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질소 개인 노출량이 기관지천식 환자의 최대호기유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on Peak Expiratory Flow in Asthmatic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0 no.1, 2007년, pp.59 - 63  

권호장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상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지영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상록 (청주 성모병원 내과) ,  황승식 (국립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Nitrogen dioxide $(NO_2)$ has been inconsistently associated with gradual decreases in lung function. Here, we studied the effects of $NO_2$ exposure in asthmatics by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lung function and concentrations of $NO_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기오염 물질 노출을 개인적으로 평가하여 오분류를 줄인 상태 에서 호흡기 에 미 치는 영 향을 평 가하는 연구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되었고 예비연구 결과는 이미 발표된바 있다 [7], 이번 연구에서는 28명의 천식환자 패널을 대상으로 4주간에 걸쳐 이산화질소 노출량과 최대호기유속 변화를 일별로 개인 수준에서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서 이산화질소 노출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천식환자에서 이산화질소의 개인 노출량과 폐기능의 관계를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노출 평가에서 이산화질소개인 노출량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질소의 개인 노출을 측정하여 최대호기유속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이산화질소 개인 노출량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ung JP, Ahn CM, Shin YW, Lee KS, Kim SK, Kim KH. A case of acute pulmonary edema caused by nitrogen dioxide inhalation. Korean J Med 1986; 30(3): 407-412 (Korean) 

  2. Utell MJ and Frampton MW. Oxides of Nitrogen. In: Toxicology of the Respiratory System, Edited by Sipies IG, McQueen CA, and Gandolfi AJ. Oxford, UK: Elservier, 1997, p. 303-312 

  3. Lee BE, Ha EH, Park HS, Kim H, Lee HJ, Lee YK, Lee SJ, Hong YC. Air pollu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of school children in a panel study in Seoul.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 38(4): 465-472 (Korean) 

  4. Luginaah IN, Fung KY, Gorey KM, Webster G, Wills C. Association of ambient air pollution with respiratory hospitalization in a governmentdesignated area of concern?: The case of Windsor, Ontario. Environ Health Perspect 2005; 113(3): 290-296 

  5. Gehring U, Heinrich J, Kr Amer U, Grote V, Hochadel M, Sugiri D, Kraft M, Rauchfuss K, Eberwein HG, Wichmann HE. Long-term exposure to ambient air pollution and cardiopulmonary mortality in women. Epidemiology 2006; 17(5): 545-551 

  6. Roemer W, Hoek G, Brunekreef B. Pollution effects on asthmatic children in Europe, The PEACE study. Clin Exp Allergy 2000; 30(8): 1067-1075 

  7. Bae KW, Kim YS, Park JS, Lee KY, Kwon HJ, Lee SR, Jee YK. Changes of lung function and symptoms of asthmatic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on-site measured $NO_2$ .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4; 24(3): 324- 330 (Korean) 

  8. Kim SK, Yim BB, Jung ES, Kim S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badge-type passive sampler for the measurement of shorttern nitrogen dioxide in ambient air. J KOSAE 2006; 22(1): 117-126 (Korean) 

  9. Liang KY, & Zeger SL. Longitudinal data analysis using general linear models. Biometrika 1986; 73(1): 13-22 

  10. Sarnat SE, Coull BA, Schwartz J, Gold DR, Suh HH. Factors affe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mbient concentrations and personal exposures to particles and gases. Environ Health Perspect 2006; 114(5): 649-654 

  11. Barck C, Lundahl J, Hallden G, Bylin G. Brief exposures to $NO_{2}$ augment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asthmatics. Environ Res 2005; 97(1): 58-66 

  12. Singh V, Khandelwal R, Gupta AB. Effect of air pollution on peak expiratory flow rate variability. J Asthma 2003; 40(1): 81-86 

  13. Higgins BG, Francis HC, Yates C, Warburton CJ, Fletcher AM, Pickering CA, Woodcock AA. Environmental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allergens and peak flow changes. Eur Respir J 2000; 16(1): 61-66 

  14. Tunnicliffe WS, Burge PS, Ayres JG. Effect of domestic concentrations of nitrogen dioxide on airway responses to inhaled allergen in asthmatic patients. Lancet 1994; 344(8939- 8940): 1733-1736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04, 2005 (Korean) 

  16. Chauhan AJ, Inskip HM, Linaker CH, Smith S, Schreiber J, Johnston SL, Holgate ST. Personal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 $NO_{2}$ ) and the severity of virus-induced asthma in children. Lancet 2003; 361(9373): 1939-1944 

  17. Schwartz J, Timonen KL, Pekkanen J. Respiratory effect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 a panel study of asthmatic and symptomatic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0; 161(3 Pt 1): 802-806 

  18. Nuhoglu C, Gurul M, Nuhoglu Y, Karatoprak N, Sonmez EO, Yavrucu S, Ozguner A. Effects of passive smoking on lung function in children. Pediatr Int 2003; 45(4): 426-428 

  19. Alipour S, Deschamps F, Lesage FX. Effect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on respiratory symptoms and pulmonary function. Inhal Toxicol 2006; 18(8): 569-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