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냉이가 배추김치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9, 2007년, pp.1219 - 1224  

박정은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추냉이 뿌리(이하 고추냉이)가 배추김치의 발효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배추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 첨가제로서의 고추냉이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배추 무게에 대하여 0, 2, 3, 4, 5%를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담그어 $10^{\circ}C$에서 35일간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발효 전반적으로 0% 처리구가 가장 낮은 pH를 보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높았다. 또한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숙기의 pH를 오랫동안 유지하였다. 총산은 발효 초기부터 말기까지 0% 처리구의 가장 높았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총산을 보여 고추냉이 첨가가 배추김치의 발효를 지연시켜 주었다. 특히 3% 이상 첨가할 경우 발효를 지연시켜 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비타민 C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다 0%와 2% 처리구는 발효 8일, 3%, 4%와 5% 처리구는 발효 10일에 최대값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담금 직후부터 발효 말기까지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비타민 C 함량이 높았고, 특히 3% 이상 첨가한 처리구에서 더욱 높았다. 3% 이상 첨가한 처리구가 0%와 2% 처리구에 비해 총비타민 C가 최대 함량을 보인 후 완만하게 감소하여 발효가 지연되었다.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은 높았고, 발효 전반적으로 0%와 2% 처리구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발효가 빨리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3% 이상 첨가한 경우 완만하게 환원당이 감소하였고, 발효 말기에도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수용성 펙틴의 경우 배추김치가 익어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점차로 증가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펙틴의 함량은 낮았다. 발효 말기로 갈수록 3% 이상 첨가한 처리구가 0%와 2% 처리구에 비해 더욱 낮은 값을 보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펙틴의 증가하는 폭이 감소하여 발효가 서서히 진행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추냉이를 첨가할 경우 배추김치의 발효를 지연시켜 저장성을 향상시켜 주었고, 특히 3% 이상 첨가할 경우 바람직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배추김치를 담글 때 고추냉이를 첨가하게 되면 품질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application of Wasabi addition to baechu kimchi with regard to quality improvement, by reviewing the optimum Wasabi level and its effects on the produc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The final weight percentages of Wasabi in the baechu kimchi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고추냉이 뿌리를 이용하여 배추김치에 첨가하였을 때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배추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 첨가제로서의 고추냉이의 이용가능성과 배추김치 산업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추냉이 뿌리(이하 고추냉이)가 배추김치의 발효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배추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 첨가제로서의 고추냉이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배추 무게에 대하여 0, 2, 3, 4, 5%를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담그어 10oC 에서 35일간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野田克彦, 機崎さとみ, 谷口春雄. 1985. スパイス類の大腸菌贈殖抑制と促進果. 日本食品工業學會誌 32: 791-796 

  2. 金丸芳, 高谷友九, 官本?次浪. 1989. 市販粉ワサビ, カラシ粉の細菌贈殖抑制作用. 大阪市立大學生活科學部紀要 37: 1-7 

  3. 山下公一朗. 1993. 鮮度保?シ?トの現狀と應用開發. ファインケミカル 22: 74-74 

  4. Hasegawa N, Matsumoto Y, Hoshino A, Iwashita K. 1999. Comparison of effects of Wasabia japonica and allylisothiocyanate on the growth of four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lean and fatty tuna meat suspensions. Int J Food Microbiol 49: 27-34 

  5. 大村作. 1995. Candida albicansに對するallyl isothiocyanateの抗菌作用 菌作用に關する硏究. 日大口科學 21: 261-269 

  6. 一色賢司. 1994. 食用植物成分なと?による眞菌の生育抑制. 日本食品微生物學會誌 11: 19-22 

  7. Jang MS, Yoon SJ. 2003. Korean Food. Hyoilbook, Seoul, Korea. p 63 

  8. Moon SW, Shin HK, Gi GE. 2003. Effects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46-253 

  9. Jung SJ. 2005. Effect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stalk on the fermentation of baechu (Brassica campestris L.) kimchi.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0. Chyun JH, Rhee HS. 1976. Studies on the voaltile fatty acids and carbon dioxide producted in different Kimchis. Korean J Food Sci Technol 8: 90-94 

  11. Millers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31 

  12. Blumenkrantz N, Asboe-Hansen G.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s. Anal Biochem 54: 484-489 

  13. Ku KH, Kang KO, Kim WJ. 1998. Some quality changes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23: 476-482 

  14. Jang MS, Park JE. 2004. Effect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92-398 

  15.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 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16. Kim HO, Rhee HS. 1975.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74-81 

  17. Lee TY, Lee JW. 1981. The change of vitamin C content and effect of galacturonic acid addi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Soc 24: 139-144 

  18. Han HU, Lim H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d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19. Cho HK, Park SH, Jo JS, Jung CS. 2001. Effect of the garlic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70-477 

  20.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21. Ha KH, Park SW. 1998. An effect of red-rile perisimmon on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 Nutr 11: 570-575 

  22. Cho Y, L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1). Korean J Soc Food Sci 7: 15-25 

  23. Kang Ko, Sohn HJ, Kim WJ. 1991.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67-271 

  24. Kim NY, Jang MS. 2001. Textural properties of Kakdugi by salting methods I - Water soluble pectin, PG activity, dietary fiber, total soluble solid -.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503-509 

  25. Ahn SC, Lee GJ. 1995. Effects of salt-fermented fish and chitosan addition on the pectic substance and the texture change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1: 309-315 

  26. Lee JS, Lee HJ. 2000. Effects of chitosan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shelf-life and pectin fract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3: 319-327 

  27. Jung GH, Ghee HS. 1986. Changes of texture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radish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2: 68-75 

  28. Ko YH, Park KW. 198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pectinester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235-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