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기숙사의 공용 및 개인생활공간 계획 - 충청권 소재 대학기숙사 사례를 중심으로 -
The Planning of Common and Living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 Focused on the Dormitory Buildings in Chung-chung Province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2 no.1 = no.96, 2013년, pp.274 - 282  

김정은 ((주)사이건축) ,  김미경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on and living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in Chungcheong province. A document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and classified into floor-plan, zoning and area. Also site visits were conducted at 8 dormitory building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충청권 소재 대학기숙사의 개인생활공간과 공용공간의 계획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기숙사 건축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기존의 대학기숙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설문조사에 의한 학생 만족도, 선호도 등에 집중되어 있어 대학기숙사의 평면과 공간구성 등 건축계획에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기숙사의 공간구성에 대한 건축계획적 측면을 파악하고 충청권 소재 대학기숙사 공용 및 개인생활공간의 계획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기숙사의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건축법상 대학기숙사는? 생활방식과 주거시설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면, 독신생활이나 가족생활이 아니며, 호텔, 여관, 상업시설도 아닌 많은 다양성을 지닌 건축형식이다. 현행 건축법상 공동주택으로 분류되며,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동취사용 구조이되, 독립된 주거형태를 갖추지 아니하는 것이라고 명시 되어 있다.1) 대학설립 운영규정 제4조 별표2에 의하여 교사시설 중 부속시설에 속하고 현재 국내에서 기숙사의 시설기준은 건축법이나 주택법에서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대학기숙사는 무엇을 의미하나? 대학기숙사는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적 목적을 지니고 숙식을 제공하는 공동주거체계를 의미 한다. 생활방식과 주거시설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면, 독신생활이나 가족생활이 아니며, 호텔, 여관, 상업시설도 아닌 많은 다양성을 지닌 건축형식이다.
대학기숙사의 평면배치형식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 대학기숙사의 평면배치형식은 각각의 단위침실이 복도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복도에서 직접 출입할 수 있는 동선을 갖는 복도중심형 기숙사(복도형)과 엘리베이터나 홀에서 현관을 통하여 거실로 진입하고 다시 거실에서 단위침실로 출입하는 동선을 갖는 거실중심형 기숙사(거실형 또는 아파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교육부, 학생기숙사의 계획, 1991 

  2. 교육인적자원부,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자료집, 1993 

  3. 이동영, 건축계획각론, 도서출판 서우, 2004 

  4. 정인국, 근대건축론, 문운당, 1991 

  5. 최규학.양용기, 학생들의 자유를 배려하는 기숙사 건축문화, 멘토프레스, 2006 

  6. J. Chaira and H. Callender. Time-saver Standards for Building Types, N.Y. McGrawhill Book Company, 2001 

  7. 김도연.윤재신, 1인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기준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8. 김형준, 대학기숙사의 평면형식에 따른 건축계획 비교연구-군산대 기숙사 사례를 중심으로-,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안진오.재해성, 대학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공유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4), 2007 

  10. 오준걸, 대학기숙사내 공용 및 개인생활 공간의 면적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논문집 10(1), 2008 

  11. 이정원, 대학기숙사 유니트 평면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하수길, 대학기숙사의 유형변화에 따른 기능별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국립대학 기숙사를 대상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건축법시행령, 별표1,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출처: http://www.law.go.kr 

  14. 대학기숙사 '별따기' 입사전쟁, 2010. 08. 06, 동아일보 출처: http://news.donga.com/3/all/20100806/303554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