및 식품 섭취패턴에 대해 분석하여 지역민의 유방암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으로 제한적이기는 하나 여성들의 생식적 특성과 식품 섭취 패턴이 유방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에서 환자군은 폐경 전 여성의 비율이 폐경 후 여성에 비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해조류는 폐경 후 여성에서 주 1회 섭취군에 비하여 주 2~3회 섭취하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유방암 위험도를 보였다. 신선한 과일과 채소 섭취는 유방암에 대한 보호효과를 보인다고 보고2顷)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일과 해조류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 이들 식품류가 유방암의 보호 인자인 것으로 보인다. 콩의 보호효과는 콩에 함유된 isoflavone이유방암 세포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严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과의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고 이는 국내의 타 연구 결* 과»와도 일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Republic of Korea, 2005 

  2. Go BJ, Kim MH, Chang SH, Paik SI. A clinical review of breast cancer. J Kor Surg Socie 1998; 55(6s): 959-972 

  3. Yoo KY, Noh DY, Choe KJ.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occurrence in Korean females. Korean J of Epidemiology 1995; 17: 30-47 

  4. Kelsey JL, Gammon MD, John EM. Reproductive factors and breast cancer. Epidemiol Rev 1993; 15: 36-47 

  5. Henderson BE, Ross PK, Pike MC, Casagrande JT. Endogenous hormones as a major factor in human cancer. Cancer Res 1982; 42:3232-3241 

  6. Key TJA, Pike MC. The role of oestrogen and progesterons the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breast cancer. Eur J Cancer Clin Oncol 1998; 24: 29-43 

  7. Hulka BS. Epidemiology of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Prog Clin Biol Res 1996; 395: 159-74 

  8. Kelsey JL, Gammon MD. The epidemiology of breast cancer. Cancer 1991; 41: 146-65 

  9. London SJ,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e WC, Rosner BA, Corsano K, Speizer FE. Lactation and breast cancer in a cohort of US women. Am J Epidemiol 1990; 132: 17-26 

  10. Henderson M. Current approaches to breast cancer prevention. Science 1993; 259: 630-632 

  11. Zhang Y, Rosenberg L, Colten T, Cupples LA, Palmer JR, Strom BL, Zauber AG, Warshauer Me, Harlap S, Shapiro S. Adult height and risk of breast cancer among white women in a case-control study. Am J Epidemiol 1996; 143(11): 1123-1128 

  12. Newman SC, Lees AW, Jenkins HJ.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and estrogen receptor level on survival of breast cancer patients. Int J Epidemiol 1997; 26(3): 484-490 

  13. Longnecker MP. Alcohol beverage consumption in relation to risk of breast cancer, meta-analysis and review. Cancer Cause and Control 1994; 5: 73-82 

  14. Dirx MJ, Voorrips LE, Goldbohm RA, van den Brandt PA. Baseline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history of sports participation and postmenopausal breast carcinoma risk in Netherlands Cohort Study. Cancer 2001; 92: 1638-1649 

  15. Lee IM, Cook NR, Rexrode KM, Buring JE. Lifetime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breast cancer. Br J Cancer 2001; 85: 962-965 

  16. Mordi T, Adami HO, Ekbom A, Wedren S, Terry P. Physical activity and risk for breast cancer,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swedish twins. Int J Cancer 2002; 100: 76-81 

  17. Buell P. Changing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Japanese-American women. J Natl Cancer Inst 1973; 51: 1479-1483 

  18. Ewerts M, Gill Caroline. Dietary factors and breast cancer risk in Denmark. Int J Cancer 1990; 46: 779-784 

  19. Steinmetz KA, Potter JD. Vegetable, fruit, and breast cancer. I. Epidemiology. Cancer Cause & Control 1991; 53: 283s-286s 

  20. Tannenbaum A, Silverstone H. Nutrition in relation to cancer. Adv Cancer Res 1953; 1: 451-501 

  21. Toniolo P, Riboli E, Shore RE, Pasternack BS. Consumption of meat, animal products, protein and fat and risk of breast cancer -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New York. Epidemiol 1994; 5: 391-397 

  22. Do MH, Lee SS, Jung PJ and Lee MH. Food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A case-control study. Korean J Nutrition 2001; 34(2): 165-175 

  23. Do MH, Kim HJ, Lee SS, Jung PJ, Lee MH. Breast cancer risk and dietary factor; A case-control study. J Kor Surg Soc 2000; 59(2): 163-174 

