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대정 및 전국 주요 산지별 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ng Area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542 - 1547  

현선희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미보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임상빈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 대정 마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대정 지역별 마늘과 도외지역 및 중국산 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알리신 함량은 단양 마늘이 457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의성(422), 태안(393)과 중국(370), 제주(334)와 남해(328) 마늘 순이었다. 총페놀 함량은 태안 마늘이 3.77 mg GAE/g로 가장 높았고, 남해 마늘이 1.90 mg GAE/g로 가장 낮았다. 제주 대정 마늘의 평균 총페놀 함량은 3.36 mg GAE/g로 전국 주요산지 마늘의 평균 2.87 mg GAE/g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단양($2.88{\mu}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 of dry extract)과 제주 대정산(평균 2.73)이 가장 높았고, 남해(1.94)와 태안산(1.67)이 가장 낮았다.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남해($5.77{\mu}mol$ trolox equivalents/g of dry extract), 단양(5.31), 제주 대정산(평균 5.29)이 가장 높았고, 태안산(4.19)이 가장 낮았다. 특히 중국산과 남해산은 지용성 항산화 능력이 각각 6.25와 $5.77{\mu}mol/g$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여 수용성 항산화 능력이 가장 낮은 것과는 대조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수용성 항산화 능력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통풍저해 활성은 제주 대정 마늘(평균 31.1%)이 전국 주요산지 마늘(평균 23.2%)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지별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검정 균주 중에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E. coli 순이었으며, 제주 대정 특히 알뜨르 마늘은 4가지 균주 모두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garlic extracts from eight different cultivating areas (three areas from Daejeong Jeju, four major cultivating areas (Danyang, Uiseong, Taean and Namhae) in Korea, and one imported from China) were investigated. Allicin was the highest in the garlic from Danyang (45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늘은 품종뿐만 아니라 토양 및 기후, 기타 재배환경에 따라 그 구성성분과 생리활성에 차이가 나는데, 지금까지 대정 마늘에 대한 종합적 성분 분석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대정 마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대정 지역별 마늘과 도외지역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 그리고 중국산 마늘을 수집하여, 산지별 마늘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 제주 대정 마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대정 지역별 마늘과 도외지역 및 중국산 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알리신 함량은 단양 마늘이 457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의성(422), 태안(393)과 중국(370), 제주(334)와 남해(328) 마늘 순이었다.

가설 설정

  • 0mL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2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바탕시험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는데, 다만 효소용액은 1 N HCl을 먼저 가한 후 가하였다. Xanthine oxidase 1 unit는 25℃에서 분당 1 μM uric acid를 생산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Sung N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 237-245 

  2. Shin DB, Seog HM, Kim JH, Lee YC. 1999.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93-300 

  3. Brodnitz MH, John PV, Linda VD. 1971. Flavor components of garlic extract. J Agric Food Chem 19: 273-275 

  4. Koch HP, Lawson LD. 1996. Garlic: The Science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Allium sativum and Related Specie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USA 

  5. Prasad K, Laxdal VA, Yu M, Raney BL. 1996. Evaluation of hydroxyl radical-scavenging properties of garlic. Mol Cell Biochem 154: 55-63 

  6. Rabinkov A, Miron T, Konstantinovski L, Wilchek M, Mirelman D, Weiner L. 1998. The mode of action of allicin: trapping of radicals and interaction with thiol containing proteins. Biochim Biophys Acta 1379: 233-244 

  7. Lee GY, Chang BS. 2007. Literature review on the effect of human skin following garlic extraction. J Beau Tricho 3: 6-12 

  8. Han J, Lawson L, Han G, Han P. 1995. A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llicin and total garlic thiosulfinates. Anal Biochem 225: 157-160 

  9. Lawson LD, Wood SG, Hughes BG. 1991. HPLC analysis of allicin and other thiosulfinates in garlic glove homogenates. Planta Med 57: 263-270 

  10. Peschel W, Sanchez-Rabaneda F, Diekmann W, Plescher A, Gartzia I, Jimenez D, Lamuela-Raventos R, Buxaderas S, Codina C. 2006. An industrial approach in the search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vegetable and fruit wastes. Food Chem 97: 137-150 

  11. Besco E, Braccioli E, Vertuani S, Ziosi P, Brazzo F, Bruni R, Saccetti G, Manfredini S. 2007. The use of photochemiluminescence for the measurement of the integral antioxidant capacity of baobab products. Food Chem 102: 1352-1356 

  12. Kweon MH, Hwang HJ,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13. Kim KJ, Do JR, Kim HK. 2005.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28-232 

  14. Lee JM, Cha TY, Kim SH, Kwon TK, Kwon JH, Lee SH. 2007.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garlic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4: 385-393 

  15. Hwang JB, Ha JH, Park WS, Lee YC. 2004. Changes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 

  16. Paik IK. 2002. A simple photometric assay for total thiosulfinate concentration from Allium sativum. Inje Medical J 23: 197-200 

  17.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8. Kim IW, Shin DH, Choi U. 1999.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 screened from some Chines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5-863 

  19. Giocosa A, Filiberti R. 1996. Free radicals, oxidative damage and degenerative disease. Eur J Cancer Prev 5: 307-312 

  20. Im KJ, Lee SK, Park DK, Rhee MS, Lee JK. 2000. Inhibitory effects of garlic on the nitrosation. Agric Chem Biotech 43: 110-115 

  21. Byun PH, Kim WJ, Yoon SK. 2001.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07-513 

  22. Moon SH, Lee MK. 2001. Inhibit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Nutr 11: 354-357 

  23. Sheo HJ. 1999.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99 

  24. Kyung KH. 2006.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J Fd Hyg Safety 21: 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