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관광부의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에 대한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riety Evaluation on Library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ith SMART Method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1 no.3, 2007년, pp.165 - 179  

노동조 (상명대학교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부 차원의 도서관발전계획인 문화관광부의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책평가방법의 하나인 SMART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미래비전, 발전목표, 역점 추진과제, 주요 사업내용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실성, 시간계획성 정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구성 요소별 평가결과, 미래 비전은 3.05, 발전목표는 3.09, 역점 추진과제는 3.15, 주요 사업내용은 3.12이었다. 둘째 SMART 평가 요소별 평가결과, 구체성은 3.09, 측정가능성은 2.99. 달성가능성은 3.12, 적실성은 3.24, 시간계획성은 3.10으로 나타나, 적실성은 우수한 반면에 측정 가능성에는 문제가 있다. 셋째, 발전목표의 평가결과, '지식과 정보가 함께하는 문화사랑방'이 '첨단기술이 어우러진 정보도서관'보다 우수하다. 넷째, 역점 추진과제의 평가결과, '도서관 콘텐츠 확충을 통한 이용자서비스의 내실화'는 우수한 반면에 '전문 인력양성 및 확충을 통한 도서관기능의 활성화'에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주요 사업내용의 평가결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고도화'는 우수한 반면에 '관종별 도서관의 기능 강화' '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축' '국민 독서문화 진흥'에는 문제가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gards the evaluation for the main contents of the 'Library Development Plan(2003-2011)' promo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for the library development plan in Korea. SMART evaluation method was introduced for the evaluation of vision, objective, core project of library deve...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강진백. 1999. 충남대학교 도서관 장기발전계획에 관한 연구(2000-2009), '사회과학논총(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9: 87-117 

  2. 곽동철. 2003. 도서관의 사명 및 이상 수립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269-289 

  3. 국립중앙도서관. 2005. '국립중앙도서관 2010'. 서울: 동 기관 

  4. 김기문. 2004. 한국의 도서관 정책을 다시 말한다: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도서관연구', 21: 89-103 

  5. 김미경. 2006. 매니페스토 평가방법과 과제. '국회도서관보', 43(6): 26-40 

  6. 노동조. 2006. SMART 평가기법을 통한 도서관 장기발전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4): 351-370 

  7. 노동조. 2006. 공공도서관의 전략경쟁분석에 관한 연구: C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23-238 

  8. 노화준. 2006. '정책평가론'. 서울: 법문사 

  9. 문화관광부. 2003.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1차년도 추진계획(안)'. 서울: 동 기관 

  10. 문화관광부. 2002.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3- 2011'. 서울: 동 기관 

  11. 문화관광부. 2002.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세부계획 수립지침'. 서울: 동 기관 

  12. 문화관광부. 2002.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2003-2011)'. 서울: 동 기관 

  13. 박인웅. 1999. 대학도서관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3): 97-116 

  14. 이용재. 2003.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4(3): 51-66 

  15. 이재원. 2007. 학교도서관 정책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55-84 

  16. 이재원. 2005. 도서관 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6(4): 115-132 

  17. 조윤희. 2005. 사명, 비전을 통해 본 대학도서관의 핵심 가치.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4): 71-88 

  18. 황면. 2004. '도서관정보정책'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 황재영, 이응봉. 2006. 디지털 환경에서의 전문도서관 경영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분야 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7(3): 99-115 

  20. Deegan, M., S. Tanner. 2002. Digital Futures: Strategies for the Information Age. Neal-Schuman 

  21. Dunn, W. N. 1987. Public Policy Analysis. Prentice-Hall 

  22. Marcum, D. 2003. 'Requirements for the Future of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9(5): 276-289 

  23. Nachmias, D. 1979. Public Policy Evaluation. St. Martin's Press 

  24. Waterman, R. H. Jr. 1982. 'The Seven Elements of Strategic Fit.'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2(3): 6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