  24. Lee SA, Yoo KY, Noh DY, Choe KJ. Diet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a case-control study. J of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3;6(4): 271-276 

  25. Youm PY, Kim SH. A case-control study on dietary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stomach cancer incidence. Korean J Nutrition 1998; 31(1): 62-71 

  26. Suh SW, Koo BK, Jeon SH, Lee HS. Analysis of dietary risk factors of the colorectal cancer patients in Daegu.Kyungpook area,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005; 38(2): 125- 143 

  27. Colditz GA, Engl N. The use of estrogens and progestins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post-menopausal women. N Engl J Med 1995; 332: 1589-1593 

  28. Kim JB, Sin MH. Statistical report on registration of cancer disease in Seoul; 1998. p.1992-1995 

  29. Huang Z, Hankinson SE, Colditz GA, Stampfer MJ, Hunter DJ, Manson JE, Hennekens CH, Rosner B, Speizer FE, Willett WC. Dual effect of weight and weight gain on breast cancer risk. JAMA 1997; 278(17): 1407-1411 

  30. Mun SW, Cho SY, Lee TY, Jung YC. Studies on risk factors in cancers of the breast, uterine cervix and ovary. Korean J Epidemiology 1997;9(2): 161-179 

  31. Chu SY, Lee NC, Wingo PA, Webster LA.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Am J Epidemiol 1989; 130: 867-877 

  32. Michels KB, Hsieh CC, Trichopoulos D, Willett WC. Abortion and breast cancer risk in seven countries. Cancer Causes and Control 1995; 6: 75-82 

  33. Stoll BA. Timing of weight gain in relation to breast cancer risk. Ann Oncol 1995; 6(3): 245-248 

  34. Newcomb PA, Longnecker MP, Storer BE, Mittendorf R, Baron J, Clapp RW, Trentham-Dietz A, Willett WC. Recent oral contraceptive use and risk of breast cancer. Cancer Cause & Control 1996;7(5): 525-532 

  35. Meirik O, Lund E, Adami HO. Oral contraceptive use and breast cancer in young women: A joint national case-control study in Sweden and Norway. Lancet 1986; 2: 650-654 

  36. Deslypere JP. Obesity and cancer. Metabolism: Clin & Exp 1995; 44(suppl 3): 24-27 

  37. Munoz CM, Chavez A. Diet that prevents cancer: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Int J Cancer Suppl 1998; 11: 85-89 

  38. Howe GR, Hirohata T, Hislop TG, Iscovich JM, Yuan JM, Katsouyanni K, Lubin F, Marubini E, Modan B, Rohan T. Dietary factors and risk of breast cancer: combined analysis of 12 casecontrol studies. J Natl Cancer Inst 1990; 82: 561-569 

  39. Mousavi Y, Adlercreutz H. Genistein is an effective stimulator of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production in hepatocarcinoma human liver cancer cells and suppresses proliferation of these cells in culture. Steroids 1993; 58: 301-304 

  40. Simard A, Vobecky J, Vobecky JS. Nutrition abd life-style factors in fibrocystic disease and cancer of the breast. Cancer Res 1990; 50: 5017-5021 

  41. Missmer SA, Smith-Warner SA , Spiegelman D, Yaun SS, Adami HO, Beeson WL, van den Brandt PA, Fraser GE, Freudenheim JL, Goldbohm RA, Graham S, Kushi LH, Miller AB, Potter JD, Rohan TE, Speizer FE, Toniolo P, Willett WC, Wolk A, Zeleniuch- Jacquotte A, Hunter DJ. Meat and dairy food consumption and breast cancer: a pooled analysis of cohort studies. Int J Epidemiol 2002; 31: 78-85 

  42. Toniolo P, Riboli E, Shore RE, Pasternack BS. Consumption of meat, animal products, protein and fat and risk of breast cancer-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New York. Epidemiol 1994; 5: 391-397 

  43. Alarcon DIL, Barranco MD, Motilva V, Herrerias JM. Mediterranean diet and health: biological importance of olive oil. Curr Pharm Design 2001; 7:933-950 

  44. Mannisto S, Pietinen P, Virtanen M, Kataja V, Uusitupa M. Diet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a case-control study: Does the threat of disease have an influence on recall bias? J Clin Epidemiol 1999; 52: 429-439 

  45. Goldbohm RA, Hertog MGL, Brants HAM. Consumption of black tea and cancer risk: a prospective cohort study. J Natl Cancer Inst 1996; 8: 93-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