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and Food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s of Healthy Functional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1, 2008년, pp.1435 - 1442  

차명화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  김유경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가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과 같은 개인의 개성과 관련된 특성들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각 측정개념들의 요인분석 결과, 소비가치는 7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은 각각 1개씩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구성개념들의 신뢰도는 소비가치 중에서 기능적 가치 요인의 경우 .886, 감정적 가치는 .904, 인식적 가치는 .813, 사회적 가치 I는.734, 상황적 가치는 .872, 사회적 가치 II와 III는 각각 .600과 .576이었고, 건강동기의 신뢰도는 .883, 건강염려의 신뢰도는 .834, 식품몰입의 신뢰도는 .883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보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소비가치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 사회적 가치(${\beta}=.161$), 감정적 가치(${\beta}=.293$), 기능적 가치(${\beta}=.328$), 인식적 가치(${\beta}=.290$), 상황적 가치(${\beta}=.196$)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변수들(F=37.582, p<.0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다섯 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4%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에서 건강염려만이 소비가치 중 사회적 가치 I(SV-I)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이 있는 것으로(F=4.409, p<0.05)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해 1단계에 투입된 사회적 가치 I의 $R^2$(.017)와 2단계에 투입된 건강염려 변수의 ${\Delta}R^2$(.025)이 유의적이었으며, 독립변수인 사회적 가치 I와 조절변수인 건강염려와의 상호작용항(SV I * HC)이 투입된 3단계의 ${\Delta}R^2$(.015)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및 선택 과정에 대한 소비자 측면의 실증적 연구로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마케팅 전략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식품선택과 관련한 연구영역에서 소비가치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로 향후 건강기능식품 및 다양한 식품의 선택 및 구매에 대한 연구에 소비가치 개념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염려 변수와 같은 식품관련 개성 특성들이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조절작용을 갖는 변수임을 확인한 점은 향후 보다 다양한 개성 관련 식품 특성들의 영향력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립된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건강기능식품 구매 집단과 비구매 집단별 적합성을 향후 연구에서 판별 함수로 검증한다면 본 회귀모형이 보다 정확하게 식품 선택 연구 모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지역적 한정성과 연구대상자의 연령층이 대학생으로 제한된 점은 향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on healthy functional food choice.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and food involvemen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healthy func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소비자의 개인적인 가치가 식품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여러 선행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식품선택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22).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가치가 건강기능식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건강동기, 건강염려, 그리고 식품몰입과 같은 식품관련 개성특성들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가치 등의 소비자 개인특성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선택에 관한 실증적인 소비자 행동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건강기능식품 업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가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과 같은 개인의 개성과 관련된 특성들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 015)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및 선택 과정에 대한 소비자 측면의 실증적 연구로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마케팅 전략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식품 선택과 관련한 연구영역에서 소비가치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로 향후 건강기능식품 및 다양한 식품의 선택 및 구매에 대한 연구에 소비가치 개념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의 식품관련 개성 특성으로 무엇이 있는가? 소비자의 식품관련 개성 특성(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은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 소비가치 등의 변수들을 들 수 있다. 건강동기(health motivation)는 예방적인 건강행동을 하려는 소비자들의 건강지향적인 행동에 대한 의지와 관심이라고 정의된다(23).
건강기능식품의 정의는? 건강기능식품(healthy functional food)이란 한 종류 또는그 이상의 소재를 건강에 대한 공헌을 증진하도록 가공 또는 변경한 식품으로 정의되고 있다(3). 소비자들은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이용되는 혁신적 기술이나 신소재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과 안전성에 대한 문제로 인한 부정적인 태도를 갖기도 한다.
합리적인 구매 선택 과정에 고려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식품선택(food choice)은 많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식품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식품의 맛, 질감, 가격 등의 식품 관련 요인(8,9)과 개인의 태도나 가치, 인지적 정보 등의 심리적 요인(10,11) 및 인구통계 학적 요인(8,12,13)으로 이루어진 비식품적인 요인으로 분류 할 수 있다. 특히 개인의 태도는 소비자들의 행위를 설명하는 강력한 변수이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7. "2006년 생명표 작성결과". available at http://epic.kdi.re.kr/epic_attach/2007/D0712015-1.hwp (accessed at June 13, 2008) 

  2. Lee SY. 2007. Trends and prospect in market of health functional food. Food Sci Ind 40: 16-20 

  3. Institute of Medicine/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94. Opportunities in the Nutrition and Food Sciences. Thomas PR, Earl R, e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 109 

  4. Koo NS, Park JY. 2001. Consumption aspects of health supplement or health foods by adult male and female in Daejon. Korean Hum Ecol Soc 10: 205-213 

