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에 대한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4, 2010년, pp.303 - 331  

차성종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의 본격적인 시행으로 종합계획의 형성 및 집행에 참여하는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등 참여대상이 증가하고 정책 환경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을 제대로 분석하고 짚어내는 도서관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 및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을 정책형성단계, 정책집행단계, 정책성과단계의 3단계로 나누어 각 정책과정의 요인들이 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등을 검증하여 종합계획 시행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의 정책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형성적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도서관정책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된 평가모형을 수정 보완하는 절차를 거쳤다. 그리고 실제 종합계획을 수립 시행중인 도서관정책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인 평가를 실시한 후, 이 평가결과를 토대로 정책단계별 요인이 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full execution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related bodies and participants, including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 are increasing and the policy environments are intricately being expanded as well.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5개년 계획인 종합계획의 정책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실제로 종합계획을 수립·시행중인 도서관 정책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인 평가를 실시한 후, 각 정책단계의 요인이 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등을 검증하여 종합계획 시행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 먼저, 본 연구는 국가적으로 추진되는 중장기 국가 도서관정책에 대한 평가라는 측면에서 종합계획을 분석·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이라는 국가 중장기계획에 대한 평가의 개념을 수립된 과정 또는 집행 중에 있는 정책의 가치를 따져보는 형성적 평가(formative evaluation)인 과정평가에 중점을 두고(Scriven 1972), 종합계획의 정책형성 과정, 정책집행 과정 및 정책성과의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종합계획의 어떤 부분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 지 개선이 필요한 정책과정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고자 평가모형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을 평가할 정책평가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종합계획을 수립·시행중인 도서관정책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를 실시한 후, 3단계 정책 과정에서 정책형성단계, 정책집행단계의 요인이 정책성과단계의 요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요인들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들을 동시에 분석하기 위하여 과 같은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 중장기 국가 도서관정책의 정책평가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모형의 개발을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을 통한 의견수렴 연구방법인 델파이 조사는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선행연구 및 모형분석 등을 통해 설계가 완료된 1차 정책모형에 관해 도서관정책 전문가들의 의견을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견해로 정리해가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평가모형의 완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일류국가를 선도하는 도서관’이라는 비전을 설정 후 비전달성을 위해 무엇을 제시 하는가? 종합계획에서는 우리나라 도서관의 진흥을 위한, ‘선진일류국가를 선도하는 도서관’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 달성을 위해 3대 정책목표 및 8대 추진전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계획의 3대 정책목표로는 ‘도서관서비스의 선진화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도서관·정보 인프라의 고도화로 국가 지식경쟁력 강화’, ‘유비쿼터스 환경에 따른 미래형도서관 구현’을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비전과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서비스 환경 개선’,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 강화’, ‘지식정보격차 해소로 사회통합에 기여’, ‘국가 지식정보 활용을 위한 국가도서관 체계 재정립’, ‘교육·학술·연구 핵심지원센터로 대학·전문도서관 진흥’, ‘도서관 인력의 전문화 및 관련 제도의 선진화’, ‘지식정보 확산 및 공유를 위한 U-Library 구현’, ‘도서관 협력기반 강화로 글로벌 도서관정보서비스 구현’ 등 8대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계획의 3대 정책목표는 무엇인가? 종합계획에서는 우리나라 도서관의 진흥을 위한, ‘선진일류국가를 선도하는 도서관’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 달성을 위해 3대 정책목표 및 8대 추진전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계획의 3대 정책목표로는 ‘도서관서비스의 선진화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도서관·정보 인프라의 고도화로 국가 지식경쟁력 강화’, ‘유비쿼터스 환경에 따른 미래형도서관 구현’을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비전과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서비스 환경 개선’,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 강화’, ‘지식정보격차 해소로 사회통합에 기여’, ‘국가 지식정보 활용을 위한 국가도서관 체계 재정립’, ‘교육·학술·연구 핵심지원센터로 대학·전문도서관 진흥’, ‘도서관 인력의 전문화 및 관련 제도의 선진화’, ‘지식정보 확산 및 공유를 위한 U-Library 구현’, ‘도서관 협력기반 강화로 글로벌 도서관정보서비스 구현’ 등 8대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정책 전문가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부가적으로 실시하여 1차 평가모형을 보완을 한 배경은 무엇인가? 개발된 1차 평가모형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고 등 수정을 위해 도서관정책 전문가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부가적으로 실시하여 1차 평가모형을 보완하였다. 중장기 국가 도서관정책의 정책평가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모형의 개발을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을 통한 의견수렴 연구방법인 델파이 조사는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선행연구 및 모형분석 등을 통해 설계가 완료된 1차 정책모형에 관해 도서관정책 전문가들의 의견을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견해로 정리해가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평가모형의 완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함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남진우. 1995. 정책 평가의 활용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Jin-Woo Nam. 1995. A Theoretical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Policy Evaluation. Graduate thesis, Dankook University.) 

