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재하중 이격거리에 따른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Behavior of Tiered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nsidering the Offset Distance by Surcharge Load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0 no.4, 2007년, pp.31 - 40  

한중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지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  홍기권 (중앙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scale in the fiel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has been grown up like tiered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However, there have been increasing number of collapse accidents and large scale of collapse. The design manual adopted in the construction fields have been inconsiste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단식 보강토옹벽에서 상단의 옹벽 배면에 성토체가 상재하중으로서 존재할 때 상단옹벽과 하단옹벽간의 이격거리 및 상재하중으로 작용하는 성토체와 상단옹벽간 이격거리의 영향을 고려하여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PLAXIS Ver.8.2)을 통한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 · 하단 옹벽의 이격거리 및 최상단의 상재하중과 상단옹벽의 이격거리가 보강토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90case의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절에서는 토목섬유로 보강된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경우, 옹벽 간 및 성토체의 이격거리가 하단 보강토옹벽에 전이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PLAXIS(Ver.8.2)를 이용하여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거동 해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설계 제시안에서는 상단옹벽을 하단옹벽에 대한 상재하중으로 간주하여 하단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므로 상단옹벽과 하단옹벽 간의 이격거리는 내⋅외적 안정성 검토시 중요한 영향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NCMA 및 FHWA에서는 상단옹벽을 등가연직하중으로 처리하여 상재하중을 포함한 상태에서 활동파괴면을 가상으로 가정하여 이격거리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한다. NCMA에서는 상 · 하단 옹벽 높이에 대한 이격거리를 반복법을 사용하여 보강재 길이를 결정하고, FHWA에서는 그림 2(b)와 같이 이격거리에 따른 파괴면의 경우를 3가지로 분류하여 시공조건에 따라 반영하도록 제안하고 있다(NCMA, 1997; FHWA, 2001).
  • NCMA(1997)에서는 상단옹벽의 안정을 고려한 하단부 보강재의 길이를 먼저 설정한 후 상단 및 하단부의 이격거리를 토대로 상단부 옹벽의 영향을 등가연직하중으로 환산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을 계산한다. 이와 같은 보강재길이는 내적 안정성을 검토하는데 적용하고 있으며, 이때에 상단부 옹벽은 단일옹벽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전체 안정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하단옹벽의 보강재의 길이를 먼저 가정하여 가상 파괴면을 설정한 후 그림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단옹벽으로 인한 등가상재하중을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하단옹벽에 대한 외적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보강재길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강토옹벽공법이란? 보강토옹벽은 토목섬유를 이용하여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으로, 경제성, 시공성 등이 우수하여 최근 보강토옹벽 및 보강사면으로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이 대규모화됨으로 인해 단일 보강토구조물 및 다단식 보강토옹벽과 같은 복합구조체로 시공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시공 중 또는 시공 후 붕괴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고, 붕괴규모도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보강토옹벽공법의 활용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보강토옹벽은 토목섬유를 이용하여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으로, 경제성, 시공성 등이 우수하여 최근 보강토옹벽 및 보강사면으로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이 대규모화됨으로 인해 단일 보강토구조물 및 다단식 보강토옹벽과 같은 복합구조체로 시공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시공 중 또는 시공 후 붕괴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고, 붕괴규모도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보강토옹벽 및 보강사면으로의 활용에서 구조물이 대규모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는? 보강토옹벽은 토목섬유를 이용하여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으로, 경제성, 시공성 등이 우수하여 최근 보강토옹벽 및 보강사면으로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이 대규모화됨으로 인해 단일 보강토구조물 및 다단식 보강토옹벽과 같은 복합구조체로 시공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시공 중 또는 시공 후 붕괴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고, 붕괴규모도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다단식 보강토옹벽에서의 대규모 붕괴원인으로는 설계 시 시공상태 및 주위환경조건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시공과정 및 시공 후의 관리 소홀 등의 영향이라고 분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