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마 품종별 잎과 잎자루의 성분특성과 항산화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ves and Stalks from Different Sweet Potato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656 - 1662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귀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잡곡과) ,  신현만 (충북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김홍식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구마 잎과 잎자루에 대한 식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4 품종의 고구마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및 항산화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K과 Ca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잎에서 15.57~20.34% 범위로 연황미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잎자루에서는 3.71~5.97% 범위로 신천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6.26~85.10 mg/g 및 40.25~68.37 mg/g 범위로 건풍미에서 가장 높았으며, 잎자루는 각각 14.60~37.93 mg/g 및 10.18~22.48 mg/g으로 신천미에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잎의 경우 건풍미와 증미에서 $IC_{50}$값이 0.109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잎자루는 신천미가 0.448 mg/mL로 가장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잎의 경우 건풍미가 58.75 mg AA eq/g으로 가장 높았고 잎자루는 대유미가 14.95 mg AA eq/g으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구마 잎이 잎자루보다 항산화활성 뿐만 아니라 단백질함량과 무기질함량이 풍부해 식품소재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ve value of sweet potato leaves and stalks by investigat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major minerals were found to be Ca and K.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leaves ranged from 15.57% in Geonpungmi to 20.34% in Yeonh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구마 잎과 잎자루에 대한 식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4 품종의 고구마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및 항산화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K과 Ca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잎에서 15.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품종별 잎과 잎자루를 이용한 식품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잎과 잎자루에 함유된 일반성분과 무기성분 함량 그리고 폴리페놀 및플라보노이드 함량 등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마가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고구마(Ipomoea batatas L.)는 전 세계적으로 보리와 쌀 등의 곡류와 함께 주요 식량자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천연의 β-카로틴과 안토시아닌, 무기물과 각종 비타민 그리고 양질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1-3). 특히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가 가능한 저공해 건강식품으로서 그 영양성과 기능성이 확인되면서 편의식품, 기호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환경적응성이 강하고, 생산단가 또한 높아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4,5).
최근 발견된 고구마 잎과 잎자루의 효능은? 특히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가 가능한 저공해 건강식품으로서 그 영양성과 기능성이 확인되면서 편의식품, 기호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환경적응성이 강하고, 생산단가 또한 높아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4,5). 최근에는 고구마 잎과 잎자루가 항산화기능, 항균작용, 항고혈압작용 및 간보호 기능과 같은 생리활성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며 (6), 천연 색소원으로 주목 받음과 더불어 건강식품으로서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7). 또한 고구마는 뿌리를 비롯해 잎과 잎자루 등 식물체 전체를 식용할 수 있으며, 고구마에는 덩이뿌리나 잎, 잎자루, 줄기에 폴리페놀 화합물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고구마의 덩이뿌리뿐만 아니라 잎이나 잎자루 그리고 줄기를 건조한 후 분말로 제조하여 빵의 반죽이나 아이스크림, 주스 및 차 등에 첨가하여 다양한 식품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8).
고구마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는 전 세계적으로 보리와 쌀 등의 곡류와 함께 주요 식량자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천연의 β-카로틴과 안토시아닌, 무기물과 각종 비타민 그리고 양질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1-3). 특히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가 가능한 저공해 건강식품으로서 그 영양성과 기능성이 확인되면서 편의식품, 기호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환경적응성이 강하고, 생산단가 또한 높아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4,5). 최근에는 고구마 잎과 잎자루가 항산화기능, 항균작용, 항고혈압작용 및 간보호 기능과 같은 생리활성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며 (6), 천연 색소원으로 주목 받음과 더불어 건강식품으로서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AO. 1997. FAO production yearbook of 199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ome, Italy. Vol 51. 

  2. Jin S, Chung MN, Kim JT, Chi HY, Son J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Crop Sci 50: 141-146. 

  3. Islam MS, Yoshimoto M, Terahara N, Yamakawa O. 2002. Anthocyanin compositions i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eav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2483-2486. 

