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스트레스, 가족의미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Stress, Family Meaning and Family Adaptation in Families with High Risk Neonat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4, 2007년, pp.431 - 441  

이정애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인숙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문영숙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남형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ss, family meaning and family adaptation of families with high risk neonates. Method: The date was collected on the basis of self- report questionnaires (August 2004 to March 2005); Tow-hundred twelve parents, who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스트레스, 가족의미와 적응을 설명하고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고위험 신생아가 족의 긍정적인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간호 중재 개발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가족 스트레스, 가족의미와 적응을 설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 로를 파악하는 공변량구조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해 있는 고위험 신생아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스트레스, 가족의미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 의미,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간호 중재 개발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K. H.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quality of life after illness diagnosis. In H. I. McCubbin etc,(Eds.). Stress, coping, and health in families: Sense of coherence and resiliency. 169-187, Thousand Oaks, Califonia: Sage Publications, Inc 

  2. Antonovsky, A., & Sourani, T. (1988). Family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adaptation. J Mariage Fam, 50, 79-92 

  3. Bae, C. W., Kim. M. H., Jeon, J. S., Chun, C. S., Lee, C., Moon, S. J., Yoo, B. H., Lim, B. K., Lee, S. G., Choi, Y. Y., Byun, S. H., Choi, A. H., Pi, S. Y., Han, D. G., Cho, S. H., & Yun, C. K. (1997). Neonatal statistics of korean in 1996: Collective results of live-births, neonatal mortality, and incidence of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at 64 hospitals. J Korean Soc Neonatol, 4(2), 153-169 

  4. Bienvenu, Sr. M. J. (1970).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Fam Coord, 26-31 

  5. Chon, K. K. (1999).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support. J Soc Sci Res, 6(3), 285-304 

  6.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38(5), 300-314 

  7. Hopper, A. (2000). Sources of stress for parents of a sick neonate: A literature review. Pediatr Nurs, 12(4), 29-32 

  8. Jeon, E. Y. (1996). Structural model of the family transition to living with childhood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9. Jo, H. C. (199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LISREL. Seoul: SukJung Publishing 

  10. Kim, J. Y., & Park, J. H. (1999). Stress and coping in the parents of high risk infants. J Kyungpook Nurs Sci, 3(2), 109-122 

  11. Kim, J. H. (1998). The efficiency of the interspouse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stress recogn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2. Kim, M. Y, Kwon, I. S, Kim, S. O., Kim, E. K., Kim, T. I ,Moom, J. H, Song, I. S., Hin, S. S., Shim, M. K., Lee, S. Y., Jeong, K. A, Jeong, S. E., Cho, K. C., & Choi, M. H. (2005). Wong's nursing care infants and children. Seoul: SooMoonSa 

  13. Kim, Y. H. (1990).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University, Seoul 

  14. Kim, T. I. (2000).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mother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rents. J Korea Acad Child Health Nurs, 6(2), 224-239 

  15. Lee, K. H. (1993). A structural model for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stress in families with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Lee, H. M., Kim, S. H., & Hong, S. O. (1995) The effect of wife's stress in conjugal understanding in families living apart. J Resour Dev, 14, 27-39 

  17. Lee, N. Y. (2005). Model of stress and adaptation in the parent's with high risk infa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18. Lee, Y. A. (1995). A study of perceived family adap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McCubbin, H. I., & Patterson, J. M. (1983). The Family stress Proc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H. I. McCubbin, M. B. Sussman, & J. M. Patterson(Eds.), Social stress and the family: advances and developments in family stress theory and research. 7-37. N. Y.: Haworth Press 

  20. Miles, M. S., Funk, S. G., & Carlson, J. (1993). Parental stressor sca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 Res, 42(30), 148-152 

  21. Min, H. S., & Son, M. J. (2004). The change of the mother's stress pattern with time elapse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J Korean Acad Nurs, 34(7), 1265-1276 

  22. Nam, S. J., & Choi, S. J. (1990). Social welfare methodolog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3. Olson, D. H., Porth J., & Lavee, Y. (1986). Circumplex model VII: Validation studies and FACES. Fam Process, 25(3), 337-350 

  24. Olson, D. H., Russel, C. S., & Sprenkle, D. H.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 Fam Process, 22(1), 69-83 

  25. Olson, M. B., & Hwang, C. P. (2002). Sense of coherenc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disabilities. J Intellect Disabil Res, 46(7), 548-559 

  26. Park, D. K., Kil, C. H., & Bae, C. W. (2004). Neonatal statics of Korea in 2002: Collective results of live-births, and neonatal mortality rates from 62 hospitals. J Korean Soc Neonatol, 11(2), 122-129 

  27. Patterson, J. M., & Garwick, A. W. (1994). Levels of meaning in family stress theory. Fam Process, 287-304 

  28. Shin, H. J. (2003). Maternal transition in mothers with high risk newbor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9. Song, J. K. (2005). A study on family coherence and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with epilepsy. Korean Acad Fam Soc Work, 15, 157-184 

  30. Wrbsky, P. M. (2000). Family meaning attribution in the health-illness transition to preterm bir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Twin Citie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