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지역 일부 학교 영양사의 건강기능식품 인식 및 이용실태
School Dietitians' Perceptions and Intake of Healthy Functional Foods in Jeonbuk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9, 2007년, pp.1172 - 1181  

강영자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정수진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양지애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인간생활과학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전북지역 학교 영양사 226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여자가 98.7%였고, 연령은 30${\sim}$39세가 73.5%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대졸이 82.7%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은 기혼이 78.8%를 차지하였다. 현재 자신의 건강상태 인지는 ‘보통이다’가 53.5%, ‘건강한 편이다’ 34.1%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정 및 시행 사실을 69.0%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식품과 질병과의 관계 인지도는 ‘매우 관계가 있다’가 68.6%,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가 31.4%로 조사되어 식품과 질병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cdot}$판매 회사의 홍보나 광고에 대해 93.8%가 '허위 과대 선전이 많은 것 같다’고 응답하였고, 유통구조에 대해서도 60%가 '잘 되어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건강기능식품 제조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가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는 안전성 제고 및 효능 검증이 79.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식습관(3.9)>스트레스 해소(3.73)>규칙적인 생활(3.7)>휴식 및 수면(3.66)>운동(3.62)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건강기능식품(2.07)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실태는 61.9%가 섭취한 경험이 있었고, 섭취종류는 영양보충용제품(57.9%)>홍삼제품(52.9%)>클로렐라제품(30.0%) 순으로 섭취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섭취이유는 피로회복(25.7%)>질병의 예방(22.9%)>영양보충(22.1)>주변의 권유(11.4%) 순이었다. 구입방법은 방문판매원을 통해서가 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균구입비용은 26만원 이상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 표시 설명서 이해정도는 42.1%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섭취 후 효과는 ‘그저 그러함’이 65.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22.1%만이 재구매 의사가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효능을 믿을 수가 없어서’가 68.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부정적인 견해는 ‘비싸게 판매’ 34.3%, ‘과대선전으로 소비자를 속인다’와 ‘안정성에 대한 보장이나 정보가 부족하다’가 각각 27.9%로 나타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고려요인은 부작용(4.72)>복용 후 효과(4.59)>청결도(4.51)>회사신뢰도(4.29) 순으로 나타나 부작용과 복용 후 효과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과 섭취의 기회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영양학 분야에 전문가인 영양사조차도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정 및 시행사실 인식부족 및 건강기능식품의 정확한 인식 및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양사의 직무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고 건강기능식품 원료 및 성분에 대한 정확한 분석능력과 그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효능에 관한 최신 연구들의 정확한 정보 확보와 적용이 필요하며 둘째,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상태 유지 및 질병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므로 식사의 일부로 간주하여 교육을 실시해야하고 셋째, 차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olved 226 Jeonbuk Province school dietitians as subjects to investigate intake and perceptions of the healthy functional foods. Sixty nine percent of the school dietitians didn't even know about the law enforcement concern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s. Although 68.1% of the resp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북지역 학교 영양사 226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여자가 98.
  • 이에 본 연구는 학교 영양사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인식을 조사하여 전문가인 영양사가 건강기능식품의 올바른 선택 및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의 실태를 조사하여향후 일선학교에서 '영양상담실‘을 설치하여 운영할 경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학생, 일반교사및 학부모대상 올바른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Fig. 3. Reasons of taking healthy functional foods.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on SM, Park JK. 2004.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health food circulated in the market-surveyed on mass media and internet. J Korean Diet Assoc 10: 58-64 

  2. Kim SH, Han KH, Hwang YJ, Kim WY. 2005. Use of functional foods for health by 14-18 year old students attending general junior or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Korean J Nutr 38: 864-872 

  3. Sung MK. 2005. The role of dietitians and understanding of health food. Nutrition and Diabeties 28: 17-20 

  4. Heo SH, Kim YJ. 2004. Deliberation on health claim and advertising of health supplement. Food Science and Industry 37: 55-60 

  5. Do JG. 2004.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ood. MS Thesis. Daegu Haegu Haany University 

  6. Shim CK. 2004. Implementation and policy direction of the Korean health functional food law and its regulations. Food Science and Industry 37: 37-40 

  7.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K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 89-101 

  8. Kwak TK. 2003. Role performance and attitude as nutrition teacher's of dietitians by school foodservice. Nutrition and Diabetics 26: 15-17 

  9. Lee EJ, Ro SO, Lee CH. 1996. A survey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health food in Korea (I)-Consumer perception on health and food habit. Korean J Dietary Culture 11: 475-485 

  10. Lee EJ, Ro SO, Lee CH. 1996. A survey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health food in Korea (II)-Consumer perception on health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487-495 

  11. Jun BH, Lee HG.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food among the salary men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16: 9-16 

  12. Choi YC. 1997. A study on consumer recognition for health supplementary food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Park YM, Sohn CM, Jang HC. 2005. A study on status and subjective recognition of functional foods among diabetic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11: 216-222 

  14. Kim YS. 2004. A study on dietary patterns and consumption of health foods in middle-aged adults living in Kangwon province. MS Thesis. Korea University 

  15.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36-145 

  16. Um JS. 2005. Ingestion statu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office worker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17. Nam JS. 2005. A study on functional food intake and the related factors of offic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MS Thesis. Yonsei University 

  18. Kang SE. 2003. The experienc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dietary behaviors in middle adulthood in Seoul and Gyeonggi area. MS Thesis. Korea University 

  19. Kim HC, Kim MR. 2006. A study on health-functional foods intake pattern of consumer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Korean Living Sci Assoc 15: 341-351 

  20. Koo NS, Park JY. 2001. Consumption aspects of health supplements of health foods by adult male and female in Daejon. Korean Living Sci Assoc 10: 205-2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