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동부와 서부지역 남도마늘의 생화학적 성분 및 항균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uthern-Type Garlic Grown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Jeju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5, 2015년, pp.763 - 771  

김주성 (제주대학교 친환경연구소) ,  라종환 (제주대학교 친환경연구소) ,  현해남 (제주대학교 친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물의 구성성분이나 생리활성은 재배지역의 자연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제주 동부와 서부 마늘 재배지역의 토양분석 및 생산된 마늘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및 마늘의 대량원소는 동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미량원소는 서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알리인과 총 페놀 함량은 서부지역에서 높았으며 알리신, 총 피루베이트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동부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지역간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주에서 재배지역에 따른 마늘 성분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rops are strongly affected by the natural environments of the growth region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oil analysis and determined the allicin, alliin, total pyruvate, total phenol and flavonoid,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garlic from garlic-cul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제주는 남도마늘의 대표적 재배지로, 특히 동부와 서부에서 재배되는 마늘의 토양 및 함유 성분들을 비교하면 지역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재배농가의 홍보자료 및 특정 성분을 목적으로 한 맞춤형 재배가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제주의 동부와 서부 마늘 재배지역의 토양 및 생산된 마늘을 이용하여 다양한 성분분석을 실시하였기에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이란? 중앙아시아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알려진 마늘(Allium sativum L.)은 파를 비롯한 양파, 삼채, 부추 및 달래 등과 함께 백합과(Liliaceae), 파속(Allium)에 속하는 초본성 식물 이다(Shin et al., 2004).
제주에서 재배되는 품종의 마늘은 대부분 어떤 생태형인가? kr). 이러한 마늘은 한지형과 난지형의 두 가지 생태형으로 분류되는데 제주에서 재배되는 품종 들은 대부분 난지형에 속한다. 난지형 마늘은 한지형 마늘에 비하여 휴면기간이 짧고 파종 후 어느 정도 자란 상태에서 월동하며,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제주 동부와 서부 마늘 재배지역의 성분분석 결과는? 제주 동부와 서부 마늘 재배지역의 토양분석 및 생산된 마늘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및 마늘의 대량원소는 동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미량원소는 서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알리인과 총 페놀 함량은 서부지역에서 높았으며 알리신, 총 피루베이트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동부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지역간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주에서 재배지역에 따른 마늘 성분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K., G.L. Choi, and H.S. Choi. 2010. Productivity of seed garlic using garlic bulbils as affected by planting dates and storage temperature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959-963. 

  2. Ahn, Y.K., H.S. Choi, G.L. Choi, and H.D. Suh. 2008. Establishment of bulbil cultivation using bulbil sower in garlic (Allium sativum L.). Kor. J. Hort. Sci. Technol. 26:219-222. 

  3. Choi, H.S., E.Y. Yang, W.B. Chae, Y.B. Kwack, and H.L. Kim. 2009. Effect of soil temperature, seedtime, and fertilization rate on the secondary growth in the cultivation of the big bulbils of Namdo garlic (Allium sativum L.). J. Bio-Environ. Control 18:454-459. 

  4. Hwang, J.M., H.T. Ha, and H.S. Choi. 2009. Field performance of seed garlic on cultivars collected from the different growing regions. Kor. J. Hort. Sci. Technol. 27:567-571. 

  5. Hyun, S.H., M.B. Kim, and S.B. Lim.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ng area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542-1547. 

  6. Hyun, T.K., H.C. Kim, and J.S. Kim. 2014.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Ind. Crop. Prod. 52:611-616. 

  7. Jeong, C.H., Y.I. Bae, J.H. Lee, K.H. Shim, J.G. Roh, C.S. Shin, and J.S. Choi. 2009.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s from different cultivated area. J. Agric. Life Sci. 43:51-59. 

  8. Jeong, J.Y., K.S. Woo, I.G. Hwang, H.S. Yoon, Y.R. Lee, and H.S. Jeong. 2007.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637-1642. 

  9. Kim, C.H., K.C. Seong, J.S. Lee, K.H. Kang, Y.C. Um, and H.D. Suh. 2009. Production of seed garlic by sawing bulbils of southern type garlic in Jeju island. J. Bio-Environ. Control 18:74-80. 

  10. Kim, J.S., J.H. Ra, and H.N. Hyun. 2015. Correlations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bioactive constituents of Namdo garlic harvested in the non-volcanic ash soil distributed western Jeju.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3:125-131. 

  11. Kim, J.S., Y.S. Kwon, W.J. Chun, T.Y. Kim, J. Sun, C.Y. Yu, and M.J. Kim. 2010. Rhus verniciflua stokes flavonoid extracts hav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Food Chem. 120:539-543. 

  12. Kwon, S.T., I.J. Chun, and C. Marklez. 2014. Composition of amino acids in domestic and foreign garlic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7:35-42. 

  13. Lee, Y.K., H.M. Sin, K.S. Woo, I.G. Hwang, T.S. Kang, and H.S. Jeong. 2008.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quality of garlic and soil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1-35. 

  14.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428. 

  15. Moreno, M.I., M.I. Isla, A.R. Sampietro, and M.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16. Ra, W.H. and K.W. Park. 1987. Study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ecotype of garlics in main producing districts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6:67-75.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IAST, RDA, Suwon, Korea. 

  18. Schwimmer, S. and W.J. Weston. 1961. Onion flavor and odor, enzymatic development of pyruvic acid in onion as a measure of pungency. J. Agric. Food Chem. 9:301-304. 

  19. Shin, J.H., J.C. Ju, O.C. Kwen, S.M. Yang, S.J. Lee, and N.J. Sung.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Nutr. 17:237-245. 

  20. Shin, J.H., R.J. Kim, S.J. Lee, M.J. Kang, J.K. Seo, and N.J. Sung. 2011a. Aroma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199-207. 

  21. Shin, J.H., S.J. Lee, W.J. Jung, M.J. Kang, and N.J. Sung. 2011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collected from the different regions. J. Agric. Life Sci. 45:103-114. 

  22. Song, Y.S., I.H. Choi, B.C. Chung, and W.Y. Choi. 2001. Effects of applying slow-release fertilizer on southern type garlic (Allium sativum L.) cultivation. Kor. J. Hort. Sci. Technol. 19:471-475. 

  23. van de Laar F.A., P.L. Lucassen, R.P. Akkermans, E.H. van de Lisdonk, G.E. Rutten, and C. van Weel. 2005.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es Care 28:154-163. 

  24. Yamada, Y. and K. Azuma. 1997. Evaluation of the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of allicin. Antimicrob. Agents Ch. 11:743-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