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자조집단 운영 현황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self-help group program in community-bas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8, 2014년, pp.449 - 458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권상민 (영남이공대학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동일한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자기관리 증진을 위한 자조집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 253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2010년 9월 3일부터 9월 20일까지 회수된 109개소의 자료를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소에서 방문간호사업을 담당하는 간호사는 평균 9.27명, 대상 보건소 중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보건소는 48개(44.0%), 자조집단 중 암 관련 프로그램이 65건(28.8%)으로 가장 많았으며, 실행예산은 500만원 이상은 19.6%로 재정적 지원이 열악한 현실이었다. 반면에 전문인력, 자조집단 관련 정보 및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자조집단을 운영하지 못하는 보건소들도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조집단 형성과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한 객관적 척도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sis self-help group program performed in community-bas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The data was collected public servants from the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of 253 public health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and was analyzed by SPSS/Win 1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사회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전국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자조집단 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체계적인 자조집단 운영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전국 253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자조집단 운영 현황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자조집단 현황을 조사하였다. 전국 253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나 109개 보건소에서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조집단 프로그램 현황, 자조집단 운영의 효과, 어려움, 활성화 방안, 자립방안 등에 대한 결과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보건소의 방문간호사 수는 평균 9.
  • 방문건강관리 대상자를 비롯하여 보건소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에게 자조집단을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능력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허약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족 및 만성질환을 가진 건강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동일한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자기관리 증진을 위한 자조집단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체계적인 자조집단 운영모형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조집단이란 무엇인가? 자조집단은 공통의 문제를 서로 나누고 상호 원조를 통해 공동의 장애나 삶을 파괴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자신들의 삶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의 집단이며, 자발적인 연합체이다[4-6]. 자조집단에서 이루어지는 정보교류는 직접적인 경험에 근거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언이나 자료를 통하여 얻은 정보보다 문제해결에 쉽게 활용될 수 있다[7].
방문건강관리 인력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는 취약계층 건강상태 인식, 건강생활 실천 유도, 건강지식 향상 등의 건강행태 개선과 정기적 건강문제 스크리닝, 증상 조절, 치료 순응 향상 등의 취약계층 건강문제 관리 등이 있다[1]. 방문간호사, 방문영양사, 방문물리치료사 등의 방문건강관리 인력들이 지역사회에 있는 취약계층 대상자들을 방문하여 건강행태를 개선시키고 이미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자조집단에서 이뤄지는 활동의 장점은 무엇인가? 자조집단에서 이루어지는 정보교류는 직접적인 경험에 근거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언이나 자료를 통하여 얻은 정보보다 문제해결에 쉽게 활용될 수 있다[7]. 같은 문제를 가진 구성원들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정서적인 지지망이 형성되고 전문가들이 제공하기 어려운 동료애와 격려 그리고 긍정적인 견해를 서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가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의 문제를 감추기보다는 드러내어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다른 사람을 도와줌으로써 자신감, 동료의식, 지속적인 사회 지지망을 가질 수 있으며, 치료와 적응에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 등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guide: Field of visiting health car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3. W. Cheong, J. Yim, D. K. Oh, J. S. Im, K. P. Ko, & Y. M. Kim, Effects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based on clinics for blood pressure or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type 2 diabetes mellitu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Vol 38, No 2, pp. 108-11, 2013. 

  4. E. J. Kim, H. J. Kim, B. R. O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changing of poor single mother self-help group.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41, No 1, pp.5-37, 2010. 

  5. Zastrow, C., Social work with groups: Using the class as a group leadership laboratory. Chicago: Nelson-Hall, 1990. 

  6. Katz, A. H., Hedrick, H. L., Isenberg, D. H., Thompson, L. M., & Goodrich, T, Self-help Concepts and Applications, Philadelphia: The Charless Press, 1992. 

  7. S. H. Tark, The effect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 on the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female heads experiencing poverty.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6. 

  8. Y. H. Lee, & S. Y. Hwa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control and quality of family life improve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Vol 15, No 1, pp. 293-314, 2013. 

  9. Mueller, T. G., Milian, M., & Lopez, M. I, Latina mothers' views of a parent-to-parent support group in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Research &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 34, No 3-4, pp. 113-122, 2009. 

  10. M. L. Hong, Comparative study on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in the urban communities of the low-income class: With focus on legal advocacy strategy and self-help strategy. Ewha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999. 

  11. Tesoriero, F, Strengthening communities through women's self groups in South India.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Vol. 41, No 3, pp. 321-333, 2005. 

  12. K. J. Le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self-help group disabled people and implication of independent living. The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pp. 171-176, 2006. 

  13. J. S. Kim, S. I. Lee, K. T. Kim, & N. H.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help program with care burden for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6, No 3, pp. 260-269, 2005. 

  14. Kotani, K., & Sakane, N, Effects of a self-help group for diabetes care in long-term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 experience in a Japanese rural community. Aust J Rural Health, Vol 12, pp. 251-252, 2004. 

  15. Goodwin, P, Support groups in advanced breast cancer. Cancer, Vol 1(104, 11 Suppl), pp. 2596-2601, 2005. 

  16. Leadbeater, M, Evaluating use of a support group in secondary breast cancer care. Nurs Times, Vol 100, No 50, pp. 34-36, 2004. 

  17.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Estimation of optimal workload for the visiting nurses of customizing health care through the job analysis, Suwon: Ajou University, 2010.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19. J. H. Lee, J. I. Park, J. H. Kang, J. H. Youm, D. H. Koh, & K. S. Kwon, Needs assessment for beneficiarie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project.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Vol 36, No 4, pp. 238-20, 2011. 

  20. H. Y. Yang, Nursing meeting as the mental support system for the single moms. KASPF, Vol 2, No 1, pp. 39-56, 2009. 

  21. E. S. Kim, Self-help group for diabetic patient. The J of Korean Diabetes, Vol 10, No 4, pp. 255-259. 2009. 

  22. Wituk, S., Shepherd, M., Warren, M., & Meissen, G,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rvival of self-help group." American J of Psychology, Vol 30, No 3, pp. 349-366, 2002. 

  23. J. S. Park,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help operation model for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in Dae-gu, Dae-gu: Hanbit compan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