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고유종인 섬시호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시호속 식물의 계통과 보전생물학
Phylogeny and Conservation of the Genus Bupleurum in Nor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B. latissimum, Endemic to Ulleung Islan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1, 2008년, pp.18 - 34  

안진갑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이희천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김철환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선병윤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부형태에 근거하여 한반도 시호속은 시호군(시호, 참시호), 등대시호, 그리고 개시호군(개시후, 섬시호)로 구분이 가능하다. 시호군은 경생엽이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기저부가 줄기를 감싸지 않는 유저인 반면, 개시호군과 등대시호는 경생엽이 난상 피침형 또는 제금형으로 기저부를 완전히 감싸는 이저 또는 전저이다. 그리고 시호군과 개시호군은 정생하는 복산형화서를 중심으로 복잡한 취산배열을 하는 반면, 등대시호는 정생하는 복산형화서를 중심으로 단순 취산배열을 하고 있다. 한편, 등대시호는 식물체가 소형이고 소회경의 길이가 짧고 그 수가 20여개 이르는 반면, 개시호군과 시호군은 식물체가 대형이며 소화경이 길게 신장하고 그 수가 10여개에 불과하다. 화분의 특징으로 섬시호와 개시호는 화분의 공구가 미약하게 발달하는 반면, 참시호, 시호 및 등대시호는 화분의 공구가 뚜렷하게 발달한다. 염색체는 시호가 2n=20, 참시호와 개시호가 2n=12, 등대시호 및 섬시호가 2n=16으로 관찰되었지만, 등대시호와 섬시호의 핵형이 달라서 서로 유연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에서 섬시호는 개시호와 가장 유연관계가 깊은 것으로 보이지만, 분지 분석 결과 섬시호의 유연관계는 뚜렷하게 분석 되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러시아에 분포하는 B. bicaule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전생물학적 측면에서 섬시호는 인위적 남획과 방목 염소가 최대 위협요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external morphology, each of five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1) B. falcatum group (B. falcatum, B. scorzonerifolium), 2) B. euphorbioides group (B. euphorbioides) and 3) B. longiradiatum group (B. longiradiatum, B. latissimum). B. falcatum group has cauline leaves linear o...

주제어

참고문헌 (26)

  1. Baldwin, B.G., M.J. Sanderson, J.M. Porter, M.F. Wojciechowski, C.S. Camoell and M.J. Donoghue(1995) The ITS region of muclear rivosomal DNA: a valuable source of evidence on angiosperm phylogeny. Ann. Missouri Bot. Gard 82: 247-277 

  2. Bang, J.W.(2002) Chromosome index to Korea native plants-2002. Chungnam Nat. Univ. pp. 54 

  3. Chang, H.J. and C.C. Hsu.(1974) A cytotaxonomical study on some Formosan Liliaceae. Taiwania 19: 58-74 

  4. Charkevicz, S.S.(1987) Plante vasculares orientis extremi sovietici. Leningrad. U.S.S.R. Tomus I. pp. 212-223 

  5. Choi, H.K., H.J. Kim, H.C. Shin and Y.D. Kim(1996) Phylogeny and ribosomal DNA variations of Bupleurum (Umbelliferae). Kor. J. Plant Tax. Vol. 26. No 3. 219-233 

  6. Darlington, C.D. and A.P. Wylie(1955) Chromosome Atlas of Flowering Plants. 2nd ed. 205. George Allen and Unwin LTD. London 

  7. Doyle, J.J. and J.L. Doyle(1987) A rapid DNA isolation 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 Bull. 19: 11-15 

  8. Erdtman, G.(1954) An introduction to pollen analysis. Chronica Botanica Co., pp. 204 

  9. Erdtman, G.(1966)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Angiosperms - An Introduction to Palynology. I - Hafner Publishing Co., N.Y., U.S.A 

  10. Gibson, T., D. Higgins and Thomson(1994) Clustral X Progrom. EMBL, Heidelberg, Germang 

  11. Gorovoy, P.G., L.M Ketrits and V.G. Grief(1980) A study of East Asian Bupleurum falcatum. Fedde. Repert. 91: 57-62 

  12. Gorovoy, P.G. and S.A. Volkova(1987) A morphological, geographical and karyological study of East Asian Bupleurum longiradiatum Turcz. and B. sachalinense Fr. Schnidt. Fedde. Repert. 98: 383-389 

  13. Hiroe, M.(1979) Umbelliferae of World. Vol. 1. Ariake Book Com., Tokyo, Japan 

  14. Kim, Y.S. and C.Y. Yoon(1990) A taxanomic study on the genus Bupleurum in Korea. Kor. J. Plant Tax. 20(4): 209-242 

  15.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Korea. pp. 577-578 

  16. Lee, Y.N.(1967) Chromosome numbers of flowering plants in Korea. Jour. Kor. Cult. Res. Inst., Ewha Women's Univ. 11: 455-464 

  17. Lee, W.T.(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book publ. Seoul 

  18. Lee, W.T. and I.S. Yang(1981) The flora of Ulreung Is. and Dogdo Island. Sci. Rep. Ulreung and Dogdo Islands, pp. 61-95 

  19. Levan, A., K. Fredga and A.A. Sandberg(1964) Nomenclature for centromeric position of chromosomes. Hereditas 52: 201-228 

  20. Mabberley, D.J.(1990) The plant-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Great Britain. London 

  21. Nakai, T.(1917) Notulae and plantas Japonicae et Coreae XIII. Bot. Mag. (Tokyo) 31(361): 3-30 

  22. Neves, S.S. and M.F. Watson(2004)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upleurum (Api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sequence data. Ananls of Botany 93: 379-398 

  23. Pimenov, M.G. and M.V. Leonov(1993) The genera of the Umbelliferae. A nomenclator. Roy. Bot. Gard. Kew, U.K 

  24. Shishkin, B.K.(1986) Flora of the U.S.S.R. Bishen singh mahendra pal and Koeltz scientific books. Moskva-Leningrad. U.S.S.R. Vol. XVI. pp. 275-349 

  25. Volkova, S.A., D.D. Basargin and P.G. Gorovoy(1994) Chromosome numbers in representatives of some families of the flora of Russian Far East. Botanical journal(Moscow & Leningrad). 79(6): 122-123 

  26. Yang, G.C., M.S. Song and E.S. Jeon(2002) Flora of Isl. Ullung and Dok. Ministry of Environ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