  2. 노동조. 2007. 문화관광부의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에 대한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165-179. (Dong-Jo Noh. 2007. "A Study on Propriety Evaluation on Library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ith SMAR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165-179. ) 

  3. 노화준. 2006. 정책평가론. 서울: 법문사. (Hwa-Joon Noh. 2006. Public Policy Evaluation. Seoul: Bub Moon Press.)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8.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5. 윤수재. 2003.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정책평가시스템 발전방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3. 5. 3: 17-34. (Su-Jae Yoon. 2003. "A Developmental Strategy of Policy Evaluation System of Korean Government." Th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May: 17-34.) 

  6. 이재원. 2007. 학교도서관 정책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ae-Won Lee.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licy Evaluation Models for School Libraries. Ph.D. diss., Kyeonggi University.) 

  7. Anderson, James E. 1979. Public Policy Making(2nd ed.).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8. Anderson, James E. 1984. Public Policy Making(3rd ed.).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9. Dowling, Michael. 2001. "Libraries, Librarians and Library Associations in the United States in 2001: Making a Difference in the Knowledge Age." IFLA Journal, 27(3): 133-142. 

  10. Deegan, M., S. Tanner. 2002. Digital Futures: Strategies for the Information Age. Neal-Schuman. 

  11. Department for Education Skills. 2004. Improve your library: A self-evaluation proces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and learning resource centers. London: Author. 

  12. Dror, Y. 1963. "The Planning Process: A Facet Design."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 30(1): 61-68. 

  13. Dror, Y. 1968. Public Policy Making Reexamined. Scranton Penn: Chandler Publishing Company. 

  14. Dunn, William N. 1981.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NJ: Prenitce-Hall. 

  15. Dye, Thomas. R. 1981. Understanding Public Policy. NJ: Prenitce-Hall. 

  16. Easton, D. A. 1965. Systems of Political Life. New York: John Wiley & Sons. 

  17. Elisam Mogara, and Joyce Bukirwa Nyumba. 2004. "Towards a school library development policy for Uganda." Library Review, 53(6): 313-322. 

  18. Giappiconi, Thierry. 1995. "Library evaluation and public policy: a French view."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27(2): 99-108. 

  19. Gildersleeves, Lucy. 2006. "Evaluating evaluation Introducing a research project on the impact of Improve Your Library: A Self-Evaluation Process for School Libraries." Aslib Proceeedings: New Information, 58(1/2): 73-88. 

  20. Grumm, John G. 1975. "The Analysis of Policy Impact." Handbook of Political Science, 6: 439-441. 

  21. Johnson, Ian M., Williams, Dorothy A., Wavell, Caroline, and Baxter, Graeme. 2004. "Impact evaluating professional practice, and policy making." New Library World, 105(1196/1197): 33-46. 

  22. Kettunen, Juha. 2007. "The strategic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ies." Library hi tech, 25(3): 409-421. 

  23. Lasswell, Harold D. 1956. The Decision Process: Seven Categories of Functional Analysis. College Park: University of Maryland. 

  24. Lasswell, Harold D., & Kaplan, A. 1970. Power and Society. New Haven: Yale Univ. Press. 

  25. Levitt, R, Steele, J., and Thompson, H. 2000.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ommission: an evaluation of its policy work and underpinning research." Library and Information Commission research report, 67: 39-58. 

  26. Lindblom, C. 1968. The Policy-making Process. NJ: Prenitce-Hall. 

  27. Makin, Louise, and Craven Jenny. 1999. "Changing libraries: the impact of national policy on UK library services." Library Management, 20(8): 425-430. 

  28. Marcum, D. 2003. "Requirements for the Future of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9(5): 276-289. 

  29. McNicol, Sarah. 2005. "The challenges of strategic planning in academic libraries." New library world, 106(11/12): 496-509. 

  30. Nachmias, D. 1979. Public Policy Evaluation. NY: St. Matin's Press. 

  31. Nakamura, R. T., & Smallwood, F. P. 1980.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NY: St. Matin's Press. 

  32. Nozero, Victoria, and Finley, Priscilla. 2005.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s at Lied Library: Restructured, revitalized and planning for the future." Library hi tech, 23(1): 66-74. 

  33. Poister, T.H. 1979. Public Program Analysis: Applied Research Method.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34. Ripley, R. B., & Franklin, G. A. 1986. Public Implementation and Bureaucracy. Homewood: Dorcy. 

  35. Scriven, M. 1972.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Edited by C.H. Weiss. Evaluating Action Programs: Readings in Social Action and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123-136. 

  36. Streafield, D., and Markless, S. 2005. "Putting school libraries back into the picture." Library Information Update, 4(6): 36-38. 

  37. Stufflebeam, D. L. 1974. Educational Evaluation and Decision making. NY: F. E. Peacock Publishers. 

  38. Suchman, E. A. 1967. Evaluative Research. NY: Russel Sage Foundation. 

  39. Wholey, J. S. 1976. Federal Evaluation Policy.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40. Willard, P. 1995. "Public sector reform in Australia and its impact on libraries."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27(4): 359-373. 

  41. Wolf, Harvey. 1987. "Evaluating Libraries Using Maut Bayesian." Library Management, 8(2): 36-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