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및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 Relationships with Parents, Self-esteem and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school Students원문보기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의 9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최종 878부(남학생 437명, 여학생 4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영역별 활용도의 차이에서는 '청소년의 특성' 단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고, '규칙적인 생활',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형성'의 문항에서 남학생의 활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가 높았고,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 '성과 이성교제', '나와 가족관계'에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실생활에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의 9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최종 878부(남학생 437명, 여학생 4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영역별 활용도의 차이에서는 '청소년의 특성' 단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고, '규칙적인 생활',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형성'의 문항에서 남학생의 활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가 높았고,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 '성과 이성교제', '나와 가족관계'에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실생활에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elf-esteem on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school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0 students of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ho reside in Seoul and 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elf-esteem on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school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0 students of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ho reside in Seoul and 878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more applications of a characteristic of adolescent in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on middle-school students' application the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self-esteem. Middle-school students'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and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elf-esteem on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school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0 students of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ho reside in Seoul and 878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more applications of a characteristic of adolescent in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on middle-school students' application the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self-esteem. Middle-school students'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and self-este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내용을 실생활에서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자신이 인식하는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가정교과 가족생활영역의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나와 가족을 이해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 가정교과가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교과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따른 중학생의 가정교과 가족생활영역의 활용도 차이를살펴보고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이 인식하는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가정교과 가족생활영역의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봄으로써 나와 가족을 이해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 가정교과가 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교과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가정교과의 가족생활 영역에 있어나와 가족의 이해에 대한 내용의 확충과 교수학습방법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되어 가정교과가 학생들의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실생활에까지 활용할 수 있는 교과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가설 설정
교육과정의 8종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기초로하였다. 설문내용은 중학교 기술.
제안 방법
중학생인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PBI(Parent Bonding Instrument)의 14문항을 수정하여 8문항으로 재구성한 이정선(200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5점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와 자녀와의관계가 긍정적임을 나타낸다.
가정 교과서를 기초로하였다. 설문내용은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에서 '나와 가족의 이해' 내용의 총 22문항으로 단원별로 '청소년의 특성'에서 6문항, '성과 이성교제, 에서 5문항, '나와 가족, 에서 11문항으로 작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일반 중학교 1학년의 남녀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시기는 중학교 1학년 1학기에 가족생활영역을 배운 후인 2006년 9월에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006년 8월30일서울 소재의 한 중학교(남녀공학) 1학년 40명을 대상으로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006년 8월30일서울 소재의 한 중학교(남녀공학) 1학년 40명을 대상으로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관한 본 조사는 2006년 9월 4일부터 9월 13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서울시 중학교 7개 학교(남녀공학, 남학교, 여학교) 를 임의로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부실 기재된 22부를 제외한 나머지 총 878부(남학생 437, 여학생 44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006년 8월30일서울 소재의 한 중학교(남녀공학) 1학년 40명을 대상으로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관한 본 조사는 2006년 9월 4일부터 9월 13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서울시 중학교 7개 학교(남녀공학, 남학교, 여학교) 를 임의로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부실 기재된 22부를 제외한 나머지 총 878부(남학생 437, 여학생 44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표 1>과 같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분석은 SPSSAVIN 12.0 (SPSS inc, Chicago, ILL)을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과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의 성별에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0 (SPSS inc, Chicago, ILL)을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과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의 성별에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고, 부모와의관계와 자아존중감이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및 각 하위영역별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위해 중다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 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정도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최저 10점에서최고 50점의 점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고 자신에 대한 존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능/효과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 적 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실생활에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수준이 중.상류인 학생집단이 하류학생집단 보다 가족생활, 청소년의 특징을 실생활에 더욱적극적으로 적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어머니가 직업이 없는 학생집단에서 적용하는 태도가 높았다.
상류인 학생집단이 하류학생집단 보다 가족생활, 청소년의 특징을 실생활에 더욱적극적으로 적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어머니가 직업이 없는 학생집단에서 적용하는 태도가 높았다.
