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자조집단 참여 예측요인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Support Group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5, 2007년, pp.635 - 644  

오진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at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predict participation in support groups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 282 women with breast cancer from 4 hospitals located in Busan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was measured on each participant from September 2006 to Febr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질병과 관련된 특성,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방암 환자의 자조집단 참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자조집단 참여에 대한 예측요인을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유방암 진단과 치료라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처하고 적응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조집단 중심의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조 집단을 더욱 활성화하고 유방암 환자의 자조집단 참여여부에 따라 개별 환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질병인지,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응,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이 자조집단 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자조집단 참여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더 많은 유방암 환자들이 자조 집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자조집단을 통해 질병 적응과 회복에 더욱 효과적인 여러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의 자조집단 참여여부를 파악하고 자조 집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의 자조집단 참여여부의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질문지 조사를 통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며 2006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6 개월에 걸쳐 4개의 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총 28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차이를 발견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질병과 관련된 특성,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방암 환자의 자조집단 참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자조집단 참여에 대한 예측요인을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유방암 진단과 치료라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처하고 적응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조집단 중심의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ryla, C. M.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a literature review. Oncol Nurs Forum, 23(3), 441-448 

  2. Cameron, L. D., Booth, R. J., Schlatter, M., Ziginskas, D., Harman, J. E., & Benson, S. R. (2005). Cognitive and affective determinants of decisions to attend a group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som Med, 67(4), 584-589 

  3. Carver, C. S. (1997). You want to measure coping but your protocol's too long: consider the Brief COPE. Int J Behav Med, 4, 92-100 

  4. Cope, D. G. (1995). Functions of a breast cancer support group 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n ethnographic study. Cancer Nurs, 18(6), 472-478 

  5. Dies, R. R. (1985). Leadership in Short-term Group Therapy: Manipulation or Facilitation? Int J Group Psychotherapy, 35(3), 435-355 

  6. Goodwin, P. J. (2005). Support groups in advanced breast cancer. Cancer, 1 (104, 11 Suppl), 2596-2601 

  7. Gray, R., Fitch, M., Davis, C., & Phillips, C. (1997). A qualitative study of breast cancer self-help groups. Psychooncol, 6(4), 279-289 

  8. Helgeson, V. S., Cohen, S., Schulz, R., & Yasko, J. (2000). Group support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benefits from what? Health Psychol, 19(2), 107-114 

  9. Katz, A. H., Hedrick, H. L., Isenberg, D. H., Thompson, L. M., & Goodrich, T. (1992). Self-group concepts and applications. Philadelphia: The Chales Press 

  10. Kim, N. C., Kim, H. S., You, Y. S., Yong, J. S., & Song, M. S. (2003). Disease-related stress experienced by women with mastectomy: Q methodology. Korean J Women Health Nurs, 9(4), 379-389 

  11. Kim, S. W., Kim H. J., Chung, K., Noh, D., Youn, Y., Oh, S. K., & Choe, K. J. (2003). The investigation of an age as a prognostic factor of breast cancer. J Korean Surg Soc, 64(1), 20-27 

  12. Leadbeater, M. (2004). Evaluating use of a support group in secondary breast cancer care. Nurs Times, 100(50), 34-36 

  13. Lee, J., Cho, J., Oh, J., Kim, S., & Kim, Y. (2006).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for mastectomy pati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2(1), 37-46 

  14. Lehto, U. S., Ojanen, M, & Kellokumpu-Lehtinen, P. (2005).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newly diagnosed melanoma and breast cancer patients. Ann Oncol, 16(5), 805-816 

  15. Merluzzi, T, V., & Martinez Sanchez, M. A. (1997). Assessment of self-efficacy and coping with canc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 behavior inventory. Health Psychol, 16(2), 163-170 

  16. Michalec, B. (2005). Exploring the multidimensional benefits of breast cancer support groups. J Psychosoc Oncol. 23(2-3), 159-179 

  17. Montazeri, A., Jarvandi, S., Haghighat, S., Vahdani, M., Sajadian, A., Ebrahimi, M., & Haji-Mahmoodi, M. (2001). Anxie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a cancer support group. Patient Educ Couns, 45(3), 195-198 

  18. Moss-Morris, R., Weinman, J., Petrie K. J., Horne, R., Cameron, L. D., & Buik, D. (2002). The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IPQ-R). Psychol Helath, 17, 1-16 

  19. Pilisuk, M., Wentzel, P., Barry, O., & Tennant, J. (1997). Participant assessment of a nonmedical breast cancer support group. Altern Ther Health Med, 3(5), 72-80 

  20. Rankin, N., Williams, P., Davis, C., & Girgis, A. (2004). The use and acceptability of a one-on-one peer support program for Australia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Patient Educ Couns, 53(2), 141-146 

  21. Rutherford, D. E. (1988). Assessing psychosexual needs of women experiencing lumpectomy. Cancer Nurs, 11(4), 244-249 

  22. Samarel, N., & Fawcett, J. (1992). Enhancing adaptation to breast cancer: The addition of coaching to support groups. Oncol Nurs Forum, 19(4), 591-596 

  23. Stevens, M. J., & Duttlinger, J. E. (1998). Correlates of participation in a breast cancer support group. J Psychosom Res, 45(3), 263-275 

  24. Stevenson, B. S., & Coles, P. M. (1993). A breast cancer support group: Activities and value to mastectomy patients. J Cancer Educ, 8(3), 239-242 

  25. Strecher, V. J., De Vellis, B. M., Becker, M. H., & Rosenstock, I. M. (1986). The role of self efficacy in achieving health behavior change. Health Educ Quart, 13(1), 73-91 

  26. Zeigler, L., Smith, P. A, & Fawcett, J. (2004) Breast cancer: Evaluation of the Common Journey Breast Cancer Support Group. J Clin Nurs. 13(4), 467-478 

  27.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67, 361-370 

  28.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t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Pers Assess, 52,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