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어린이 정원 조성을 위한 이용자 요구도 조사 A Fundamental Study on Designing of the Children's Garde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 Focused on the User Requirement원문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future users of a children's garden felt about the designing and operation of the children's garden, which is to be constructed within Korea National Arboretum. For this study, a total of 1,855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selected and then c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future users of a children's garden felt about the designing and operation of the children's garden, which is to be constructed within Korea National Arboretum. For this study, a total of 1,855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selected and then classified by sex and grade. The survey had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following five items: necessity and advantages of the garden, plants suitable for it, artificial facilities required for it, its space structure, programs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operation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cessity and advantages of the children's garden: Some 87.7% of respondents said the garden is needed, it would serv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it would function as a resting place, and it would have educational effect; 2. Plants suitable for it: Uncommon plants which have flowers of several colors; 3. Artificial facilities required for it: Places for experience and rest; 4. Programs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maze experiencing and gardening; and 5. Operation programs: Some 86.3%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are needed. They thought educational programs providing the activities of experiencing would be preferable. This study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the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children's garden. When constructing the garden, we should have enough prior discussion for the matters listed above. Furthermore, it is needed to develop several educational programs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future users of a children's garden felt about the designing and operation of the children's garden, which is to be constructed within Korea National Arboretum. For this study, a total of 1,855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selected and then classified by sex and grade. The survey had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following five items: necessity and advantages of the garden, plants suitable for it, artificial facilities required for it, its space structure, programs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operation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cessity and advantages of the children's garden: Some 87.7% of respondents said the garden is needed, it would serv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it would function as a resting place, and it would have educational effect; 2. Plants suitable for it: Uncommon plants which have flowers of several colors; 3. Artificial facilities required for it: Places for experience and rest; 4. Programs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maze experiencing and gardening; and 5. Operation programs: Some 86.3%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are needed. They thought educational programs providing the activities of experiencing would be preferable. This study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the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children's garden. When constructing the garden, we should have enough prior discussion for the matters listed above. Furthermore, it is needed to develop several educational programs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정원의 주 이용자인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 및 장점, 공간 구성, 식재, 운영 프로그램, 관람시간 등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이용자에게 최적의 환경과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어린이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공립 및 사립수목원의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을 위한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체험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주 이용 대상인 초등학생들도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어린이 정원이란 가족 방문객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및 자연 체험을 목적으로 조성된 식물원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들을 직접보고 자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공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정원 조성계획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주 이용자인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 및 장점과 공간구성, 식재, 운영 프로그램, 관람시간 등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및 읍ㆍ면 이하 지역에 소재한 각 3개의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총 9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 표집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 중 설문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저학년 대표 학년으로 정하고, 고학년 대표 학년으로 6학년을 정하여 학교별, 대표 학년별 각 3개 반씩 총 54개 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한 반을 대략 35명으로 어림하여 총 1,890부를 발송하여 1,855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율은 98.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과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성별 학년에 따른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 및 장점,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을 위한 요구 조사(식재 조성 요구도, 공간 구성 요구도, 관람 시간 요구도), 어린이 정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형태 요구도, 체험 활동 요구도, 교육 프로그램 내용 요구도)로 크게 범주화하였으며, 설문 내용에 따라 범주별 하위 설문 문항들을 선다형, 주관식 및 긍정 정도에 따라 1~5점을 부여하는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과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성별 학년에 따른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 및 장점,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을 위한 요구 조사(식재 조성 요구도, 공간 구성 요구도, 관람 시간 요구도), 어린이 정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형태 요구도, 체험 활동 요구도, 교육 프로그램 내용 요구도)로 크게 범주화하였으며, 설문 내용에 따라 범주별 하위 설문 문항들을 선다형, 주관식 및 긍정 정도에 따라 1~5점을 부여하는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문항에 대해 2인의 국립수목원 연구사 및 생물교육과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의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국립수목원 주변 초등학교 학생 3학년과 6학년 학생 15씩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성별 학년에 따른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 및 장점,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을 위한 요구 조사(식재 조성 요구도, 공간 구성 요구도, 관람 시간 요구도), 어린이 정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형태 요구도, 체험 활동 요구도, 교육 프로그램 내용 요구도)로 크게 범주화하였으며, 설문 내용에 따라 범주별 하위 설문 문항들을 선다형, 주관식 및 긍정 정도에 따라 1~5점을 부여하는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문항에 대해 2인의 국립수목원 연구사 및 생물교육과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의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국립수목원 주변 초등학교 학생 3학년과 6학년 학생 15씩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검토 및 사전조사 후 설문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였다.
설문문항에 대해 2인의 국립수목원 연구사 및 생물교육과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의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국립수목원 주변 초등학교 학생 3학년과 6학년 학생 15씩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검토 및 사전조사 후 설문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및 읍ㆍ면 이하 지역에 소재한 각 3개의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총 9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 표집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 중 설문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저학년 대표 학년으로 정하고, 고학년 대표 학년으로 6학년을 정하여 학교별, 대표 학년별 각 3개 반씩 총 54개 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표집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 중 설문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저학년 대표 학년으로 정하고, 고학년 대표 학년으로 6학년을 정하여 학교별, 대표 학년별 각 3개 반씩 총 54개 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한 반을 대략 35명으로 어림하여 총 1,890부를 발송하여 1,855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율은 98.1%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들 중 경기도 소재의 6학년 학생들이 327명으로 가장 많으나, 학년별 지역별 연구대상자들의 분표는 대략 1:1의 비율로 구성되었다.
