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조사를 통한 수익성 영향요인 분석
Profitability Influence Factor Analysis by Apartment Remodeling Case Study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8 no.2 = no.36, 2007년, pp.127 - 135  

이광섭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김기현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김경래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신동우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사업은 장기적으로 가장 비중이 크고 중요한 리모델링 시장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세대 내부 인테리어 또는 국소부위 리모델링 수준에 머무르며 수익성 향상측면과는 거리가 있는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어, 리모델링 사업의 활성화 방향에 저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주자 및 전문가의 항목별 우선순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는 사업 이후의 평가 즉, 실제 리모델링 사업 이후의 Feedback을 통한 리모델링 사업의 수익성 향상 측면의 재고라기보다는 이론적 선행연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서 리모델링 사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Pool을 도출하고, 다수의 실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바탕으로 리모델링 부문의 개선수준과 실제적 발생 수익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 세부요인들의 개선수준이 수익성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정량적인 수치로 도출하고 결과 값을 해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존 리모델링 사례에 대한 문제점을 재조명함과 동시에 향후 리모델링 사업의 방향 설정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kets for the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will be a majo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near future. However, only partial remodeling works in the apartment were done so far. This situation caused bad impact to expand the remodeling markets and less profits of the remodeling pro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거주자 설문조사를 통해투입 비용과 부문별 개선 정도를 파악하고 4) 리모델링 사업이전 대비 사업이후 변화한 수익평가를 통해서 5) 부문별 개선 정도에 따른 수익 변화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6) 이를 바탕으로 기존 사례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모델링 사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는 수요자들의 갈수록 다양해지고 높아지는 요구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리모델링 된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거주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투입된 비용과 리모델링된 각 부문별 개선 정도에 따른 수익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존 리모델링 방향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모델링의 사업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사례분석을 통하여 수익성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며, 각 사례단지의특수성이 결과 값에 미치는 외생 변수를 통제하기 위하여 다음과같은 기준에 만족하는 단지를 선정하여 조사한다.
  • 이러한 기준에 의해 도출된 수익성 영향인자는 표 5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체가 양호한 상태인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한다. 평가분야는 연구범위로 한정한 기존 리모델링 사례의 수익성 영향요인의 분석으로 하며, 평가항목은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영향요인 지표 P。이을 중심으로 개선 정도를 측정하고, 수익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 된 사례단지의 부문별 개선수준에 따른 수익성 변화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기존 리모델링의 사업전략에 대한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 및 방법에 따라수행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이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개선수준에 따른 수익성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리모델링 사업 이전부터 거주 경험이 있고, 실제로 비용을 투자하여 리모델링사업을 수행하였으며, 사업완료이후 거주 경험이 있는 거주자가 가장 설문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사례 단지 기존 거주자 2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방법에 의거하여 개인면담을 실시하고, 응답자가 설문내용을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방법을 통해 설문 응답을 얻었다.
  • 또한 각 사례의 개선부문에 따라실제적으로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리모델링 사례분석을 통하여 실질적인 경제적 가치의 변화, 즉 투입한 비용에 대한 수익과 리모델링 사업의 개선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위하여 상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하나의 변수가 다른 변수와 관련성이 있는 여부와, 관련성이 있다면 어느 정도의관련성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분석방법이다. 변수들 간의 관련성 정도는 특정변수(개선수준)의 분산 중에서 다른 변수(수익)와 같이 변화하는 분산(공분산)이 어느 정도 되는가에 따라 좌우 된다.

가설 설정

  • 단,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시황변동으로 인한 아파트 가격상승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가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국내대표시세인 KB아파트시세®와 각 해당 단지 인근의 공인중개사를 통하여 리모델링 전·후의 실거래 가격을 조사하고, 이를 경제적 가치변화의 환산 값으로 가정하여 리모델링 사업의 수익을산정하였다. 산정방법은 아래의 식과 같으며, 주택 시장의 급격한 시황변동으로 인한 아파트 가격의 이상 변화는 없었다고 가정하였다.
  • 산정방법은 아래의 식과 같으며, 주택 시장의 급격한 시황변동으로 인한 아파트 가격의 이상 변화는 없었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설교통부, 건축물의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연구, 2001 

  2. 서재웅, '노후 공동주택의 재건축과 리모델링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 윤영선, '건축물 리모델링 시장 개발 전략', 리모델링연구회, 2000 

  4. 윤영선, '수도권 지역 아파트 주민의 리모델링에 대한 의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1 

  5. 윤영선,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전망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5 

  6. 이정복, '항목별 경제적 중요도 산출에 의한 리모델링 최적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19(5), 2003 

  7.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2005 

  8. 특허청, 건축구조물의 리모델링 기술, 2004 

  9. 한국퍼실리티메니지먼트학회, 리모델링의 이해, 기문당, 2000 

  10. 황경선, '경제적 부가가치 향상 측면에서의 공동주택 리모델링 항목별 중요도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20(3), 2004 

  11. Mason, R.D., 'Statistical Techniques in Business and Economics', Irwin. Inc, 1998 

  12. Pfaffenberger, R.C. and Patterson, J.H., 'Statistical Methods', Irwin, Inc,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