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공유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 A대학교 신축기숙사 계획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Common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 Particular Reference of Newly Built Dormitory of A University -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7 no.4, 2007년, pp.91 - 96  

안진오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해성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gn data for planning university dormitories to meet the needs of the occupants' through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at the sampled dormitories in A University in 2006.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gram of the suitable common space in the d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계획되어 완공되었거나 계획되고 있는 5개의 대학교의 기숙사를 선정하였다. KK대학교, TK대학교, PK대학교, PS대학교, PSE대학교를 선정하여 각 대학의 신축기숙사 계획의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최근에 계획되어지는 기숙사의 공유공간별 면적구성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송병화외 1명(2004)은 거주 후 평가방법을 이용한 대학 기숙사 사용자의 만족도 및 행태조사를 이전 기숙사와 신설된 기숙사의 평가를 비교하는 사례조사의 형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달라진 기숙사 환경에서 변화되는 만족도 및 행태 등을 비교·확인하고자 하였고, 기숙사 계획 및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정훈외 2명(2005)은 전남, 전북 지역에 있는 국립 대학교 기숙사를 대상으로 기숙사의 시설현황에 따른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향후 기숙사 건축계획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병태 외 1명(2001)은 학생 기숙사의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통합적인 성능평가를 위한 기초적인 단계로서 거주 성능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럼으로써, 환경 개선에 관련된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허진선외 1명(2002)은 기숙사 단위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와 영역성 지각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거주자의 개인 특성과 거주환경 특성의 인과적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 지금 기존의 기숙사에서도 학부생에게도 PC실을 제공하려는 등 PC실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또한 외국인 교환학생들을 위한 종교실(명상실)에 대한 필요성도 언급하였다.
  • 오상훈(1985)1)은 거주자의 행위특성을 고려한 계획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기존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 공간의 크기와 종류를 조사 비교하였다. 또한, 거주자의 선호도와 개선요구사항을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발견하여 대학기숙사 설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부(1991)에서는 학생기숙사의 계획이라는 참고문헌을 발간함으로써 대학학생기숙사에 대한 기능적인 분석과 함께 세부시설의 배치와 구성을 검토해보았다.
  • 먼저 동선체계계획에 관한 설문내용에서는 공유공간의 배치에 대한 사생들의 인식정도 및 선호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분석결과 본교학생이 해외교환학생과 같은 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호경향은 산술평균결과 3.
  • 문헌고찰을 통해 지방대학교의 대학교기숙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오상훈(1985)1)은 거주자의 행위특성을 고려한 계획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기존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 공간의 크기와 종류를 조사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숙사 건축계획에 있어서 공유공간프로그램을 설문조사와 최근 타 대학 신축기숙사 사례를 토대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공간프로그램을 토대로 신축 기숙사 계획 시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숙사의 적정 규모에 따른 공유공간의 설계기준 산정 및 그 기준의 적용을 A대학교의 신축기숙사 계획안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공유공간이라 함은 기숙사생들 이 주 생활공간이자 Private 공간인 단위실(방) 공간을 제외한 학습공간, 복지지원공간, 편의지원공간, 관리공간 및 통로공간 등을 포함한 공용공간을 모두 포함한 용어임을 정의한다.
  • 본 연구의 경우 대학기숙사의 공유공간프로그램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인 공유공간의 각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과 관리자입장에서의 각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과 각 사례에서 나타나는 최근 기숙사의 계획경향을 바탕으로 그 내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 공간프로그램에서는 설문조사결과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작성된 계획기준들이 계획안의 최종의사결정과정에서 많이 수정됨에 따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적인 요구사항과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공유공간의 비율 및 면적을 전부다 반영할 수 없었다.
