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레가노(Origanum majorana 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5, 2009년, pp.425 - 430  

임태진 (상지대학교 생명공학과) ,  최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8{\mu}g$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강력한 자유라디칼에 대한 총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7.5 및 $15{\mu}g$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15.1 및 31.4 nmol Trolox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0.2 및 $0.4{\mu}g$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 및 2.4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30 및 $75{\mu}g$총페놀 함량은 각각 40.5 및 83.9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황화철/아스코르빈산에 의해 유도된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20 및 $50{\mu}g$TBARS 수준을 각각 20 및 64% 억제시켰다. 이와같이 오레가노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oregano extracts. Amount of oregano extract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was $21.8{\mu}g$ as compared to 100% by pyrogallol as a reference.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Origanum majorana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기전에 관한 연구결과는 많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riganum majorana 에탄올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활성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레가노는 무엇인가? 허브(herbs)는 의학적, 요리 및 기호성 목적으로 차, 향신료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오레가노는 아름다운 꽃과 향을 지니고 있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또한 향신료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꿀풀과에 속하는 허브이다. 이 중에서 Origanum majorana는 지중해 및 유럽 일대에 널리 자생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오레가노 중에서 Origanum majorana는 무엇인가? 오레가노는 아름다운 꽃과 향을 지니고 있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또한 향신료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꿀풀과에 속하는 허브이다. 이 중에서 Origanum majorana는 지중해 및 유럽 일대에 널리 자생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오레가노로부터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는 항미생물 및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었고(Sivropoulou et al.
오레가노 에탄올추출물의 경구투여는 어떤 효능을 보였는가? , 2004), 해독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Lam and Zheng, 1991). 오레가노 에탄올추출물의 경구투여는 스트레스로 유발된 위염을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Yoshino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ma, M.H., A. Mavi, A. Yildirim, M. Digrak and T. Hirata. 2003. Screening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from Origanum syriacum L. growing in turkey. Biol. Pharm. Bull. 26:1725-1729 

  2. Block, G., B. Paterson and A. Subar. 1992. Fruits, vegetables and cancer prevention: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Nutr. Cancer 18:1-29 

  3.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248-254 

  4. Diplock, A.T., J-L, Charleux, G. Crozier-Willi, F.J. Kok, C. Rice-Evans, M. Roberfroid, W. Stahl and J. Vina-Ribes. 1998. Functional food science and defence against reactive oxidative species. Brit. J. Nutr. 80S:S77-S112 

  5. Dorman, H.J.D., O. Bachmayer, M. Kosar and R. Hiltunen. 2004. Antioxidant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from selected Lamiaceae species grown in turkey. J. Agric. Food Chem. 52:762-770 

  6. Elgayyar, M., F.A. Draughon, D.A. Golden and J.R. Moun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plants against selected pathogenic and saprophytic microorganisms. J. Food Prot. 7:1019-1024 

  7. Erel, O. 2004. A novel automated direct measurement method for total antioxidant capacity using a new generation, more stable ABTS radical cation. Clin. Biochem. 37:277-285 

  8. Halliwell, B., J.M.C. Gutteridge and C.E. Cross.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598-620 

  9. Heo, H-J, H-Y Cho, B. Hong, H-K Kim, T-R Heo, E-K Kim, S-K Kim, C-J Kim and D-H Shin. 2002. Ursolic acid of Origanum majorana L. reduces A $\beta$ -induced oxidative injury. Mol. Cells 13:5-11 

  10. Hovius, R., H. Lambrechts, K. Nocolay and B. de Kruijff. 1990. Improved methods to isolate and subfractionate rat liver mitochondria. Lipid composition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 Biochim. Biophys. Acta. 1021:217-226 

  11. Huang, D., B. Ou, M. Hampsch-Woodill, J. A. Flanagan and R. L. Prior.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4437-4444 

  12. Jun, W.J., B.K. Han, K.W. Yu, M.S. Kim, I.S. Chang, H.Y. Kim and H.Y. Cho. 2001. Antioxidant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L. on superoxide anion radicals. Food Chem. 75:439-444 

  13. Lam, L.K.T. and B. Zheng. 1991. Effets of essential oil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mice. J. Agric. Food Chem. 39:660-662 

  14. Malterud, K.E., T.L. Farbrot, A.E. Huse and R.B. Sund. 1993.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nthraquinones and anthrones. Pharmacology 47:77-85 

  15. Shan, B., Y.Z. Cai, M. Sun and H. Corke. 2005. Antioxidant capacity of 26 spice extract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phenolic constituents. J. Agric. Food Chem. 53:7749-7759 

  16. Singleton, V.L. and R. Orthofer.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7. Sivropoulou, A., E. Papanikolaou, C. Nikolaou, S. Kokkini, T. Lanaras and M. Arsenakis. 1996.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Origanum essential oils. J. Agric. Food Chem. 44:1202-1205 

  18. Sokmen, M., J. Serkedjieva, D. Daferera, M. Gulluce, M. Polissiou, B. Tepe, A. Akpulat, F. Sahin and A. Sokmen. 2004. In vitro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nd various extracts from herbal pars and callus cultures of Origanum acutidens. J. Agric. Food Chem. 52:3309-3312 

  19. Stacey, N.H. and C.D. Klaassen. 1981.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ithout prevention of cellular injury in isolated rat hepatocytes. Toxicol. Appl. Pharm. 58:8-18 

  20. Steel, R.G.D. and J.H. Torrie. 198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2nd ed, McGraw-Hill, New York, pp.186-187 

  21. Thannickal, V.J. and B.L. Fanburg.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L1005-L1029 

  22. Yoshino, K., N. Higashi and K. Koga. 2006.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Oregano extract. J. Health Sci. 52:169-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