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허약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A Frailty Management Program for the Vulnerable Elderly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6 no.1, 2021년, pp.18 - 28  

안희옥 (충남 홍성군보건소) ,  진영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the suicide prevention effect could be achieved by managing the frail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Methods: This study is a single-group pre-post study design. The frailty management program was applied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the vulnerabl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8)

  1. 통계청. 2019 고령인구비율(시도/시/군/구)[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9[cited 2019 October 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 

  2. 정택수. 관심과 사랑으로 한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internet]. 서울: 노년신문. 2018[cited 2018 February 07]. Available from: http://oldagenews.co.kr/news_view.jsp?pg0&ncd1018 

  3. 통계청. 2019 국민의 삶의 질 지표[Internet]. 대전: 통계청 통계개발원. 2019 국민의 삶의 질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240245-000067-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sri/srikor/srikor_pbl/6/3/index.board?bmoderead&aSeq382522 

  4. 보건복지부. 2018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및 분석 중간보고회. 보도자료[Internet]. 세종: 자살예방정책과. 2018.12.2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7090 

  5. 국가통계포털, 주민등록인구현황-행정구역(읍면동)변/5세별 주민등록인구, 통계청,2019,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05N 

  6. 박진경. 한국 노인의 허약 경험: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한국간호과학회지. 2017;47(4):562-574.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62 

  7. 권상민.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2013;11(11):643-650. 

  8. 이인숙, 이광옥.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허약노인의 기능상태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6;27(1);51-59.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1.51 

  9.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방문건강관리). 노인: 허약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연계. 한국건강증진개발원.[교육용 매뉴얼] 생애주기별(임산부신생아, 영유아, 허약노인) 교육책자, 허약노인 관리 교육 매뉴얼(소책자). 

  10. 권상민, 박정숙.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13;25(2):194-206. 

  11. 구미옥, 은영, 김은심, 안황란, 권인수, 오현숙, 등. 노인 건강지도자 양성 전략을 적용한 경로당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간호과학학회지. 2012;42(1):125-13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125 

  12. 보건복지부.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방문건강관리). 노인 허약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연계. 방문건강관리. 건강면접조사표(만 65세 이상). 기초측정표; 2019. 94 p.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13. 황환식, 권인순, 박병주, 조비룡, 윤종률, 원장원.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 노인병학회학술지. 2010;14(4):191-202. 

  14. 강희경.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허약수준,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한국농촌간호학회지. 2017;12(1):13-27. 

  15. 박현석, 조주연, 등정영작, 이차임, 오정은, 홍성호. 노인환자에서 다양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의 비교. 대한가정의학회. 2006;27:364-369. 

  16. Sheikh, JI, Yesavage JA. A knowledge assessment test for geriatric psychiatry. Hosp Community Psychiatry 1985;36(11):1160-1166. https://doi.org/10.1176/ps.36.11.1160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aring for frail elderly people: Policies in evolution. Social Policy Studies. Paris: OECD. 1996;19:57-58. 

  18.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너지와 다량 영양소. 2020. 274 p. 

  19. 민춘기. 노인의 운동 프로그램이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효과. 체육과학연구지. 2003;21(1):95-104. 

  20. 최종환, 김종성, 조경욱, 김태완, 김현주. 12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평생체육연구소 논문집. 2000;12:27-36. 

  21. 신주희, 박종성, 진영수, 김용권. 선무운동이 심신허약 노인의 신체기능과 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2;20(1):51-56. 

  22. 이지현, 김상희. 전화코칭을 동반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방문건강관리 여성노인의 체력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6;22(3):345-354. 

  23. 권상민, 박정숙.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13;25(2):194-206. 

  24. Gin-Garriga M, Roqu-Fguls M, Coll-Planas L, Sitja-Rabert M, Salv A. Physical exercis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erformance-based measures of physical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4;95(4):753-769. 

  25. 정순둘, 구미정.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2011;52:305-324. 

  26. Chen R, Wei L, Hu Z, Qin X, Copeland JR, Hemingway H. Depression in older people in rural China. Arch Intern Med. 2005;165(17):2019-2025. https://doi.org/10.1001/archinte.165.17.2019 

  27. 김춘길. 운동 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 활동 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논문집. 1995;48(4):1201-1214. 

  28. 김이순, 정인숙, 정향미. 여성노인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과학회지. 2004;34(1):123-131. https://doi.org/10.4040/jkan.2004.34.1.12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