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의 화산회토양 및 비화산회토양에서 재배한 난지형 마늘의 주요성분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Main Components of the Southern Ecotype Garlic Cultivar Cultivated in the Volcanic or Nonvolcanic Ash Soil of Jeju Island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4 no.4, 2016년, pp.549 - 556  

김주성 (제주대학교 친환경연구소) ,  라종환 (제주대학교 친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제주의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에서 난지형 마늘인 남도 마늘과 대서 마늘을 재배하여 토양 및 마늘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남도 마늘을 재배한 화산회토양에서는 전기전도도가용성 황 함량이 높았으며 대서 마늘을 재배한 화산 회토양에서는 유기물함량 및 총 질소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남도 마늘을 재배한 비화산회토의 경우 가용성 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화산회토에서 재배한 남도 마늘의 경우 가용성고형물 및 알리신 함량이 높았으며, 화산회토에서 재배한 대서 마늘의 경우 환원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주에서 재배된 마늘의 대량원소 함량은 칼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황, 마그네슘, 칼슘 및 나트륨 순이었으며 미량원소의 경우 철, 아연, 망간, 구리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품질 마늘 생산을 목표로 하는 재배농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nstituents of Southern ecotype garlic cultivars, Namdo and Daeseo garlic, cultivated in volcanic and non-volcanic ash soil in Jeju Island and compared the soil properties in these regions. The volcanic ash soil in which Namdo garlic grew had higher e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등 아직 그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인 남도 마늘과 대서 마늘을 제주의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에서 재배하면서 토양특성에 따른 생산된 마늘의 성분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 품종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8%)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마늘 품종은 따뜻한 지방에서 생산성이 뛰어난 난지형 마늘과 추운 지방에서 생산성이 뛰어난 한지형 마늘로 나눌 수 있다(Lee and Lee, 2011). 난지형 마늘에는 재래종(제주, 고흥, 해남, 남해종)과 도입종(대서 마늘, 남도 마늘, 자봉 마늘)이 있으며, 저장성은 한지형에 비하여 약하나 구당 인경수가 많아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Lee and Lee, 2011).
제주에서 재배되는 채소작물 중에서 마늘의 비중은 어떠한가? 마늘은 양념채소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제주에서 재배되는 채소작물 중에서 마늘이 차지하는 비중은 18.7%로 무(26.8%)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제주의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에서 난지형 마늘인 남도 마늘과 대서 마늘을 재배하여 토양 및 마늘의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제주의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에서 난지형 마늘인 남도 마늘과 대서 마늘을 재배하여 토양 및 마늘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남도 마늘을 재배한 화산회토양에서는 전기전도도 및 가용성 황 함량이 높았으며 대서 마늘을 재배한 화산 회토양에서는 유기물함량 및 총 질소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남도 마늘을 재배한 비화산회토의 경우 가용성 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화산회토에서 재배한 남도 마늘의 경우 가용성고형물 및 알리신 함량이 높았으며, 화산회토에서 재배한 대서 마늘의 경우 환원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주에서 재배된 마늘의 대량원소 함량은 칼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황, 마그네슘, 칼슘 및 나트륨 순이었으며 미량원소의 경우 철, 아연, 망간, 구리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품질 마늘 생산을 목표로 하는 재배농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SK, Jung EA, Kwon ST (2010) Genetic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RAPD markers from some garlic cultivars in Korea and Mongolia. Korean J Plant Res 23:458-464 

  2. Diriba-Shiferaw G, Nigussie-Dechassa R, Kebede W, Getachew T, Sharma JJ (2013) Growth and nutrients content and uptake of garlic (Allium sativum L.) as influenced by different types of fertilizers and soils. Sci Technol Arts Res J 2:35-50. doi:10.4314/ star.v2i3.98727 

  3. Hyun HN (2011) Soil environment, a key to open up Jeju society and culture. Proceedings of 30th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for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Jeju, Korea, 7-9 Jul 2011, 3-20 

  4. Hyun TK, Kim HC, Kim JS (2014)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Ind Crop Prod 52:611-616. doi:10.1016/j.indcrop.2013.11.039 

  5. Jeong WJ, Kang MJ, Yoon HS, Sung NJ, Shin JH (2012) Physiochem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cultivar. J Agric life Sci 46:89- 98 

  6. Joa JH, Moon DG, Chun SJ, Kim CH, Choi KS, Hyun HN, Kang UG (2009) Effect of temperature on soil microbial biomass, enzyme activities, and PLFA content during incubation period of soil treated with organic materials. Korean J Soil Sci Fert 42:500-512 

  7. Kang HJ, Yang SH, Lee SC (2011) Effects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of potato,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Korean J Soil Sci Fert 44:1130-1136. doi:10.7745/KJSSF.2011.44.6.1130 

  8. Kim BS, Park NH, Park MH, Han BH, Bae TJ (1990) Manufacture of garlic juice and prediction of its boiling point ri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86-491 

  9. Kim CH, Seong KC, Lee JS, Kang KH, Um YC, Suh HD (2009a) Production of seed garlic by sawing bulbils of southern type garlic in Jeju island. J Bio-Environ Control 18:74-80 

  10. Kim JS, Ra JH, Hyun HN (2015a) Comparison of biocheo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uthern type garlic grown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 of Jeju. doi:10.7235/hort.2015.15005 

  11. Kim JS, Ra JH, Hyun HN (2015b) Correlations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bioactive constituents of Namdo garlic harvested in the non-volcanic ash soil distributed western Jeju.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3:125-131. doi:10.7783/KJMCS.2015.23.2.125 

  12. Kim MB, Oh YJ, Lim SB (2009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Culin Res 15:59-66 

  13. Lee JJ, Lee HJ (2011)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baked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8:575-583. doi:10.11002/ kjfp.2011.18.4.575 

  14. Lee SK, Cha KS, Kim IT (1983)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of soil organic matter in Jeju volcanic ash soil. J Korean Soc Soil Sci Fert 16:20-27 

  15. Liu CT, Hse H, Lii CK, Chen PS, Sheen LY (2005) Effects of garlic oil and diallyl trisulfide on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rats. Eur J Pharmacol 516:165-173. doi:10.1016/j.ejphar.2005.04.031 

  16.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428. doi:10.1021/ ac60147a030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IAST, RDA, Suwon, Korea 

  18. Sa'adatu ME (2013) Comparative study on concentration of some minerals found in garlic (Allium sativum Linn) species grown in some African countries. J Biol Life Sci 4:63-67 

  19. Sheela CG, Augusti KT (1992) Antidiabetic effects of S-allyl cysteine sulfoxide isolated from garlic Allium sativum Linn. Indian J Exp Biol 30:523-526 

  20. Walkley A, Black IA (1934) An examination of Degtjareff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and a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chromic acid titration method. Soil Sci 37:29-37. doi:10.1097/00010694-193401000-00003 

  21. Yoon HS, Kang MJ, Hwang CR, Sim HJ, Kim GM, Shin JH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from different areas in Namhae. Korean J Food Preserv 21:321-327. doi:10.11002/kjfp.2014.21.3.3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