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별 수확적기 양상추의 품질평가 및 위해요소 분석
Evaluation of Quality and Analysis of Hazard Management at Different Seasons of Lettu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7, 2007년, pp.932 - 937  

차환수 (한국식품연구원) ,  윤예리 (한국식품연구원) ,  김상희 (한국식품연구원) ,  권기현 (한국식품연구원) ,  김병삼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상추의 계절별(봄, 여름, 가을) 품질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성분, 색차, 클로로필, vitamin C 및 조직감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양상추의 위해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48종의 잔류 농약을 측정하였다. 가식부 중량은 여름(953.40 g)>봄(912.27 g)>가을(895.28 g)에 수확한 양상추 순으로 나타났지만 당도는 봄에 수거한 시료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전체적인 색은 여름 양상추가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었고, 다른 계절과 비교하여 가을 양상추는 노란 빛이 뚜렷하고 녹색 빛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가을에 수거된 시료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또한 계절에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는 칼륨 함량이 다른 무기성분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시료의 항산화능을 유추할 수 있는 chlorophyll과 vitamin C는 봄, 가을에 수거한 시료가 여름에 수거한 시료보다 높게 측정되어 전반적으로 여름에 수거한 양상추가 중량은 크지만 품질 면에서는 약간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또한 계절별 양상추에서 검출되어진 잔류 농약은 chlorthalonil이었지만 그 양은 매우 미미하다고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evaluation and hazard management of lettuce (Lactuca sativa L.) which was prepared within the harvesting seasons were analyzed. Eatable weight was highest in the summer (953.40 g)>spring (912.27 g)>fall (895.28 g) lettuce, but sugar content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spring.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Texture analyzer(TA-XT2, Stable Micro System Ltd.,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시 시료의 움직임이 없도록 시료 지지대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에 대해 1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 이 때 ICP-AES의 분석조건은 Table 1과 같으며, 이때의 각 표준물질은 AccuStandard사(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원소의 표준용액의 농도는 0, 1, 10, 50 ppm로 조제하여 4점을 이용한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측정하였다.
  • 또한 양상추는 특별한 열처리를 하지 않고 주로 생식으로 섭취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잔류농약 부분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양상추의 계절별(봄, 여름, 가을) 품질평가로는 가식 부위 중량, 수분, pH, 당도, 색차, 클로로필 함량, 비타민 C 및 텍스쳐를 측정하여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또한 양상추의 위해요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47종의 잔류농약을 측정하였다.
  • 여기에 탈이온수 10방울을 가해 재를 적시고 묽은 질산 4 mL를 넣고 다시 수분을 날려 보낸 다음, 전기회화로에서 1시간 회화.방냉 후 묽은 염산 10 mL로 녹여 이를 50 mL 정용플라스크로 옮겨 탈이온수로정용, 여과하여 ICP(Jobin Yvon Co., France)로 분석 하였다. 이 때 ICP-AES의 분석조건은 Table 1과 같으며, 이때의 각 표준물질은 AccuStandard사(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 여름 양상추 시료는 강원도 평창 농가에서 재배한 텍사스만추 품종으로 2006년 7월 10 일에 파종한 후, 8월 12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53일이 경과된 (10월 4일 수확)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가을에 수거한 양상추 시료는 경기도 송탄 농가에서 재배한 사쿠라멘트 품종으로 8월 14일에 파종한 후, 9월 8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69일이 경과된(11월 15일 수확) 시료를 사용하였다. 수확은 청명한 날 오전 10시 이전에 하였으며 수확 후에는 저온저장고로 옮긴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시료 50 g과 증류수 50 g을 넣어 10초간 마쇄하여 거즈로 여과한 직후 petridish(diameter 20x 12 mm) 에 담아 색차계 (CR-200, Minolta Co., Japan)를 사용하여 L, a 및 b 값을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한 백색판은 L: 94.
  • 분석하였다. 시료를 원심 분리하여 0.45 um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키고 이 여액 10 应씩 HPLC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에 사용된 column은 YMC-Pack Polyamine 口 col- umn(4.
  • 52 um)이었다. 시료의 균질화를 위해 Nissei Homogenizer(Japan)를 사용하였으며, 질소농축기는 N- EVAP 112(USA)를 사용하였다. 정제를 위한 고체상추출을
