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메밀녹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uckwheat-Green T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8 = no.88, 2007년, pp.1111 - 1114  

최성희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메밀을 고소하게 볶은 시판 메밀차를 중급 정도의 녹차에 혼합하여 메밀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향기 성분을 동시증류추출(SDE)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차와 녹차를 1:1로 혼합한 메밀녹차의 향기성분으로 42종류를 동정하였다. 메밀녹차에는 메밀차의 향기성분 23종류와 녹차의 향기 성분 16종류 및 공통으로 포함된 3종류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메밀녹차의 향기성분으로는 15종류의 pyrazine류를 동정하였다. 이는 메밀녹차의 향기 성분 중 약 32%를 차지하는 비율이었다. 메밀녹차의 향기 성분은 본래 녹차가 가지고 있는 향에 구수하고 달콤한 향을 띄는 볶음 메밀의 향기성분들이 부여되어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녹차는 중급 정도에 해당되는 덖음차로 고급녹차에 많았든 linalool이나 geraniol은 적은 함량 포함되어 있었으나 녹차향에 기여하는 꽃향기를 띄는 nerolidol의 함량은 많았으며 nonanal, 2-phenylethanol, cis-jasmone, indole 및 ${\beta}-ionone$ 등도 함유되어 있었다. 복은 향의 중요성분으로는 roasted flavor인 pyrazine류와 pyrrole류, 달콤한 향을 띄는 methylbutanal류와 furan류 등으로 밝혀졌다. 특히, pyrazine류는 종류도 많고 함량도 메밀차 전체 면적의 56%로서 녹차에 혼합되었을 때 메밀녹차의 고소한 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green tea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To make tea having good flavor and functional property, parched buckwheat (50%) was mixed with green tea (50%). The extrac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buckwheat-green tea was ac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능성과 기호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별하여 녹차와 혼합하여 기능성차를 제조하여 보급한다면 건강면에서도 유익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메밀을 중급정도의 녹차에 혼합하여 메밀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 Y. J., G. H. Lee and K. R. Cadwallader. 1997. Aroma-active compounds in salt-fermented anchovy. pp. 131-147, In Shahidi, F and K. R. Cadwallader (eds.). Flavor and lipid chemistry of seafoo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2. Choi, S. H. 1999. Aroma components of chicory(cichorium intybus L) tea and its model system. Kor. J. Food Sci. Nutr. 4, 88-91. 

  3. Choi, S. H and J. E. Bae. 1996.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 the product of Mt. chiri garden. Kor. J. Food Sci. Nutr. 25, 478-483. 

  4. Choi, S. H and D. H. Lee. 1997. Aroma components of bran rice-green tea. J. Kor. Tea. Soc. 3, 37-45. 

  5. Kim, H. W., K. M. Park and C. U. Choi. 2000.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esame oils with roasting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38-245. 

  6. Lee, J. S., S. J. Park, K. S. Sung, C. K. Han, M. H. Lee, C. W. Jung and T. B. Kwon. 2000. Effects of germinated-buckwheat on blood 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06-211. 

  7. Maeng, Y. S., H. K. Park and T. B. Kwon. 1990. Analysis of rutin contents in buckwheat and buckwheat foods. Korean J. Food. Sci. Tecnnol. 22, 732-737. 

  8. Shim, T. H., H. H. Lee, S. Y. Lee and Y. S. Choi. 1998. Composition of buckwheat (FagopyrulIl escuientum Moench) cultivers from Korea. Korean J. Food. Sci. Tecnnol. 30, 1259-1266. 

  9. Sohn, H. Y., C. S. Kwon, K. H. Son, G. S. Kwon, H. Y. Ryu and E. J. Kum. 2006. Antithrombin and thrombosis prevention activity of buckwheat seed, Fagopyrum esculenium Moen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2-138. 

  10. Song. S. J., Y. S. Lee and C. O. Rhee. 2000.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oked black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15-1021. 

  11. Tian, Q., Li. D., PatiI, B. S.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s in buckwheat by HPLC with electrospray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and photodiode array ultraviolet detection. Phytochemical analysis 13, 251-256. 

  12. Wei, Y. M., Zhang, G. Q., Li. Z. X. Study on nutritiv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ckwheat flour. Food 39, 48-54. 

  13. Yamanishi, T. 1978. The aroma of various teas. pp. 305-328, In Charambous, G. and C. E. Inglett (eds.), Flavor of foods and beverages. Academic Press., New York. 

  14. Yoo, K. H., S. H. Kim, Y. A. Ham, S. J. Yoo, H. T. Oh and S. S. Ham. 2006.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noodle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91-129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