데이터처리
선다형 문항은 카이제곱(χ2) 독립성 검증(chi-Square Independent Test)을 수행하여 배경 변인 중 성별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기술 통계 처리되었다.
선다형 문항은 카이제곱(χ2) 독립성 검증(chi-Square Independent Test)을 수행하여 배경 변인 중 성별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기술 통계 처리되었다. 또한, 리커트 척도로 개발된 문항은 성별 및 학력에 따른 집단간 응답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수행하여 집단간 응답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알아보았다.
본 설문 조사는 2007년 6월 7일~6월 22일 사이에 임의 선정한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선다형 문항은 카이제곱(χ2) 독립성 검증(chi-Square Independent Test)을 수행하여 배경 변인 중 성별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기술 통계 처리되었다.
성능/효과
분석 결과, 다음 와 같이 전체 응답자 중 대부분(87.7%)의 초등학생들은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 정원의 장점으로는 대부분의 문항에 대한 응답 평균이 3.0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환경교육의 측면에서 ‘환경을 보호해야겠다는 필요성’이라는 문항과, 휴양적 측면에서 ‘가족과 즐거운 시간’이라는 문항, 자연생태계의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알 수 있다’는 문항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 저학년의 응답 평균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어린이 정원이 자연 생태계에 대한 교육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환경교육과 휴양에 대한 장점 또한 지니고 있음을 초등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 학년별 응답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대부분의 문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따른 몇 문항의 응답평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이는 여학생과 저학년일수록 어린이 정원의 장점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교육적 측면이나 정서적 측면에서 더 긍정적인 수용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 학년별 응답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학년이 6학년보다 대부분의 문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잎이 큰 식물’과 ‘먹을 수 있는 식물’의 응답 평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참조). 따라서 초등학생들은 식물이나 꽃의 크기, 잎의 크기나 수 등 수치적 요소보다 보다 식물의 희귀성, 열매, 꽃의 색깔과 향기, 모양 등 개인의 취향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요소에 흥미를 더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이나 저학년일수록 ‘향기가 많이 나는 식물(M=4.
001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여학생과 저학년일수록 향기가 많거나 화려한 꽃 등 오감을 만족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식물을 어린이 정원에서 보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어린이 정원 조성 시 주 이용대상인 초등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특이한 식물이나, 여학생이나 저학년 등 개인적인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고 오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식물들로 조성함으로 어린이 정원의 방문을 유도하고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여학생이나 저학년일수록 인공시설물에 대한 설치 요구도는 더 높았으며 특히 교육 공간보다 ‘식수대’나 ‘안내표지판’ 등 편의시설물이나 ‘놀이공간’이나 ‘휴식공간’ 등 심체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여학생이나 저학년일수록 장애자 이용 공간 시설에 대한 요구도도 큰 것으로 나타나 타인에 대한 배려도 높다는 것을 반영해 주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일반적이고 일방적인 ‘선생님 설명(5.3%)’, ‘시청각 교육(8.1%)’, ‘책자나 인쇄물(1.4%)’의 형태보다 직접 느끼고, 만지고, 활동해 볼 수 있는 ‘체험 활동(84.4%)’의 형태를 더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자의 87.8%가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에 긍정적이었으며, 어린이 정원은 환경 보호와 가족과의 휴양, 자연생태계의 이해 등 교육적ㆍ정서적 함양에 도움이 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 정원이 유효적절하게 계획되고 조성되어야 할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의 결과로 어린이 정원의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남학생과 고학년들의 인식 강화를 위해 이들이 더 흥미를 가지는 ‘곤충 관찰이나 채집’ 등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반영하여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둘째, 응답자들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특이한 특성을 지니거나 다양한 색깔이나 향이 많이 나는 등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식물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어린이 정원 조성계획 시 교과서 수록된 식물뿐만 아니라 특산 식물, 희귀ㆍ멸종위기 식물같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식물과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식재 계획을 고려해야 하며, 수목원의 현지 외 보전 기능에 대한 식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이 원하는 식물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기존의 공원과 차별화 될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육공간보다 편의시설이나 놀이공간, 휴식공간에 대한 조성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시간 이상의 관람시간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이용자들이 어린이 정원을 단순한 놀이 공간, 예를 들어, 놀이터나 공원과 같은 장소로 인식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식물을 접하고, 자연 체험을 위한 교육공간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84.8%가 체험 활동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식물과 자연생태계와의 관계를 포함한 통합적인 차원의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직접적인 해설과 안내 책자에 의한 간접 해설에 다소 지루함을 느끼고, 직접적인 체험 활동을 원한다.
