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변화 II (도시화가 기준 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
Urbanization Effects on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0 no.7 = no.180, 2007년, pp.571 - 583  

임창수 (청운대학교 철도행정토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학적 변화는 다른 지형 및 지리적 조건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가 수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들 지형 및 지리적조건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형 및 지리적 조건이 도시화과정과 함께 수문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에너지항 및 공기동력항이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적용된 연구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56개 수문기후관측지점으로써 도시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경 10km를 중심으로 $314\;km^2$당하는 면적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지역의 도시화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토지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기준증발산의 변화정도는 도시화율의 정도에 따라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준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도시화율이 클수록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준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도시지역 내 열섬현상에 따른 기온상승과 도시치역의 주거지면적 증가에 따른 습도의 감소 그리고 풍속의 감소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습도의 감소가 기준증발산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지역 내의 태양복사량 감소에 따른 순단파복사량의 감소나 기온상승에 따른 순장파복사량의 증가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지역의 지리 및 지형조건이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56개 연구지역의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요인은 주로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안 근접성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climatic changes owing to urbanization,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on Penman-Monteith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energy and aerodynamic terms of Penman-Monteith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56 climatological stations including th...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김광섭, 황보정도 (2005). '남한지역 기온 변화의 연 추세 및 월 추세 분석.' 2005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2. Alkeed, O., Flores, C., Jinno, K., Tsutsumi, A. (2006). 'Comparison of several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methods for Itoshama Peninsula area, Fukuoka, Japan.' Memoirs of the Faculty Engineering, Kyushu University, Vol. 66, pp. 1-14 

  3. Allen, R.G., Peret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AO, ISBN 92-5-104219-5 

  4. Andersen, C.T., Foster, I.D.L. and Pratt, C.J. (1999). 'The role of urban surface (permeable pavements) in regulating drainage and evaporation: development of a laboratory simulation experiment.' Hydrological Processes, Vol. 13, pp. 597-609 

  5. Bomstein, R. and Johnson, D.S. (1977). 'Urban-rural wind velocity difference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1, pp. 597-604 

  6. Chen, D., Gao, G., Xu, C-Y, Guo, J. and Ren, G. (2005). 'Comparison of the Thornthwaite method and pan data with the standard Penman-Monteith estimates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China.' Climate Research, Vol. 28, pp. 123-132 

  7. Chow, S.D. (1992). 'The urban climate of Shanghai.'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6B, No.1, pp. 9-15 

  8. Christen, A. and Vogt, R. (2004). 'Energy and radiation balance of a central European city.' Int. J. of Clirmtology, Vol. 24, pp. 1395-1421 

  9. Englehart, P.J. and Douglas, A.V. (2003). 'Urbanization and seasonal temperature trends: Observational evidence from a data-sparse part of North America.' Int. J. of Climatology, Vol. 23, pp. 1253-1263 

  10. Gong, L., Xu, C.Y., Chen, D., Halldin, S. and Chen, Y.D. (2006). 'Sensitivity of the Penman-Monteith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to key climatic variables in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basin.' J. of Hydrology, Vol. 329, pp. 620-629 

  11. Grimmond, C.S.B. and Oke, T.R. (1998). 'Urban evapotranspiration rate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nd Urban Environment Symposium 247-250 

  12. Ichinose, T., Shimodozono, K. and Hanaki, K. (1999). 'Impact of anthropogenic heat on urban climate in Tokyo.'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3, pp. 3897-3909 

  13. Jonsson, Per (2004). 'Vegetation as an urban climate control in the subtropical city of Gaborone, Botswana.' Int. J of Clirmtology, Vol. 24, pp. 1307-1322 

  14. Monteith, J. L. (1964). 'Evaporation and environment.' Symp. Soc. Exp. Biol., Vol. XIX, pp. 205-234 

  15. Penman, H. 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Roy. Soc. London, Vol A193, pp.120-146 

  16. Ragab, R., Rosier, P., Dixon, A., Bromley, J. and Cooper, J.D. (2003). 'Experimental study of water fluxes in a residential area: 2. Road infiltration, runoff and evapo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17, pp. 2423-2437 

  17. Sailor, D.J. (1994). 'Simulated urban climate response to modifications in surface albedo and vegetative cover.'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4, pp. 1694-1704 

  18. Shashua-Bar, L. and Hoffman, M.E. (2000). 'Vegetation as a climatic component in the design of an urban street, An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cooling effect of urban green areas with trees.' Energy and Buildings, Vol. 31, pp. 221-235 

  19. Unger, J. (1999). 'Urban-rural air humidity differences in Szeged, Hungary.' Int. J. of Climatology, Vol. 19, pp. 1509-1515 

  20. Wilmers, F. (1990/91), 'Effects of vegetation on urban climate and buildings.' Energy and Buildings, Vols. 15-16, pp. 507-514 

  21. Yague, C., Zurita, E. and Martinez, A. (1991),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adrid urban heat island.'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5B, No. 3, pp. 327-3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