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유방질환 발생여부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에 대한 융합연구
Difference in lifestyle according to whether breast disease occu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2, 2019년, pp.57 - 66  

이옥숙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질환 발생여부에 따른 생활습관과 천연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기능 식품 섭취실태 차이를 확인하여 유방질환 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세 이상 60세사이의 J시 소재 M여성 전문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한 내원한 여성 중 유방질환이 있는 군을 질환군 85명, 대조군 93명 등 총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공 유산경험이 있는 경우가 유방질환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3.04배, 백미 섭취군이 유방질환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4.76배, 스트레스 해소방법의 취미생활은 하지 않는 경우가 유방질환 질환 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2.38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공 유산경험이 있고, 백미를 즐겨 먹으며, 취미생활을 하지 않는 대상자는 유방질환을 진단 받을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한 일반인을 위한 유방질환 예방홍보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breast disease by checking the difference in lifestyle and the natural estrogen-containing food intake. The subjects were women who visited the J-City Women's Hospital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disease=85, non disease=93) and to avo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 질환군과 대조군의 생활습관과 생식 관련 특성을 비교하고 질환군과 대조군의 천연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유방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 질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생식 관련 특성, 생활습관과 천연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 기능 식품 섭취실태를 조사 비교하여 일반인을 위한 유방질환 예방 교육 및 홍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방 질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인특성과 생식적인 특성 및 생활습관과 천연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기능 식품 섭취실태를 조사 비교하였고, 유방질환 발생과 관련 있는 생활습관 요인과 천연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기능 식품의 유방질환과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방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공 유산경험, 현미나 기타에 비해 백미를 즐겨 먹는 것,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취미생활을 하지 않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질환 발생 여부에 따른 생활습관과 천연 에스트로겐이나 유사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 기능 식품 섭취실태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유방질환 여부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와 천연 에스트로겐이나 유사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유방질환 발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추후 유방질환예방 중재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이란 무엇인가? 유방은 여성성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시하는 매우 중요한 신체기관이고 모유수유와 양육 이라는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여성 호르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방에서 발생하는 질환은 여성에게 매우 중요하다[1].
유밤암의 생활 습관 관련 요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암 발생은 유전, 오염된 환경, 잘못된 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유방암은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생활습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8]. 생활 습관 관련 요인으로는 수면정도, 음주, 커피 섭취, 운동부 족, 스트레스 및 서구화된 식사패턴 변화 등으로 여러 연구에서 생활 습관 요인과 식이요인 위험 요소와 유방암 발병의 관련성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9-13].
유방질환 발생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38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공 유산경험이 있고, 백미를 즐겨 먹으며, 취미생활을 하지 않는 대상자는 유방질환을 진단 받을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한 일반인을 위한 유방질환 예방홍보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I. Jo. (2010). A General Perspective on Breast Disease and Training System for Breast Cancer Specialists in Europ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3(7), 566-573.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7). 20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 

  3. M. H. Lee & S. H. Kim. (2014).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Related Factors Korea Women ever Considering Area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437-449.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1.437 

  4.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3). 2012 White paper breast cancer.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5.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2015 National Cancer Registry statistics. http://www.cancer.go.kr/lay1/S1T639C642/contents.do 

  6. J. G. Kim & L. S. Kwon. (2013).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Patients with Cancer Using EQ-5D Index-Focused on the Korea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8), 281-291. 

  7. K. H. Kim & B. Y. Chun & G. H. Kwon. (2018). Effect of behaviors Related to Chronic Disease in City Work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17-24.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017 

  8. S. J. Kim, W. J. Kim & M. C. Lee (2008).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Cancer Prevention. Korean Journal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8(2), 67-77. 

  9. M. P. Longnecker. (1994). 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in Relation to Risk of Breast Cancer: Meta-analysis and Review. Cancer Causes Control, 5(1), 73-82. 

  10. T. E. Rohan, M. Jain, G. R. Howe & A. B. Miller. (2000).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Breast Cancer: A Cohort Study. Cancer Causes Control, 11(3), 239-247. 

  11. M. H. Do, S. S. Lee, P. J. Jung & M. H. Lee. (2003). Relation of Breast Cancer Risk with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A Case-control Study. Korean Journal Nutrition 36(1), 40-48 

  12. I. M. Lee, N. R. Cook, K. M. Rexrode & J. E. Buring. (2001). Lifetime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Breast Cancer. Breast Journal Cancer, 85(7), 962-965. 

  13. T. Moradi, H. O. Adami, A. Ekbom, S. Wedren, P. Terry, B. Floderus & P. Lichtenstein. (2002). Physical Activity and Risk for Breast Cancer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Swedish Twins. International Journal Cancer, 100(1), 76-81. 

  14. M. K. Choi & Y. S. Lee. (2008) A Study on Intake of Adult Men and Women according to Intake of Improving Agents. Journal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18(5), 732-738.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Nutrition Policy and Health Functional Food Use Status and Perception Survey Results. www.mfds.go.kr 

  16. H. M. Park. (2007). The Efficacy of Phyto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0(3), 389-410. 

  17. J. Ohn, & H. J. Kim. (2012). Intake Pattern and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Web-Contents o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of Adults.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17(1), 26-37. 

  18. H. Y. Kim. (2011). A Comparative Study of Lifestyle with Cancer Patients and Control Group.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 Namdo Jinju. 

  19. C. A. Kim. (2008). Risk Factors Affecting the Onset of Breast Cancer.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 Y. J. Lee. (2016). Effect of Dietary Intake and Health Behavior on Facial Skin Condition of Middle-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1. J. E. Kim. (2013). A Study on Pregnant Women's Recognition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Gyeonggi Are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Health Functional Food Functional Raw Material Status. http://www.mfds.go.kr/search/search.do 

  23. D. H. Kang, S. W. Kim, D. Y. Rho, Y. O. Ahn & G. Y. Yoo. (2005). The Breast. Seoul : ILCHOKAK. 

  24. E. K. Han. (2018).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Women in the Postmenopausal: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59-67.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1.0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