  • 공용공간은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공용화장실, 출입구공용라운지 등 통로적 의미의 공간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공간을 제외한 공간인 공유공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숙사 건축계획에 있어서 공유공간프로그램을 설문조사와 최근 타 대학 신축기숙사 사례를 토대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공간프로그램을 토대로 신축 기숙사 계획 시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상과 같이 대학기숙사에 대한 연구는 기숙사의 단위실에 관한 연구이거나 단위실과 공유공간, 공용공간 등의 관계설정이나 각 실에 대한 이용현황 및 만족도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럼으로써 기숙사의 계획기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지만, 실제적인 공유공간 계획을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숙사의 공유공간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프로그래밍 요구사항과 최근의 대학기숙사의 신축사례를 바탕으로 각 공유공간의 비율 및 면적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된 공유공간의 비율 및 면적을 바탕으로 하여 신축 기숙사 계획시에 적용 할 공유공간의 공간프로그래밍을 적용하고자 한다.
  • 기숙사 신축계획안을 살펴보면, 기존의 4개동의 기존 기숙사의 수용인원을 대체할 2,200명 수용 규모의 연면적 약 12,850평 (대지 면적 800평)정도로서, 1인실 100실, 2인실 1050실 정도, 3개동 15층 규모로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수용규모에 맞는 기숙사의 각 공간의 면적 프로그램을 특히, 공유공간 면적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 A대학교의 경우 기존 기숙사의 노후화로 인한 신축 기숙사의 건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고, 신세대의 주거문화를 반영하지 못한 구조로 이뤄져 왔었다. 이에 재학생들의 주거문화 수준을 향상시키고, 노후화로 인한 기존 기숙사의 운영으로 인한 유지 관리비 증가를 제고시키고 신축기숙사를 계획하고자 하였다. 기숙사 신축계획안을 살펴보면, 기존의 4개동의 기존 기숙사의 수용인원을 대체할 2,200명 수용 규모의 연면적 약 12,850평 (대지 면적 800평)정도로서, 1인실 100실, 2인실 1050실 정도, 3개동 15층 규모로 계획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유공간의 배치유형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의견과는 달리, 관리자가 중앙집중형 배치를 선호하는 이유는? 셋째, 공유공간의 배치유형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의견과는 달리, 중앙집중형 배치를 선호하였다. 이는 관리자로서 유지 관리의 편리함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또한, 세탁실이나, 간이주방실을 각 층에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 관리나 소음 문제, 청결성에 대한 이유로 반대하고 있었다.
대학기숙사는 시설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대학기숙사는 시설에 따라 생활, 학습, 지원, 관리공간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생활공간은 개인공간을 보호하고 쾌적한 거주공간을 확보해야하는 장소이며, 학습공간은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자율적 관리 및 다양한 방식의 조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지원공간은 여가활동 및 체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관리공간은 학생들의 생활을 지도하고, 사무행정 및 사생관리 등 업무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기숙사의 유지관리를 위한 공간을 포함한다.
대학기숙사에서 생활공간이란? 대학기숙사는 시설에 따라 생활, 학습, 지원, 관리공간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생활공간은 개인공간을 보호하고 쾌적한 거주공간을 확보해야하는 장소이며, 학습공간은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자율적 관리 및 다양한 방식의 조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지원공간은 여가활동 및 체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관리공간은 학생들의 생활을 지도하고, 사무행정 및 사생관리 등 업무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기숙사의 유지관리를 위한 공간을 포함한다. 공용공간은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공용화장실, 출입구공용라운지 등 통로적 의미의 공간을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남숙현,'대학기숙사 단위실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1981.11 

  2. 송병화, 노지웅,'기숙사에서의 만족도와 행태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4.1 

  3. 오상훈외 1명,'대학기숙사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85.4 

  4. 이병태 외 2인,'Y대학 학생기숙사 거주성능평가에 대한 연구',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01.2 

  5. 이흥선,'정보통신의 확충에 따른 대학 기숙사 단위실의 건축계획적 연구', 아주대학교석사논문, 1998 

  6. 정훈외 2명,'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전라도지역국립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5.9. 

  7. 조긍연, 송종석,'대학 기숙사의 소규모 그룹 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1991.4 

  8. 허진선, 양세화,'기숙사 단위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 및 영역성 지각과 거주만족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2.8 

  9. '학생기숙사의 계획', 교육부,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