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의 자아 근접성 척도 검증 - 노년층을 대상으로 -
Validation of the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Scale for Older Person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6 = no.165, 2007년, pp.848 - 858  

이영아 (Dept. of Textiles & Consumer Sciences, Florida Stat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복의 자아 근접성 개념을 기반으로 한 여러 연령층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004년에 Sontag과 Lee가 객관적 측정도구, 의복의 자아 근접성 척도(PCS Scale)를 개발하였다. Sontag과 Lee는 24-항목을 포함한 4-요인으로 구성된 PCS 척도를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본 연구는 그들 연구의 연계로 초기 6-요인으로 구성되었던 PCS 척도를 노년층에 적용하여 19-항목을 포함한 3-요인으로 구성된 PCS 척도를 타당화 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층이 본 연구의 표본집단으로 설정되었고 임의 표집방법을 이용, 미국 전역 1,700명의 노년 표본이 표본조사회사로부터 구입되었다. 2004년 11월 설문조사가 시작되어 2005년 2월에 총 250개의 이용 가능한 설문자료가 수집되었다(15.6%의 응답 비율). PCS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ntag과 Lee의 연구에서 사용한 요인분석신뢰도분석을 동일하게 3단계 절차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AMOS 5.0 을 사용한 3단계 신뢰도 분석 결과 19-항목을 포함한 3-요인으로 구성된 PCS척도의 타당성이 노인층을 대상으로 검증되었다. 노인층의 PCS척도는 다음의 3-요인으로 구성된다: 1) 의복이 자아 구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PCS 요인 1-2-3의 병합), 2) 의복이 평가적이고 정서적인 자존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PCS 요인 4-5의 병합), 그리고 3) 의복이 신체상과 신체에 쏟는 정신 집중정도에 미치는 영향(PCS 요인 6). Sontag과 Lee가 초기적으로 가설한 6-요인 PCS 척도는 청소년층과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어느 연구에서도 검증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이들이 검증한 청소년층의 4-요인 PCS 척도도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노인들의 자아 구성 이젊은 층보다 더 통괄/복합적인 것에서 기인된다고 보인다. 이 글은 PCS 척도의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이용방향을 끝으로 마무리 지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ntag and Lee (2004) recently developed an objectively measurable instrument, the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PCS) Scale, which measured the psychological closeness of clothing to self. They validated a 4-factor, 24-item PCS Scale for use with adolescents and identified the need for confirm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veloping a PCS Scale effective for studying the change in the importance of clothing to selfimage, selfesteem, body image, and body cathexis as people make transitions in space and time will allow for comparative and longitudinal studies and contribute to greater, in-depth understanding of clothing to self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fine a standardized,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instrument of PCS for use with older pers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buckle, J. L. & Wothke, W. (1999). Amos 4.0 user's guide. Chicago, IL: Small Waters Corporation 

  2. Bollen, K. A. & Stine, R. A. (1993). Bootstrapping goodness-of- fit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11-135).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3. Buckley, H. M. & Roach, M. E. (1974). Clothing as a nonverbal communicator of social and political attitude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3, 94-102 

  4. Cooley, C. H. (1902).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5. Creekmore, A. M. (1974). Clothing related to body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er self. (Research Rep. No. 239). East Lansing: Michiga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6. Dickey, L. E. (1967). Projection of the self through judgments of clothed-figures and its relation to self-esteem, security-insecurity and to selected cloth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7. Kwon, Y. H. (1994). Feeling toward one's clothing and selfperception of emotion, sociability, and work competency.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9, 129-139 

  8. Lee, J. (1997).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Its relationship to self-perception, clothing deprivation and gender among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9. Lee, Y. A. (2005). Older persons' successful aging: Relationships among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age identity, and self actua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10. Lynn, M. L. (1990).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lllinois, Urbana 

  11.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2.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 1). New York: Henry Holt & Co. 

  13. Mardia, K. V. & Foster, K. (1983). Omnibus tests of multinormality based on skewness and kurtosis.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Theory and methods, 12, 207-221 

  14. Mead, G H. (1967). Mind, self, and society. In C. W. Morris (Ed.), Works of george herbert mead (Vol. 1), (pp.42-335).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Raj, D. (1972). The design of sample surveys.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6. Reed, J. (1973) Clothing as a symbolic indicator of the sel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17. Roach, M. E. & Eicher, J. B. (1973). The visible self: Perspectives on dres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8. Rogers, C. R. (1951). Client-centered 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19.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20. Salant, P. & Dillman, D. A. (1994). How to conduct your own survey. New York: Wiley 

  21. Schmerbauch, D. A. (1993). Perception of the psychological closeness of dress and self-esteem by early and late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22. Shim, S., Kotsiopulos, A., & Knoll, D. S. (1991). Body cathexis, clothing attitude, and their relations to clothing and shopping behavior among 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 35-44 

  23. Slocum, A. C. (1981). Clothing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ACPTC Combined Proceedings, 38, 23-33 

  24. Sontag, M. S. (1978). Clothing as an indicator of perceived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25. Sontag, M. S. & Lee, J. (2004).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scale.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22(4), 161-184 

  26. Sontag, M. S. & Schlater, J. D. (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 1-8 

  27. Stone, G. P. (1962). Appearance and the self. In A. M. Rose (Ed.), Human behavior and social processes: An interactionist approach (pp. 86-118). New York: Houghton Mifflin 

  28. Vreeman, A. L. (1985). Apparel purchase behavior: An investigation of apparel as a high involvement produ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29. U.S. Bureau of the Census. (2003). The 65 years and over population: 2000, Washington, DC: GPO. Retrieved August 10, 2004, from http://www.census.gov/popul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