특히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식물(예:식충식물 등)’, ‘다양한 색깔의 꽃이 피는 식물’, ‘열매나 과일과 같은 먹을 수 있는 식물’에 대한 응답 평균은 4.0 이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키가 큰 식물’, ‘꽃이 큰 식물’, ‘잎이 큰 식물’, ‘잎이 많은 식물’ 등에 대한 요구도는 다른 문항에 대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정원에서 운영되었으면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문항에서는 응답 평균이 3.0 이상으로 요구도는 높은 편이었고, 특히 ‘다양한 생물의 종류’, ‘식물과 동물의 관계’, ‘자연환경의 의미’,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에 관한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남학생, 여학생, 저학년의 응답평균이 4.0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학생이나 저학년일수록 인공시설물에 대한 설치 요구도는 더 높았으며 특히 교육 공간보다 ‘식수대’나 ‘안내표지판’ 등 편의시설물이나 ‘놀이공간’이나 ‘휴식공간’ 등 심체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정원의 주 이용자인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어린이 정원의 필요성 및 장점, 공간 구성, 식재, 운영 프로그램, 관람시간 등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이용자에게 최적의 환경과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어린이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공립 및 사립수목원의 어린이 정원 조성 계획을 위한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어린이 정원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어린이 정원을 조성하고 운영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내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적인 요소에 대한 요구도는 어린이 정원 조성계획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성별 및 학년별 요구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둘째, 응답자들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특이한 특성을 지니거나 다양한 색깔이나 향이 많이 나는 등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식물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어린이 정원 조성계획 시 교과서 수록된 식물뿐만 아니라 특산 식물, 희귀ㆍ멸종위기 식물같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식물과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식재 계획을 고려해야 하며, 수목원의 현지 외 보전 기능에 대한 식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이 원하는 식물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기존의 공원과 차별화 될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우선적으로, 기존 정적ㆍ동적인 조닝(zoning)을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을 각 공간의 연결성을 강조할 수 있도록 재구성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전체 공간이 하나의 이야기로 구성되고, 각 공간을 이동하는 과정이 하나의 주제 전개로 논리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전개된다면 개별적 공간에 대한 흥미 있는 이해와 전체공간이 주고자 하는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린이 정원 조성 시 관람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사이에 전체를 관람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해 직 간접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전체 공간이 하나의 이야기로 구성되고, 각 공간을 이동하는 과정이 하나의 주제 전개로 논리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전개된다면 개별적 공간에 대한 흥미 있는 이해와 전체공간이 주고자 하는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린이 정원 조성 시 관람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사이에 전체를 관람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해 직 간접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자가해설(self-guide)에 의한 관람은 1시간 30분 정도 수준에서 선택적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해설가에 의한 관람 해설 시작 전ㆍ후의 개괄적인 설명과 질의ㆍ응답을 고려하여 2시간 수준에서 개발할 경우 아이들의 의견에 수렴하는 범위 내에서 지루함 없이 학습ㆍ체험이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어린이 정원 조성계획 및 설계에 있어 기본 방향을 수립하고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이와 더불어 조성 후 운영 관리 프로그램이 추가 개발되어 어린이 정원이 활성화 될 수 있고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이해 당사자인 대상 학생들을 중심으로 계획단계의 참여를 파트너쉽에 의해 조성ㆍ관리단계까지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으로 발전시켜 보다 적극적인 참여주의 계획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추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어린이 정원 조성계획 및 설계에 있어 기본 방향을 수립하고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이와 더불어 조성 후 운영 관리 프로그램이 추가 개발되어 어린이 정원이 활성화 될 수 있고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이해 당사자인 대상 학생들을 중심으로 계획단계의 참여를 파트너쉽에 의해 조성ㆍ관리단계까지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으로 발전시켜 보다 적극적인 참여주의 계획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추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어디인가?
최근 국내ㆍ외적으로 체험 환경교육에 대한 강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이인식, 1994; 김성일과 황영현, 1997; 김인호 등, 1999; 김재현과 이경화, 1999; 안삼영과 김대희, 1999; 한상훈, 1999; 김인호 등, 2000; 이영 등 2000; 박태윤과 노경임, 2004). 식물원 뿐만 아니라 학교, 각종 환경 관련 기관 및 단체들에 의해서 다양한 체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사립식물원이 활발히 조성되어 다양한 식물의 전시와 교육, 이벤트 등의 운영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태진 등, 2005).
오늘날의 수목원의 기능은 어떻게 확대되고 있는가?
오늘날의 수목원은 식물 자원의 학술적ㆍ산업적 연구 등을 실시하는 시설(산림청, 2001)에서 교육, 계몽 등 사회교육기관으로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Kim, 1992).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 향상과 더불어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해 수목원의 사회적인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정원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등이 개발이 된 외국의 사례는 무엇인가?
그 후 어린이들을 위한 정원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었고, 지금까지도 교육의 장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1). 외국의 경우, 영국의 큐가든(Kew Garden), 미국 미시건대학 수목원, 뉴욕의 이타카(Ithaca) 어린이 정원 등 수목원 내에 어린이 정원을 조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들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고, 어린이 정원의 조성과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관한 논의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Heffeman, 1994; Alexander, et al., 1995; Whiren, 199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