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제주군 보건진료소 이용 주민의 상병양상변화 고찰(1997년~2003년)
A Study on Changes in Trends of Disease of Resid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Nam Jeju County Primary Health Care Post(1997~2003)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2 no.2, 2007년, pp.133 - 144  

강나연 (신흥보건진료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disease of residents who had treatment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in N-county over the past seven years (1997-2003). The data will assist in planning responses to changes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and in planning health promo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일차보건의료를 담당해 온 보건진료소가 설치되어지고 20년 이상이 경과하였으나 보건진료소에서 흔히 발생하는 주민의 질병양상과 건강문제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의료서비스를 균등하게 제공받지 못한 농어촌 주민들에게 최 일선에서 건강문제를 관리해 온 보건진료원들의 일차진료 내역을 근거로 하여, 제주도 보건진료소의 업무전산화가 완료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개년 간 남제주군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전체 주민의 상병양상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주요 건강문제의 변화를 파악하여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방안과 지역사회 주민건강증진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일차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주민의 상병(건강문제) 변화양상과 추이를 고찰하고, 둘째 시대에 따라 주민의 보건진료소 이용현황은 어떠한지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주민의 상병양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제주도 보건진료소의 업무전산화가 완료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보건진료원 일차진료 전산기록을 근거로 분석한 후향적 서술연구(Retrospective Descriptive Survey)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의료서비스를 균등하게 제공받지 못한 농어촌 주민들에게 최 일선에서 건강문제를 관리해 온 보건진료원들의 일차진료 내역을 근거로 하여, 제주도 보건진료소의 업무전산화가 완료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개년 간 남제주군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전체 주민의 상병양상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주요 건강문제의 변화를 파악하여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방안과 지역사회 주민건강증진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일차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주민의 상병(건강문제) 변화양상과 추이를 고찰하고, 둘째 시대에 따라 주민의 보건진료소 이용현황은 어떠한지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한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부터 5위까지는 무엇인가? 따라서 한국인 사망양상의 변화는 “퇴행성 인조질환(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 시대로 변화해 가는 양상을 또렷하게 볼 수 있다.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한 한국인의 사망원인은 1위 뇌혈관질환, 2위 심장질환, 3위 운수사고, 4위 위암, 5위 간질환 순이었으나(통계청, 1999), 2006년에는 사망원인으로 1위 악성신생물, 2위 뇌혈관질환, 3위 심장질환, 4위 당뇨병, 5위 자살 순위로 나타났다(통계청, 2006). 이것은 한국인의 생활습관 변화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는데,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육류섭취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혈중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한국 남성은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일 정도로 흡연을 많이 하고 있다.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개년도의 보건진료소 이용주민의 상병을 전산화된 자료로 분석 한 결과 어떻게 나타났는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개년도의 보건진료소 이용주민의 상병을 전산화된 자료로 분석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이용주민의 주요상병으로 1위는 호흡기계질환, 2위는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의 질환, 3위 소화기계질환, 4위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5위 순환기계질환, 6위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소견으로 상위 다빈도 질환 6대 건강문제가 전체의 91.5%를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성별에 따라 34.15%는 남자, 65.85%는 여자환자로 나타나 남성보다 여성이 보건진료소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여성건강문제에 대한 건강관리대책이 시급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에게서 흔한 다빈도 상병으로는 호흡기계 다음으로 남성에게 소화기계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여성은 호흡기계질환에 이어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의 질환과 순환기계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령별 상병으로 노년기에는 남, 여 모두 보건진료소 이용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특히 여자 노인이 전 연령층의 31.84%로 급격히 상승을 나타내었다. 노년층의 근골격계 관련 건강문제는 남자가 노년기 전체질환의 24.85%, 여자가 33.41%를 차지하고 있어 노년기 건강관리의 최다 질환으로 드러났다. 시대에 따라 상병변화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년도별로 상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건진료소 이용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제주군 보건진료소 이용주민의 상병변화의 양상은 순환기계,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 징후 및 임상검사 이상소견 관련 상병의 상승세, 호흡기, 소화기, 피부질환은 감소세로 과거 급성 감염성질환의 시대에서 만성퇴행성질환의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농어촌지역 복합질환은 여전하며 여기에 새로운 상병이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 징후 및 임상검사 이상소견의 명칭으로 상승되는 추세로 밝혀졌다. 따라서 상승추세인 순환기계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방안과 장년기 이후 계속 상승추세인 근골격계질환의 예방과 관리 방안이 가장 큰 건강문제로 지적 되었으므로 이에 따른 방안강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192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의 사망원인으로 주된 원인은 무엇이였는가? 과거에는 전염성 질환이 주요 사망 원인이었지만, 최근에는 만성 퇴행성질환이 주요 사인이 됨에 따라 전체적인 질병구조의 커다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사망양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2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는 폐렴, 결핵, 전염병의 전염성질환이 사망원인 수위를 차지하였으나, 1970년대 중반이후 뇌혈관질환, 고혈압, 악성 신생물 그리고 만성 간 질환이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들어와서는 뇌혈관질환, 심장병, 악성 신생물, 만성 간 질환이 사망원인 수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전염성질환은 10위권 아래로 밀려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