한편, 최혜란(2002)은 동일한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하더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과 낮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에는 차이가 있다고하였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은 자신감과 인내력이높고 자기표현 능력이 강하여 자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자기지식을 더 많이 사용하여 부정적인 사건을 거절하고 제한하려고 하므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에 더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자아존중감은 청소년기의 성격, 행동뿐만 아니라 자기표현능력, 사회적인 기술, 수행능력, 인내력, 스트레스 대처 등에 영향을 주고 나를 이해함에있어 중요하므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한 결과는<표 2>와 같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를 비교해 보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른가정교과의 가족생활 하위영역별 활용도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특성'단원의 활용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t=2.73, p<.01)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청소년의 특성' 단원을 실생활에서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가족생활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의 문항별 결과는<표 3>과 같다.
성별에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가족생활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의 문항별 결과는<표 3>과 같다. '청소년의 특성, 의문항 중 '규칙적인 생활'에 관한 문항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실생활에서 더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98, p<.001). 또한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 형성'에 관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나타나(t=2.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RJ.54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관계(阡.
4I, p <001) 순이었다. 즉,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 역전체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57 이다. 즉,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여학생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39로 이러한 요인들이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특성' 활용도를 잘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특성' 단원의 활용도가 높았다. 남학생의 가정교과의 , 청소년의 특성'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阡.
36이다. 즉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관계가 높을수록 남녀 학생이 모두 가족생활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 활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7이다. 즉,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여학생의 '성과 이성교제' 활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54이다. 따라서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 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나와 가족관계' 단원의 활용도가 높았다. 남학생의 '나와가족관계'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와의 관계 (P=.
26, p<, 001)이다. 즉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남녀 학생 모두 '나와 가족관계, 활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들은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것을 알 수 있고,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 , 성과 이성교제, , '나와 가족관계, 에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있어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른 가정교과의 가족생활 하위영역별 활용도에서, '청소년의 특성'단원의 활용도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청소년의 특성'단원을 실생활에서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특성'의 문항 중 '규칙적인 생활',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 형성'에 관한 문항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실생활에서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있어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른 가정교과의 가족생활 하위영역별 활용도에서, '청소년의 특성'단원의 활용도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청소년의 특성'단원을 실생활에서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특성'의 문항 중 '규칙적인 생활',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 형성'에 관한 문항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실생활에서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 '성과 이성교제, , '나와 가족관계, 에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 적 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실생활에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전반적으로 중학생들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활용도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 , 청소년의 특성'에서 남학생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고, 특히 '규칙적인 생활, ,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 형성, 에 대한 활용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학생이 자신에게 일어나는 변화와 청소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청소년기에취해야 할 을바른 생각과 태도를 지향하는데 가정교과에서 배운 내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남학생이 자신에게 일어나는 변화와 청소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청소년기에취해야 할 을바른 생각과 태도를 지향하는데 가정교과에서 배운 내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남학생들에게도 가정교과의 학습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은학생은 실생활에 자신감이 있고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므로 학교, 사회, 가족생활에 있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측면에서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05),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에서 '청소년의 특성' 내용 중 성장을 위해 고른영양섭취와 운동, 충분한 수면 등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해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받아들이는 것을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6차 교육과정 이후 남학생과 여학생이 가정교과를함께 학습하여 남학생에게도 가정교과가 실생활에 도움을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족생활영역의 내용을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정도가높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와 가족을 이해하는 수준이 높으면, 실생활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도움이 많이 되어 가족생활영역의 실생활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의 내용을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청소년인 자신이 인식한 부모와 자신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후속연구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에게지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자녀와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자녀의 고민을 함께 해결해 가는 것이 필요하며, 가족구성원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가정교과의 교수학습방법이 학생들의경험과 실생활을 바탕으로 밀접하게 이루어져 학생들이가정교과의 내용을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실생활에까지활용할 수 있는 교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본 연구가 가진 제한점을 전제로 해석되어야 하며, 앞으로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 후속연구가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서울 지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가 전체 중학교 학생의 결과로 일반화되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른 학년 학생들,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른 학년 학생들,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와 부모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나,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은 가족생활영역의 중복된내용이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차원적인 연구를 통해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가정교과의 가족생활 영역에 있어나와 가족의 이해에 대한 내용의 확충과 교수학습방법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되어 가정교과가 학생들의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실생활에까지 활용할 수 있는 교과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