  5. Kwak JO, Lee CH, You HE, Sung HI, Chang KJ. 2002. Regional differences in dietary supplement use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 Nutr 7: 639-653 

  6.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34: 944-955 

  7. Cha MH, Park JR, Choi JH. 2005. Assessment of the dieti-cians' attitudes about functional foods and their preferred training module. J Food Sci Nutr 10: 272-278 

  8. Bhaskaran S, Hardley F. 2002. Buyer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ur: foods with therapeutic claims. J Consum Mark 19: 591-606 

  9. Verbeke W. 2005. Consumer acceptance of functional foods: socio-demographic, cognitive and attitudinal determinants. Food Qual Prefer 16: 45-57 

  10. De Jong N, Ocke MC, Branderhorst HAC, Friele R. 2003. Demographic and life styl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ood consumers and dietary supplement users. Brit J Nutr 89: 273-281 

  11. Van Kleef W, Van Trijp HCM, Luning P. 2005. Functional foods: health claim-food product compatibility and the impact of health claim framing on consumer evaluation. Appetite 44: 299-308 

  12. Dagevos H. 2005. Consumers as four-faced creatures. Looking at food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consumers. Appetite 45: 32-39 

  13. Roininen K, Lahteenmaki L, Tuorila H. 1999. Quantification of consumer attitudes to health and hedonic characteristics of foods. Appetite 33: 71-88 

  14. Ajzen I,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ur.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5. Shepherd R, Raats MM. 1996. Attitude and beliefs in food habits. In Food choice, acceptance and consumption. Meiselman HL, Macfie HJH, ed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London, UK. p 346-364 

  16. Cox DN, Koster A, Russel CG. 2004. Predicting intentions to consume functional foods and supplements to offset memory using an adaptation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ppetite 43: 55-64 

  17. Frewer L, Scholdere J, Lambert N. 2003. Consumer acceptance of functional foods: issues for the future. Brit Food J 10: 714-731 

  18. Urala N, Lahteenmaki L. 2004. Attitudes behind consumers' willingness to use functional foods. Food Qual Prefer 15: 793-803 

  19. Mann S. 2003. Why organic food in Germany is a merit good. Food Policy 28: 459-469 

  20. Kristal A, Patterson R, Glanz J, Heimendinger J, Herbert J, Feng Z. 1995. Psycosocial correlates of healthful diets: Baseline results from the working well study. Preven Medic 24: 221-228 

  21. Marcelino AS, Adam AS, Couronne T, Koster EP, Sieffermann JM. 2001. Internal and external determinants of eating initiation in humans. Appetite 36: 9-14 

  22. Chen MF. 2007.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Qual Prefer 18: 1008-1021 

  23. Moorman C, Matulich E. 1993. A model of consumer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he role of health motivation and health ability. J Consum Resear 20: 208-228 

  24. Sheeran P, Orbell S. 1999. Augment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oles for anticipated regret and descriptive norms. J Appl Soc Psychol 29: 2107- 2142 

  25. Glanz KJ, Grove C, Lerman C, Gotay C, LeMarchand L. 1999. Correlates of intentions to obtain genetic counseling and colorectal cancer gene testing among at risk relatives from three ethnic group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8: 329-336 

  26. Conner M, Abraham C. 2001. Conscientiousnes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ward a more complete model of the antecedents of intentions and behavior. Person Soc Psychol Bull 27: 1547-1561 

  27. Eertmans A, Victoir A, Vansant G, Bergh O. 2005.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choice motives and food intake: Mediator and moderator relationships. Food Qual Prefer 16: 714-726 

  28. Bell R, Marshall DW. 2003. The construct of food involvement in behavioral research: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Appetite 40: 235-244 

  29. Sheth JN, Newman BI, Gross B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 Busin Resear 22: 159-170 

  30. Kwon MW, Rhee KC. 1998. Consumption values of adolescent consumers and related variables. J Korean Home Econ Assoc 7: 169-193 

  31. Pope N. 1998. Consumption values, sponsorship awareness and product use. J Prod Brand Manag 7: 124-138 

  32. Kahkonen P, Tuorila H, Rita H. 1996. How information enhances acceptability of a low-fat spread. Food Qual Prefer 7: 87-94 

  33.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 Person Soc Psychol 51: 1173-1182 

  34. Reime B, Novak P, Born J, Hagel E, Wanek V. 2000. Eating habits, health status, and concern about health: A study among 1641 employees in the German metal industry. Preven Medic 30: 295-300 

  35. Sun YHC. 2008. Health concern, food choice motives, and attitudes toward healthy eating: The mediating role of food choice motives. Appetite 51: 42-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