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원지역 빗물의 이온 조성
Characteristics of Ionic Composition of Rainwater in Suwo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0 no.2, 2007년, pp.151 - 155  

이종식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정구복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김진호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김원일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이정택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원지역에서 영농기간 중 강우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 39점의 빗물을 채수하여 pH 및 화학적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강우량을 고려한 가중평균(volume-weighted mean) 이온농도 변화와 알카리성 물질들에 의한 빗물의 산성도 중화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분석의 신뢰성을 검토한 이온균형과 전기전도도 수지 평가에서는 각각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분석 이온들에 대한 신뢰가 인정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빗물의 pH 분포는 pH 4.5~5.6 범위가 많았으며, 월별로는 6월이 다른 조사기간에 비해 높았다. 강우량와 빗물의 EC 관계에서는 강우량이 증가한 5월 이후 낮은 EC값을 보이다가 강우량이 적었던 10월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빗물의 조성에서 양이온 구성은 $Na^+$ > $NH^{4+}$, $Ca^{2+}$, $H^+$ > $K^+$ > $Mg^{2+}$의 순이었으며, $Na^+$, $NH_4{^+}$, $Ca^{2+}$$H^+$가 전체 양이온 함량의 93% 이상을 차지하였다. 음이온$SO{_4}^{2-}$ > $NO_3{^-}$ > $Cl^-$ 순으로 $SO{_4}^{2-}$$NO_3{^-}$가 약 86%를 차지하였다. 조사기간 중 강우 산성도 중화는 6월이 다른 기간에 비해 높았음을 보였다. 총 sulfate 함량 중 nss-$SO{_4}^{2-}$ 함량은 88%로 빗물중에 함유된 sulfate의 대부분이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기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ssue of acid precipitation and related environmental problems in East Asia have been emerging. To evaluate the acid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in Korea, its chemical properties during crop cultivation season from April to October were investigated at Suwon, Korea. Also, to es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지역의 강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조사기간 동안의 매 강우마다 빗물을 채취하여 pH 및 주요 화학성분들을 분석하였으며, 각 성분에 대한 강우량을 고려한 가중평균치의 월별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측정 pH와 기존에 보고 (Kondo, 1991)된 식에 의해 구한 이론 pH 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월별 강우 산성도 중화 정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21로 계산되었다. Na+는 해염 이외의 인위적인 발생원이 없고 해염 입자의 조성이 해수의 조성과 일치한다는 가정 하에 지표물질로 사용하였다 (Christian, 1963; Fujita et al., 2000). 계수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빗물의 화학성분의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료의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또한, 빗물의 화학성분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 검토를 위하여 각 시료에 대한 이온균형(ion balance)와 전기전도도 수지(electric conductivity balance)를 조사하였다. 이온균형은 조사 시료에 대한 양이온 총량과 음이온 총량의 당량농도비 분포를 검토하였으며, 전기전도도 수지는 측정된 빗물의 이온농도를 근거로 Kondo(1991)이 사용한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된 이론치(ECthe.
산성비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강우는 대기로부터 오염물질들을 정화하는 중요한 기작이다 (Scorer, 1994). 산성비 (acid rain)는 생활과 산업활동에서 발생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여러 물질들이 구름 내에서의 세정작용 (rainout)과 강우시 흡수와 흡착작용 (washout) 등으로 제거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Park et al., 2000).
수원지역에서 영농기간 중 강우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빗물의 화학적 성분조성을 조사한 결과, 빗물의 조성 중 양이온, 음이온의 구성은 각각 어떻게 나타났는가? 강우량와 빗물의 EC 관계에서는 강우량이 증가한 5월 이후 낮은 EC값을 보이다가 강우량이 적었던 10월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빗물의 조성에서 양이온 구성은 Na+ > NH4+, Ca2+, H+ > K+ > Mg2+의 순이었으며, Na+ , NH4+, Ca2+ 및 H+가 전체 양이온 함량의 93% 이상을 차지하였다. 음이온은 SO42- > NO3- > Cl- 순으로 SO42- 및 NO3-가 약 86%를 차지하였다. 조사기간 중 강우 산성도 중화는 6월이 다른 기간에 비해 높았음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4:36-90 

