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약용식물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에 따른 효능 연구
The Study on the Efficacy of Herbal Plant Extracts by the Part and Solvent Extrac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3 no.2, 2007년, pp.127 - 135  

김경동 ((주)한생화장품) ,  김상진 (대전보건대학 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방화장품의 원료로써 사용이 되는 약용식물들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의 차이를 기술하였다. 기존의 단일성분 분석법보다 실제로 성분의 복합체인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와 UV흡수 관련 효능효과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약효를 가지는 약용식물들을 추출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이 있다. 같은 약용식물이라도 채취시기, 채취장소, 채취부위와 같은 채취조건들과 용매의 종류, 추출시간, 추출온도와 같은 추출조건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조건 중에서 추출용매와 채집부위는 효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약용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의 채취조건과 추출조건을 연구하여 한방원료의 개발에 있어 좀더 다양한 적용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물(Terminalia chebula, Syzygium aromaticum, Paeonia lactiflora, Morus alba, Scutellaria baicalensis)을 선정하여 추출용매와 채집부위를 변경시킴으로써 용매와 부위에 따른 효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추출시 적당한 조건을 선택한다면 사용되는 약용식물의 양을 줄이거나 좀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different solvent systems to extract active ingredients from different parts of medicinal plants used as oriental medicinal herb in the cosmetic industry. We tested efficacies related to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UV absorption of herbal extracts as c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약용식물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채취조건과 추출조건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여 한방원료의 개발에 있어 좀 더 과학적이고 다각적인 적용이 필요해지고 있다[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분석기기를 이용한 약용식물추출물의 성분분석 보다는 간단한 기기를 이용하는 효능분석을 통하여 상기조건들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목적을 추출용 매와 채취부위에 따른 효과의 차이분석으로 정하였다.
  • 먼저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목적을 추출용 매와 채취부위에 따른 효과의 차이분석으로 정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약용식물의 효능의 차이를 확인하고, 부위별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환경오염과 외부조건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하고자 개발된 화장품 및관련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9T1], 연구는 주로 항산화관련 시험법과 그리고 자외선 영역(400 nm ~ 280 nm)에서의 흡광도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 이에 환경오염과 외부조건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하고자 개발된 화장품 및관련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9T1], 연구는 주로 항산화관련 시험법과 그리고 자외선 영역(400 nm ~ 280 nm)에서의 흡광도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의 실험을 통하여 추출용매 및 채취부위에 따라 효능 및 효과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12, 13].
  • 이번 실험목적은 용매에 따른 효능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2.
  • UV (280 nm ~ 400 nm) 범위에서 2.2.3의 방법과 2.2.4 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용매에 따른 흡광도의 세기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먼저 2.
  • 물론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방법과 결과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항산화와 자외선 흡수 측면에서 진행되었고 그 범위 내에서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그 중 효능적 측면에서 고려할 요인은 추출용 매와 채취부위이다. 본 연구는 화장품산업에 원료로 쓰이는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얻어 효능을 확인하였다. 약용식물을 추출하여 이를 원료로써 사용할 때 편리성과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항산화와 자외선 흡수에 관련 실험을 통하여 효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채취 부위에 따라 효능의 차이가 발생함을 알았다. 본 연구의 목적이 용매 및 부위에 따른 효능의 차이로 한정되어 있지만 적당한 용매와 부위를 선택한다면 사용되는 약용식물의 양을 줄이거나 상대적으로 효능을 증가시켜 좀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관점에서 본다면 발생가능한 시간과 비용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도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가설 설정

  • 5의 방법으로 추출성분을 분리한 후, 용매에 대한 효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화장품용 용매의 구조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지만 극성을 가지며 유사한 분자들을 포함하고 있어 동일 약용식물에 대하여 추출되는 성분이 비슷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 J. Gwi, K. M. Lee, and D. H. Pack, Study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 Korean Chem. Eng. Res., 44, 81 (2006) 

  2. N. K. Kim, J. H. Jung, K. J. Jang, I. Y. Ko, S. W. Choi, and C. S. Yoon,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buckwheat (Fo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and its protective role against cadmium mediated stres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197 (2005) 

  3. P. Ody, Herbal insights: aclose look at active constituents of medicinal herbs, SOFW J., 121, 8 (1995) 

  4. S. I. Kreydiyyeh and J. Usta, Diuretic effect and machanism of action of action of parsley, J. Ethnopharmacol., 79, 353 (2002) 

  5. P. Cos, L. Ying, M. Calomme, J. P. Hu, K. Cimanga, B. V. Poel, L. Pieters, A. J. Vlitinck, and D. V. Berg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nd classification of flavonoids as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 scavengers, J. Nat. Prod., 6, 71 (1998) 

  6. S. J. Lee, H. J. Bu,. J. A. Lee, and D. S. Jung, Screening of plants in jeju for whitening materials in cosmeceutic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115 (2005) 

  7. J. Y. Kim, Y. H. lee, J. Y. Kim, and B. K. Roh, Study antioxidation action of lenonuri herba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189 (2005) 

  8. J. M. Sea and J. Y. Ahn,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ceae plant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499 (2004) 

  9. N. Emonet, M. T. Leccia, A. Favier, J. C. Beani, and M, J. Richard, Thiols and selenium : protective effect on human skin fibroblasts exposed to UVA radiation,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40, 84 (1997) 

  10. D. Harman,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role of free radicals in the origination and evolution of life, aging and disease processes, Alan R Liss, New York (1986) 

  11. O. I. Aruoma, Free radical in tropical diseases, Harwood Academic Publish Co., London (1993) 

  12. F. N. Ko, C. H. Liao, Y. H Kuo, and Y. L. Lin, Antioxidant properties of demethyldiisoeugenol, Biochim. Biophys. Acta., 1258, 145 (1995) 

  13. L. F. Wang and H. Y. Zha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DPPH radical-scavenging mechanism of edaravone, Bioorg. Med. Chem. Lett., 13, 378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