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1 = no.191, 2007년, pp.77 - 82  

조민정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미정 (서울산업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흠숙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배당체$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total methanolic extract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Compositae),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were analyzed as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After successive partitioning with chloroform, n-butanol, and water, the chloroform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동속식물인 Chysanthenmm iWcm(감국)의 alcohol 추출물의 혈압저하작용과 항균성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16), 쑥갓의 간독성보호작용(17)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쑥갓에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에 대한 연구는 좀 더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쑥갓의 생리활성에 대한 후속 연구로 쑥갓의 총 메탄을 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총 메단을 추출액으로부터 각 유기용매의 분획을 제조하여 활성분획으로부터 그 활성 성분을 분리하고 활성물질의 화학적 구조를 밝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EC50 values represent the concentration (ppm) required for 50% inhibition of SOD-like activ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azza G, Oomah BD. Herbs, Botanicals and Teas. 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UK. pp. 1-16 (2000) 

  2. Cross E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 Saul RL, McCord JM.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clinical conference). Ann. Intren. Med. 107: 526-545 (1987) 

  3. Kedziora J, Bartosz G. Down's syndrome: a pathway involving the lack of balan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Free Radic. Biol. Med. 4: 317-330 (1988) 

  4. Marnett LJ. Peroxyl free radicals: potential mediators of tumor initiation and promotiom. Carcinogenesis 8: 1365-1373 (1987) 

  5. Patt J, Harken AH, Burton LK, Rodell TC, Piermateei D, Schorr WJ, Parker NB, Berger EM, Horesh IR, Terada LS, Linas SI, Cheronis JC, Repine JE. Xanthine oxidase derived hydrogen peroxide contributes to reperfusion induced edema in gebriI brains. J. Clin. Invest. 81: 1556-1562 (1988) 

  6. MaveIli I, Ciriolo MR, Rotilio G, De Sole P, Castorino M, Stabile A.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in oxidative hemolysis. A study of Fanconi's anaemia erythrocytes. Biochem. Biophys. Res. Comm. 106: 286-290 (1982) 

  7. Walker R. Nitrates, nitrites and N-nitroscompounds: a review of the occurrence in food and diet and the toxicological implications. Food Addit. Contam. 7: 717-768 (1990) 

  8. Rorald W. Naturally occurring nitrite in food. J. Jpn. Soc. Food Agric. 26: 1735-1742 (1975) 

  9. Kitani K, Minami C, Y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MC.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959: 295-307 (2002) 

  10. Lee C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Korea. p. 753 (1982) 

  11. Harborne JB, Heywood VH, Saleh NAM. Chemosystematics of the Compositae: flavonoid patterns in the Chrysanthemum complex of the tribe Anthemideae. Phytochemistry 9: 2001-2017 (1970) 

  12. Sanz JF, Falco E, Marco JA. New acetylenes from Chrysanthemum coronarium L. Liebigs. Ann. Chem. 303-305 (1989) 

  13. Jang DS, Nam SH, Choi SU, Jang MS. Antibacterial activity of Chrysanthemum spp. Agr. Chem. BiotechnoI. 39: 315-319 (1996) 

  14. Jang DS, Park KH, Kim HM, Hong DH, Chun HK, Kho YH, Yang MS. Biologic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several Compositae plants. Part I.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Korean J. Pharmacogn. 29: 243-247 (1998) 

  15. Chuda Y, Suzuki M, Nagata T, Tsushida T. Contents and cooking loss of three quinic acid derivatives from garland (Chrysanthemum coronarium L.). J. Agr. Food Chem. 46: 1437-1439 (1998) 

  16. Kee CH.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74-98 (1993) 

  17. Kang HJ, Lee EJ, Sung SH, Kim YC, Song ES, Park MJ, Lee HS. Anti-hepatotoxic activity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38-143 (2003) 

  18.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 BioI. Chem. 51: 1333-1338 (1987) 

  19. Peri L, Pietraforte D, Scorza G, Napolitano A, Fogliano V, Minetti M. Apples increase nitric oxide production by human saliva at the acidic pH of the stomach: a new biological function for polyphenols with a catechol group? Free Radic. BioI. Med. 39: 668-681 (2005) 

  20. Bae RN, Lee SK. Factors affecting browning and its control methods in chopped garlic. J. Korean Soc. Hort. Sci. 31: 213-218 (1990) 

  21. Jo KS, Kim HK, Ha JH, Park MH, Shin HS. Flavor compounds and storage stability of essential oil from garlic distil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840-845 (1990) 

  22.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74) 

  23. Nakatani N, Kayano S, Kikuzaki H, Sumino K, Katagiri K, Mitani T. Identification,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hlorogenic acid isomers in prune (Prunus domestica.). J. Agr. Food Chem. 48: 5512-5516 (2000) 

  24. Kang BR, Park M, Lee HS.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2006) 

  25. Pouchert CJ, Behnke J. The Aldrich library of $^{13}C$ and $^1H -FT NMR spectra. Aldrich Chemical Company. Milwaukee, WI, USA. 3: 568-569 (1993) 

  26. Do JC, Chai JY, Son JK.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Lycopus lucidus (II). Korean J. Pharmacogn. 22: 166-170 (1991) 

  27. Awad AB, Fink CS, Trautwein EA, Ntanios FY. ${\beta}$ -Sitosterol stimulates ceramide metabolism in differentiated $CaCO_2$ cells. J. Nutr. Biochem. 16: 650-655 (2005) 

  28. Vivancos M, Moreno JJ. ${\beta}$ -Sitosterol modulates antioxidant enzyme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s. Free Radic. BioI. Med. 39: 91-97 (2005) 

  29. Su BN, Pawlus AD, Jung HA, Keller WJ, McLaughlin JL, Kinghorn AD.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fruits of Morinda citrifolia (Noni)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Nat. Prod. 68: 592-59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