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만성정신질환자의 정신사회재활모형 구축
Developing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4, 2007년, pp.490 - 500  

김현숙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to suggest a hypothetical model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then to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에서는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받고있는 상태에서 여러 대상자를 동시에 조사하여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서비스를 받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경과 기간에 따른 변화를 포함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사회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기존의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정신사회 재활모형을 구축한 후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공 변량 구조 분석으로 검증한 서술적 사후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정신사회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근거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정신사회 재활 현상을 이해하고 영향요소들에 대한 간호중재 및 평가 전략 개발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정신사회재활의 선행요소인 각종 자원(개인적, 사회환경적, 대인적 자원)이 개인 내부로 투입되어 생리, 심리, 사회적 통제과정 요인들(증상, 일상생활능려 자아개념, 역할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성정신질환자의 정신사회재활(삶의 질, 사회 재적응)이 초래되는 현상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자 구성되었다.
  • 이때 보호인자란 스트레스와 취약성 사이의 완충작용을 하는 요소들을 말하며 대처기술과 능력, 사회적 지지, 임시고용을 촉진시키는 재활프로그램 등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취약성 사이의 완충작용을 하는 보호 인자들을 정신사회재활의 선행요인으로 보고자 한다. 따라서 개인의 대처방식은 개인적 자원으로, 각종 정신사회 재활프로그램 서비스는 사회환경적 자원으로,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대인적 자원으로 구성하였다.
  •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정신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이해와 정신사회재활을 이루기 위한 중재전략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Liberman(1988)의 모델과 개인의 적응반응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간호학자 Roy(1981)의 적응이론,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정신사회재활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토대로 포괄적으로 정신사회재활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thony, W. A., & Liberman, R. P. (1986). The practice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Historical, conceptual, and research base. Schizophr Bull, 12(4), 542-559 

  2. Eckman, T. A., Wirshing, W. C., Marder, S. R., Liberman, R. P., Johnston, C. K., Zimmermann, K., & Mintz, J. (1992). Technique for training schizophrenic patients in illness self-management: A controlled trial. Am J Psychiatry, 149(11), 1549-1555 

  3.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 Pers Soc Psychol, 48, 150-170 

  4. Han, K. S. (2002).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community. Korean University Nurs J, 4, 17-32 

  5. Hwang, T. Y., Son, D. S., Baik, H. U., Park, J. W., Kim, J. H., & Lee, K. H. (199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Yong-In Psychiatry Bull, 6(2), 126-137 

  6. Hyun, M. S. (1992).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discharged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J Korean Acad Nurs, 22(3), 352-361 

  7. Kahn, R. L., & Antonucci, T. C. (1980). Conveys over life course: Attachment, role and social support.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Ed by Baltes, P.B 

  8. Kang, Y. W., & Yu, L. J. (1999).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c patients between at home in group and at home with famil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8(1), 170-178 

  9. Kim, H., Lee, K. H., & Oh, S. W. (1995). Influences of stress perception, personality trait,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in schizophrenic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4(1), 228-239 

  10. Kim, J. H., & Lee, J. H. (1985). Structure of coping style factors and depression. Behavioral Science, 7, 127-138 

  11. Kim, J. S. (2001).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focused on reality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2. Kopelowicz, A., & Liberman, R. P. (1995). Biobehavior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 Harv Rev Psychiatry, 3(2), 55-64 

  13. Lee, C. S., & Kim, S. J. (200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for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llnes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1(2), 206-220 

  14. Lee, H. J., & Won, H. T. (1995). Paranoid tendency, self-concepts, and self-conscious. Korean Clinical Psychology Conference, 277-290 

  15. Lee, J. G., Han, E. S., Ahn, G. H., Kim, M. K., Kim, J. B., Son, B. H., & Lee, J. H. (1999).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needs of chronically mentally ill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s and the provider(I). Yong-In Psychiatry Bull, 6(2), 110-125 

  16. Lee, K. S., & Kim, Y. H. (1997). The effect of th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daily living skills for the chronic mentally ill.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6(2), 141-152 

  17. Lee, S. J., Cho, W. T., & Lee, C. S. (1999). Effects of grande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8(2), 369-383 

  18. Lee, S. M. (1990).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eoul: Seongwonsa 

  19. Lee, Y. P., Choi, H. S., & Park, J. I. (2001). Effects of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on clinical outcomes for person with mental illness. Korean J Social Welfare Studies, 18, 137-160 

  20. Liberman, R. P. (1988).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pati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21. Overall, J., & Gorham, D. (1962).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Psycho Rep, 10, 790-812 

  22. Rho, E. S.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he quality of life model of schizophren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3. Roy, C. (1981).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Englewood Cliffs, NY: Prentice-Hall 

  24. Rudnick, A., Psych, M., & Kravetz, S. (2001).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seeking to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J Nerv Ment Dis, 189(4), 258-262 

  25. Seo, D. U., Kim, Y. H., Bae, J., G., Sin, Y., J., Yun, M. S., Lee, K., J., Lee, J. G., Lee, S., Y., & Kim, D. J. (2001). Community mental health supporting committee report, Mental Health Supporting Committee 

  26. Wallace, C. J., Liberman, R. P., MacKain, S. J., Blackwell, G., & Eckman, T. A. (1992). Effectiveness and replicability of modules for teaching social and instrumental skills to the severely mentally ill. Am J Psychiatry, 149(5), 654-658 

  27. Won, J. S., & Cho, H. (1998).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program on perceived family support of mentally ill 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7(1), 187-198 

  28. Yang, O. K. (1994). Tool development for th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Korean J Social Welfare, 24, 157-198 

  29. Yu, S. E. (1997).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hassles, and coping style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0. Yu, S. J. (1991).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on the self-care performance for the schizophren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