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침결식은 비만 및 대사증후군 항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량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에 소재한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55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아침식사량에 따라 아침결식군, 소량섭취군, 중간섭취군, 과량섭취군의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 5548명 중 959명(17.3%)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아침결식군이었다. 아침결식군에서 일일섭취열량 및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섭취량이 가장 낮았으며, 아침식사군에서는 일일섭취열량 및 단백질, 탄수화물 섭취량이 아침식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체질량지수($23.4\;kg/m^2$)와 허리둘레(79.6 cm)는 소량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소량섭취군에서 중성지방, 공복혈당 및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가장 낮았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가장 높았다. 대사위험요인의 수는 소량섭취군에서 가장 적었고 아침식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사증후군의 교차비(Odds ratio=0.612)는 소량섭취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침식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차비도 증가했고, 아침결식군에서 과량식사군보다 교차비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아침식사량은 대사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결식은 대사위험요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량의 아침식사가 대사위험요인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ipping breakfast is a risk factor closely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size,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The study included 5,548 adul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from January to November of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량과 비만지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적절한 아침식사량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침결식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아침결식은 비만 및 대사증후군 항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량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침결식의 문제점 중 심혈관 위험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비만하지 않은 남성에서 10년간 관찰연구 한 결과 나이, 체질량지수, 생활습관과는 독립적으로 아침결식과 체중증가 위험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3]. 아침결식은 흡연, 운동부족, 총 콜레스테롤 증가, 혈압 증가 등의 심혈관 위험인자와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29], 다른 연구에서 아침결식군은 흡연, 운동부족, 체질량지수 증가, 잦은 음주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15,30,31], 당뇨병 진단률이 더 높았다[24]. 정상체중 여성에서 아침 결식은 인슐린감수성 감소, 공복 시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7].
아침 식사량에 따른 대사위험요인에서 나쁜 영향과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치는 실험군은 각각 무엇인가? 본 연구 결과 아침식사량은 대사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결식은 대사위험요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량의 아침식사가 대사위험요인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exander, K. E., E. E. Ventura, D. Spruijt-Metz, M. J. Weigensberg, M. I. Goran, and J. N. Davis. 2009. Association of breakfast skipping with visceral fat and insulin indices in overweight Latino youth. Obesity 17, 1528-1533. 

  2. Benton, D. and P. Y. Parker. 1998. Breakfast, blood glucose, and cognition. Am. J. Clin. Nutr. 67, S772-S778. 

  3. Chang, U. J., E. Y. Jung, and I. S. Hong. 2007. The effect of the reduced portion size by using a diet rice bowl on food consumption and satiety rate. Korean J. Community Nutr. 12, 639-645. 

  4. Cho, S., M. Dietrich, C. J. Brown, C. A. Clark, and G. Block. 2003. The effect of breakfast type on total daily energy intake and body mass index: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J. Am. Coll. Nutr. 22, 296-302. 

  5. Deshmukh-Taskar, P. R., T. A. Nicklas, C. E. O'Neil, D. R. Keast, J. D. Radcliffe, and S. Cho. 2010. The relationship of breakfast skipping and type of breakfast consumption with nutrient intake and weight statu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6. J. Am. Diet. Assoc. 110, 869-878. 

  6.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2001. Execut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85, 2486-2496. 

  7. Farshchi, H. R., M. A. Taylor, and I. A. Macdonald. 2005. Deleterious effects of omitting breakfast on insulin sensitivity and fasting lipid profiles in healthy lean women. Am. J. Clin. Nutr. 81, 388-396. 

  8. Flegal, K. M., M. D. Carroll, R. J. Kuczmarski, and C. L. Johnson. 1998.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1960-1994.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2, 39-47. 

  9. Holt, S. H., H. J. Delargy, C. L. Laton, and J. E. Blundell. 1999. The effects of high-carbohydrate vs high-fat breakfasts on feelings of fullness and alertness, and subsequent food intake. Int. J. Food. Sci. Nutr. 50, 13-28. 

  10. Housova, J., M. Matoulek, S. Svacina, K. Kyhos, S. Slaba, S. Vavrejnova, and B. Ricarova. 2008. Comparisin of low energy breakfast based on special egg white spread product with a standard breakfast. Prague. Med. Rep. 109, 127-133. 

  11. Huang, C. J., H. T. Hu, Y. C. Fan, Y. M. Liao, and P. S. Tsai. 2010. Associations of breakfast skipping with obes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vidence from a national survey in Taiwan. Int. J. Obes. (Lond). 34, 720-725. 

  12. Isomaa, B., P. Almgren, T. Tuomi, B. Forsen, K. Lahti, M. Nissen, M. R. Taskinen, and L. Groop. 2001.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4, 683-689. 

  13. Kant, A. K. and B. I. Graubard. 2006. Secular trends in patterns of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of adult Americans: NHANES 1971-1975 to NHANES 1999-2002. Am. J. Clin. Nutr. 84, 1215-1223. 