  • 양상추의 계절별(봄, 여름, 가을) 품질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성분, 색차, 클로로필, vitamin C 및 조직감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양상추의 위해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48종의 잔류 농약을 측정하였다. 가식부 중량은 여름(953.
  • 양상추의 비가식 부위인 외부 겉잎을 제거한 가식부 중량을 balance(XB 4200C, Switzerland)로 15회 반복 실험한 후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8)에 따라 측정하였다.
  • 양상추의 외부 겉잎을 제거한 후 가식부위 중 가장 바깥 잎의 끝을 기준으로 chlorophyll meter(SPAD-502, Minolta C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ether 200 mL와 포화식 염수 100 mL를 넣고 진탕하여 농약을 추출한다. 정제를 위하여 Florisil 카트리지 컬럼에 hexane 5 nL를 초당 1 〜2방울 정도의 속도로 유출하여 버리고, 이 카트리지에 20% acetone 함유 hexane 5 m丄를 같은 방법으로 유출하여 버 린다. 그 후 시험용액 4 mL를 초당 1〜2방울 정도의 속도로 용출 시켜 시험관에 받는다.
  • ,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시 시료의 움직임이 없도록 시료 지지대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에 대해 1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사용된 probe는 2.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이용한 양상추는 계절별로 농가에서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였다. 봄에 수거한 양상추 시료는 경기도 기흥 농가에서 재배한 후레쉬골드 품종으로 2006년 2월 10일에 파종한 후, 3월 21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62일이 경과된(5월 22일 수확) 시료를 사용하였다.
  • 선정하였다. 봄에 수거한 양상추 시료는 경기도 기흥 농가에서 재배한 후레쉬골드 품종으로 2006년 2월 10일에 파종한 후, 3월 21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62일이 경과된(5월 22일 수확) 시료를 사용하였다. 여름 양상추 시료는 강원도 평창 농가에서 재배한 텍사스만추 품종으로 2006년 7월 10 일에 파종한 후, 8월 12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53일이 경과된 (10월 4일 수확)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가을에 수거한 양상추 시료는 경기도 송탄 농가에서 재배한 사쿠라멘트 품종으로 8월 14일에 파종한 후, 9월 8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69일이 경과된(11월 15일 수확) 시료를 사용하였다.
  • 분석 기기는 GC-ECD(Hewlett-packard 5890 series n, USA)와 GC-NPD(Agilent 6890, USA)를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DB-5(30 mx0.25 mmx0.25 卩m)와 Ultra-1(50 mx 0.32 mm x 0.52 um)이었다. 시료의 균질화를 위해 Nissei Homogenizer(Japan)를 사용하였으며, 질소농축기는 N- EVAP 112(USA)를 사용하였다.
  • 측정 시 시료의 움직임이 없도록 시료 지지대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에 대해 1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사용된 probe는 2.0 mm의 stainless steel rod형이며, test speed 1.0 mm/sec, distance 80%, force 100 g으로 고정하였다.
  • 봄에 수거한 양상추 시료는 경기도 기흥 농가에서 재배한 후레쉬골드 품종으로 2006년 2월 10일에 파종한 후, 3월 21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62일이 경과된(5월 22일 수확) 시료를 사용하였다. 여름 양상추 시료는 강원도 평창 농가에서 재배한 텍사스만추 품종으로 2006년 7월 10 일에 파종한 후, 8월 12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53일이 경과된 (10월 4일 수확)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가을에 수거한 양상추 시료는 경기도 송탄 농가에서 재배한 사쿠라멘트 품종으로 8월 14일에 파종한 후, 9월 8일에 정식하여 정식 후 69일이 경과된(11월 15일 수확) 시료를 사용하였다. 수확은 청명한 날 오전 10시 이전에 하였으며 수확 후에는 저온저장고로 옮긴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 France)로 분석 하였다. 때 ICP-AES의 분석조건은 Table 1과 같으며, 이때의 각 표준물질은 AccuStandard사(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각 원소의 표준용액의 농도는 0, 1, 10, 50 ppm로 조제하여 4점을 이용한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측정하였다.
  • , Japan)를 사용하여 L, a 및 b 값을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한 백색판은 L: 94.3, a: 0.31, b: 0.32의 값을 가진 표준색판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무기질의 전처리는 건식법(9)으로 시료 약 3 g을 도가니에 넣고 전열기에서 예비 회화시킨 후 550°C 전 기회 화로에서 2시간 태운 다음 방냉하였다. 여기에 탈이온수 10방울을 가해 재를 적시고 묽은 질산 4 mL를 넣고 다시 수분을 날려 보낸 다음, 전기회화로에서 1시간 회화.
  •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8)에 따라 측정하였다. 가식부위 50 g과 증류수 50 g을 넣어 10초간 마쇄하여 거즈로 여과한 후 pH는 pH-meter(AB-15, Fisher Scientific Co.
  • 양상추 가식부위의 vitamin C의 측정은 AOAC법 (10) 으로 분석하였다. 시료를 원심 분리하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Oh CG. 1996. Food composition table. 5th revision.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s, R.D.A 

