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성인의 영양소 섭취량 및 식사 다양성 평가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2 no.5, 2007년, pp.583 - 591  

김소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 ,  김주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 ,  류경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양실) ,  손정민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et diversity,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 of obese adults who were visiting the health promotion center. This study was accomplished with the 138 obese adults (men = 103, women= 35) aged over 20 years old whose BMI were above $25 kg/m^2$.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성 및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식사 다양성을평가하는 지표의 유용성에 대하여도 평가하여 ,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비만인 대상의 영양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생활습관 치료가 필요한 비만인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비만인을 대상으로 식형태, 외식 및 간식 등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 식사의 다양성 및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식사 다양성을평가하는 지표의 유용성에 대하여도 평가하여 ,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비만인 대상의 영양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하였다.
  • 1 정도로 나따난 결과와 비교할 때 본 대상자들의 식사 다양^은 유사하였다(Lim 둥 2000) . 비만인들의 균형 잡힌 영양 섭취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군 섭취에 따론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DDS에 따른 MAR의 값은 DDS가 3점인 경우 0.
  • 식사 다양성과 영양섭취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DVS와 영양섭취와의 관련성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만인의 경우에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게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는 것이 영양소 섭취상태를 향상시킨다는 점을 확인 하였다(Rise & Daehler 1986; Kim & Moon 1990; Lee & Chang 2003; Lee 등 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meron NE, Van Staveren WA (1998): Manual on methodology for food consumpt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 Chung CE, Lee JS (2005):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d Adults. Korean J Nutr 38(10): 856-863 

  3. Drewnowski A, Henderson SA, Driscoll A, Rolls BJ (1996): The Dietary Variety Score: assessing diet quality in healthy young and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97(3): 266-271 

  4. Farchi G, Mariotti S, Menotti A, Seccareccia F, Torsello S, Fidanza F (1989): Diet and 20-y mortality in two rural population groups of middle-aged men in Italy. Am J Clin Nutr 50(5): 1095-1103 

  5. Gibson RS (1990):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data. In: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pp.137-154,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6. Guthrie HA, Scheer JC (1981): Validity of a dietary score for assessing nutritive adequacy. J Am Diet Assoc 78(3): 240-245 

  7. Jun YS, Choi MK, Bae YJ, Sung CJ (2006): Effect of Meals variety on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Korean J Food Culture 21(2): 216-224 

  8.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ei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J Am Diet Assoc 91: 1526-1531 

  9. Kant AK, Schatzkin A, Harris TB, Ziegler RG, Block G (1993): Dietary diversity and subsequent mortality in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Clin Nutr 57(3): 434-440 

  10. Kant AK, Schatzkin A, Ziegler RG (1995): Dietary diversity and subsequent cause-specific mortality in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J Am Coli Nutr 14(3): 233-238 

  11. Kim JY, Moon SJ (1990):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3(5): 309-316 

  12.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5): Report in cut-off point of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for criteria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mong Korean. pp2-3. Seoul 

  13.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S, Guthrie HA, Krebs-Smith J (1987): The effect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87: 897-903 

  14. La Vecchia C, Munoz SE, Braga C, Fernandez E, Decarli A (1997): Diet diversity and gastric cancer. Int J cancer 72(2): 255-257 

  15. Lee JE, Ahn YJ, Kim KC, Park C (2004): Study on the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ean J Nutr 37(10): 908-916 

  16. Lee JH, Chang KJ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intake and nutrient intak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clas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 Nutr 8(5): 689-698 

  17.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 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2):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Nutr 31(3): 343-353 

  18. Lim HS, Lee JA, Jin HO (2000): The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Korean J of Human Ecology 3(1): 15-24 

  19. Marion MH, Annie SA, Geraldine NM, Norton LN (2006): Situational effects on meal intake: A comparisonof eating along and eating with others. Physiology & Beh 88: 498-505 

  20. McCrory MA, Fuss PJ, Mccallum JE, Yao M, Vrnken AG, Hays NP, Roberts SB (1999): Dietary variety within food groups: association with energy intake and body fatness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69: 440-447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2. Moon SJ (1996): Korean nutrition problem. Korean J Nutr 29(4): 371-3800 

  23. Oh SY (2000): Analysis of methods in dietary quality assessment. Korean society of Comm Nutr 춘계학술대회, pp.13-21 

  24. Park EM, Paik HY, Kim JS, Wen Y (2000): Comparative assessments of dietary intake of Korean-Chinese and Kore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5): 368-378 

  25. Park SE, Paik HY Yu CH, Lee JS Moon HK., Lee SS, Shin SY, Han OJ (199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ood intake of people living rural areas. Korean J Nutr 32(3): 307-317 

  26. Patterson RE, Haines PS, Popkin BM (1994): Dietary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J Am Diet Assoc 94(1): 57-64 

  27. Randall E, Nichaman MZ, Contant CF (1985):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J Am Diet Assoc 85: 830-836 

  28. Rise CP, Daehler JL (1986): Evaluation of the nutrient Guide as a dietary assessment tool. J Am Diet Assoc 86(2): 228-233 

  29. Sea MM, Woo J, Tong PC, Chow CC, Chan JC (2004): Associations between food variety and body fatness in Hong Kong chinese adults. J Am Coli Nutr 23(5): 404-413 

  30. Song YJ, Paik HY (1998): Seasonal variation of dietary intake and quality from 24 hour recall survey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J Korean Sac Food Sci Nutr 27(4): 775-784 

  31. Song YJ, Paik HY, Lee YS (1998): Qualitative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J Korean home economic assoc 36(12): 201-216 

  3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33. WHO western pacific reg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34. Yoon JS, Choi MJ (2003):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health indicators of residents in Daegu. Korean J. Food Culture 18(1): 17-27 

  35. 한정혜(2002):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식사. 국민영양 221: 2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