  14. Kent, L. M. and A. Worsley. 2010. Breakfast size is related to body mass index for men, but not women. Nutr. Res. 30, 240-245. 

  15. Keski-Rahkonen, A., J. Kaprio, A. Rissanen, M. Virkkunen, and R. J. Rose. 2003. Breakfast skipping and health-compromising behaviors in adolescents and adults. Eur. J. Clin. Nutr. 57, 842-853. 

  16. Kim, H. M., D. J. Kim, I. H. Jung, C. W. Park, and J. Park. 2007.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new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efinition and the new abdominal obesity criteria for the Korean people. Diabetes Res. Clin. Pract. 77, 99-106. 

  17. Kirwan, J. P., D. O. Gorman, and W. J. Evans. 1998. A moderate glycemic meal before endurance exercise can enhance performance. J. Appl. Physiol. 84, 53-59.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lfar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statistics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urth second year (2008). 199. 

  19. Lee, S. Y., H. S. Park, D. J. Kim, J. H. Han, S. M. Kim, G. J. Cho, D. Y. Kim, H. S. Kwon, S. R. Kim, C. B. Lee, S. J. Oh, C. Y. Park, and H. J. Yoo. 2007.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75, 72-80. 

  20. Lioret, S., J. L. Volatier, L. Lafay, M. Touvier, and B. Maire. 2009. Is food portion size a risk factor of childhood overweight? Eur. J. Clin. Nutr. 63, 382-391. 

  21. Lorenzo, C., M. Okoloise, K. Williams, M. P. Stern, and S. M. Haffner. 2003. The metabolic syndrome as predictor of type 2 diabetes: the San Antonio heart study. Diabetes Care. 26, 3153-3159. 

  22. Murphy, J. M., M. E. Pagano, J. Nachmani, P. Sperling, S. Kane, and R. E. Kleinman. 1998. The relationship of school breakfast to psychosocial and academic functioning. Arch. Pediatr. Adolesc. Med. 152, 899-907. 

  2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the evidence report. Obes. Res. 6, 51S-209S. 

  24. Nishiyama, M., T. Muto, T. Minakawa, and T. Shibata. 2009. The combined unhealthy behaviors of breakfast skipping and smoking are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Tohoku J. Exp. Med. 218, 259-264. 

  25. Oh, H. S. and H. O. Park. 2000.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01-213. 

  26. Oh, Se-Young. 2005. Food sharing characteristics in modern Korean society. Korean J. Food Culture 20, 683-687. 

  27. Pal, S., S. Lim, and G. Egger. 2008. The effect of a low glycae mic index breakfast on blood glucose, insulin, lipid profiles, blood pressure, body weight, body composition and satiety in obese and overweight individuals: a pilot study. J. Am. Coll. Nutr. 27, 387-393. 

  28. Powell, C. A., S. P. Walker, S. M. Chang, and M. Grantham-McGregor. 1998. Nutrition and education: A randomized trial of the effects of breakfast in rural primary school children. Am. J. Clin. Nutr. 68, 873-879. 

  29. Sakata, K., Y. Matumura, N. Yoshimura, J. Tamaki, T. Hashimoto, S. Oguri, A. Okayama, and H. Yanagawa. 2001. Relationship between skipping breakfast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data. Nippon Koshu Eisei Zasshi. 48, 837-841. 

  30. Silverstein, L. J. 1995. The relationship of breakfast eating to body weight. Obes. Res. 3, 97. 

  31. Song, W. O., O. K. Chun, S. Obayashi, S. Cho, and C. E. Chung. 2005. Is consumption of breakfast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US adults? J. Am. Diet. Assoc. 105, 1373-1382. 

  32. Van der Heijden, A. A., F. B. Hu, E. B. Rimm, and R. M. Van Dam. 2007. A prospective study of breakfast consumption and weight gain among U.S. men. Obesity 15, 2463-2469. 

  33. Vermorel, M., A. Bitar, J. Vernet, E. Verdier, and J. Coudert. 2003. The extent to which breakfast covers the morning energy expenditure of adolescents with varying levels of physical activity. Eur. J. Clin. Nutr. 57, 310-315. 

  34. Wesnes, K. A., C. Pincock, D. Richardson, G. Helm, and S. Hails. 2003. Breakfast reduces declines in attention and memory over the morning in schoolchildren. Appetite. 41, 329-331. 

  35. Wingard, D. L., L. F. Berkman, and R. J. Brand. 1982. A multivariate analysis of health-related practices: a nine-year mortality follow-up of the Alameda County Study. Am. J. Epidemiol. 116, 765-775. 

  36. Wyatt, H. R., G. K. Grunwald, C. L. Mosca, M. L. Klem, R. R. Wing, and J. O. Hill. 2002. Long-term weight loss and breakfast in subjects in the national weight control registry. Obes. Res. 10, 78-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