  2. Charron, A., H. Plaisance, S. Sauvage, P. Coddeville, J.C. Galloo, and R. Guillermo 2000. A study of the source-receptor relationships influencing the acidity of precipitation collected at a rural site in France. Atmospheric Environment 34:3665-3674 

  3. Christian, E. J. 1963. Air chemistry and radioactivity. Academic Press. 327-330 

  4. Contardi, V., E. Franceschi, S. Bosio, G. Zanicchi, D. Palazzi, L. Cortessogno, and L. Gaggero. 2000. On the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artistic handwork of the 'Pietra di Finale'. J. of Cultural Heritage 2:83-90 

  5. Cronan, C.S. and C.L. Schofield. 1979. Aluminum leaching response to acid precipitation: Effects on high-elevation watersheds in the Northeast. Science 204(20):304-306 

  6. Fujita, S.I., A. Takahashi, J.H. Weng, L.F. Huang, H.K. Kim, C.K. Li, F.T. Huang, and F.T. Jeng. 2000. Precipitation chemistry in East Asia. Atmospheric Environment 34:525-537 

  7. Galloway, J. N., D. Zhao, J. Xiong, and G.E. Likens. 1987. Acid rain: China, United States, and a remote area. Science 236:1559-1562 

  8. Jakobowicz, J. M. 1994. Acid rain- An issue for regional cooperation. Acid rain. Gordon & Breach Science Publishers p.129-156 

  9. Johnston, J. W., D.S. Jr. Shriner, C.I. Klarer, and D.M. Lodge. 1982. Effect of rain pH on senescence, growth, and yield of bush bean.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22(3):329-337 

  10. Johnston, D.W., and G.E. Taylor. 1989. Role of air pollution in forest decline in eastern North America.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48:21-43 

  11. Kondo, J. 1991. The ozone hole problems. Proceedings of the 2nd IUAPPA regional conference on air pollution (Vol. 1) p.17-22 

  12. Lee, J.S., G.B. Jung, J.D. Shin, and J.H. Kim. 2004. Chemical properties of rainwater in Suwon and Taean area during farming season.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4):250-2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S., B.Y. Kim, J.H. Kim, and S.G. Hong.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rainwater in Suwon and Ansung area. Korean J.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2):169-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J.S., B.Y. Kim., K.D. Woo, and G.B. Jung 1993. Study on histological pertubations of leaves of sesame after exposure to simulated acid rain. J.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6(4):308-3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J.S., J.H. Kim, G.B. Jung, and K.C. Eom. 2003. Volume-weighted ion concentration of rainwater in Suwon area during farming season.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J.S., and K.S. Lee. 2000. Neutralization Assessment of $NH_{4}^{+}$ and $Ca^{2+}$ on Acidity of Rainwater in Korea. Korean J.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9(1):7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ikens, G.E., J.N. Galloway, and T.J. Butler. 1979. Acid rain. Scientific American 241(4):39-47 

  18. Okochi, H., H. Kameda, S. Hasegawa, N. Saito, K. Kubota, and M. Igawa. 2000. Determination of concrete structures by acid deposition- An assessment of the role of rainwater on deterioration by laboratory and field exposure experiments using mortar specimens. Atmospheric Environment 34:2937-2945 

  19. Park, S.U., Y.H. Lee, and H.J In. 2000. Estimation of wet deposition of sulfate using routinely available meterological data and airmonitored data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4:3249-3258 

  20. Peart, M.R. 2000. Acid rain, storm period chemistry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stream communities in Hong Kong. Chemosphere 41:25-31 

  21. Rinallo, C. 1992; Effects of acidity of simulated rain on the fruiting of 'summerred' apple trees J. Environ. Qual. 21:61-68 

  22. Scorer, R.S., 1994. Long distance transport. Acid rain. Gordon & Breach Science Publishers p.1-34 

  23. Taniyama, T. and H. Saito. 1981. Effects of acid rain on apparent photosynthesis and grain yield of wheat, barley and rice plant. Rept. Environmental Sci. Mie Univ. 6:87-101 

  24. Takuya, K., K. Yoshishisa, and N. Keiichi. 1992. The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uptake of mineral elements in soybean plants. J. Agr. Met. 48(1):11-18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