  2. Peter R, Wim V, Frank D, Johan D. 2004. Consumer perception and choic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packaged frui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5: 259-270 

  3. Shim ST, Kim KJ, Kyung KH. 1990. Effect of soluble contents of chinese cabbage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78-284 

  4. Bolin HR, Huxsoll CC. 1991. Effect of preparation procedures and storage parameters on quality retention of salad-cut lettuce. J Food Sci 56: 60-67 

  5. Larry RB, Robert EB. 1990. Survival an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as influenced by shredding, chlorine treatment,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temperature. J Food Sci 55: 755-758 

  6. Shankargouda P, Chikkasubbanna V, Narayana JV. 1989. Effect of preharvest sprays of triacontanol on the storage life of lettuce. J Food Sci Technol 26: 156-157 

  7. Aharoni N, Yehoshua SB. 1973. Delaying deterioration of Romain lettuce in polyethylene packages. J Am Soc Hort Sci 98: 464-468 

  8. The Korean Association of Food Industry. 1998. Food Code. p 637-643 

  9. AOAC. 1993. Methods of Analysis for Nutrition Labeling. Sullivan DM, Carpenter DE,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ternational Virginia 

  10.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1. Kim MR, Kim JH, Wi DS, Na JH, Sok DE. 1999.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01-1207 

  12. Mascio PD, Murphy ME, Sies H. 1991. Antioxidant defense systems: the role of carotenoids, tocopherols, and thiols. Am J Clin Nutr 53: 194-200 

  13. Tanielian C, Wolff C. 1988. Mechanism of physical quenching of singlet molecular oxygen by chlorophylls and related compounds by biological interest. Photochem Photobiol 48: 277-280 

  14. Endo Y, Usuki R, Kaneda T. 1985. Antioxidant effects of chlorophyll and pheophytin on the antioxidation action of chlorophyll. J Am Oil Chem Soc 62: 1376-1390 

  15. Yang YJ, Park KW, Jeong JC. 1991. The influence of pre- and post-harvest factors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leaf lett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33-140 

  16. Hancok AB. 1988. Vitamin C and cancer. Prog Clin Biol Res 259: 307-313 

  17. Lee MG, Lee SR. 1995. Assessment of oncogenicity from pesticide residues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71-877 

  18. Kim YG, Lim TG, Park SS, Ho NC, Hong SS. 2000. A study on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fruits &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63-771 

  19. Hirohiko Y, Hiroshi S, Takaki S, Fumio K, Nobuyoshi M, Shunji H. 1993. Safety assessment for agricultural chemicals: recent progress and prospect. J Nippon Food Hygiene 34: 95-1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