  4. Yoshimoto M. 2001. New trends of processing and use of sweet potato in Japan. Farming Jpn 35: 22-28. 

  5. Han KH, Lee JC, Lee GS, Kim JH, Lee JS. 2002.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l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purple-fleshed sweet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73-677. 

  6. Lee JS, Shin MJ, Park YK, Ahn YS, Chung MN, Kim HS, Kim JM. 2007. Antibacterial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sweetpotato tips extract. Korean J Crop Sci 52: 303-310. 

  7. Yoshimoto M, Okuno S, Yamaguchi M, Yamakawa O. 2001. Antimutagenicity of deacylated anthocyanins in purplefleshed sweetpotato.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1652-1655. 

  8. Islam S. 2006.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eaf: its potential effect on human health and nutrition. J Food Sci 71: R13-R121. 

  9. Van AL, Hong TT, Ogle B, Lindverg JE. 2005. Utilization of ensile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leaves as a protein supplement in diets for growing pigs. Trop Anim Health Prod 37: 77-88. 

  10. Bovell-Benjamin AC. 2007. Sweet potato: a review of its past, present, and future role in human nutrition. Adv Food Nutr Res 52: 1-59. 

  11. Ishiguro K, Toyama J, Islam MS, Yoshimoto M, Kumagai T, Kai Y, Nakazawa Y, Yamakawa O. 2004. Suioh, a new sweet potato cultivar for utilization in vegetable greens. Acta Hortic 637: 339-345. 

  12. Lee JS, Park YK, Ahn YH, Kim HS, Chung MN, Jeong BC, Bang JK. 2007.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Korean J Crop Sci 52: 411-420. 

  13. AOAC. 2000. O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91.43 

  14. Lee HK, Hwang IG, Kim HY, Woo KS,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99-1404. 

  15.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Okawa M, Kinjo J, Nohara T, Ono M. 2001.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obtained from some medicinal plants. Biol Pharm Bull 24: 1202-1205. 

  18.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9. Ishida H, Suzuno H, Sugiyama N, Innami S, Tadokoro T, Maekawa A. 2000. Nutritive evaluation on chemical components of leaves, stalks and stems of sweet potatoes (Ipomoea batatas poir ). Food Chem 68: 359-367. 

  20. Li L. 1974.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and its relation to other characters in sweet potatoes (Ipomoea bataas L.). Chinese J Agric Assoc 88: 17-22. 

  21. Anonymous. 1985. Composition of the edible fiber in sweet potato tips. AVRDC Progress report. Tainan, Taiwan. p 310-313. 

  22. Woolfe JA. 1992. Sweet potato. Cambridage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p 118-187. 

  23. Jung IC, Kang SJ, Kim JK, Hyon JS, Kim MS, Moon YH. 2003.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pork saus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0-355. 

  24. Hamme LK. 1984. Influence of N source, N rate, and K rate on the yield mineral concentration of sweet potato. J Am Soc Hort Sci 109: 294-298. 

  25. Scott LE, Bouwkamp JC. 1974. Seasonal mineral accumulation by the sweet potato. J Am Soc Hort Sci 9: 233-235. 

  26. Pace RD, Sibiya TE, Phills BR, Dull GG. 1985. Ca, Fe and Zn content of 'Jewel' sweet potato greens as affected by harvesting practices. J Food Sci 50: 940-941. 

  27. Yoshimoto M, Kurata R, Okuno S, Ishiguro K, Yamakawa O, Tsubata M, Mori S, Takagaki K. 2006. Nutritional value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sweetpotato leaves. Acta Hort 703: 107-116. 

  28. Beom HJ, Kang DJ, Lee BD, Shon J, Im S, Eun JB. 200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wder from hot air and freeze dried and roots of Acorous calam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51-1457. 

  29. Liao WC, Lai YC, Yuan MC, Hsu YL, Chan CF.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sweet potato leaves in Taiwan. Food Chem 127: 1224-1228. 

  30.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112-1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