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여대생의 BMI를 기준으로 식생활, 영양섭취상태 및 혈액인자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589 - 1598  

최경순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경옥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근희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sim}24$세의 여대생 대상으로 비만유형에 따라 각 군별로 식습관과 식생활 평가, 영양섭취상태 및 혈액인자가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체질량지수 (BMI)에 따라 저체중군, 정상군, 비만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신장은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률 및 waist-hip ratio는 비만군에서 가장 높았다(p<0.05).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는 129명 중 저체중군은 36명 27.9%, 정상군은 88명 68.2%, 비만군은 5명 3.9%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아침 식사의 결식률도 15.3%나 되었다. 아침 결식의 이유로는 아침시간이 바쁘거나, 늦게 일어나서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결식으로 인한 배고픔을 간식으로 대체하고 있어 하루에 $1{\sim}2$회 정도 간식을 한다고 답하였다. 식생활 평가를 보면, 저체중군에 속하는 여대생들은 육류, 생선, 알류 등의 단백질 식품의 섭취(23.4%)와 과일 및 과일주스의 섭취(37.8%)를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만군에 속하는 여대생들은 삼겹살, 갈비 등 지방이 많은 육류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77.8%)과 김치 및 채소를 식사 때마다 먹는 비율(66.7%)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p<0.05).그러나 비만군에 속한 여대생의 경우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저체중군에 비해 오히려 비만군에서 식생활과 건강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상태 중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오히려 다른 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낮았고(p<0.05), 전체 여대생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해 볼 때, 철, 칼슘, 섬유소의 섭취는 제시된 기준치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소디움의 섭취는 오히려 기준치에 비해 과다하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 검사 결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및 HDL-C/LDL-C(ratio)는 비만군에서 낮았으며, 중성지방 수치는 다른 두 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각각 HD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중성지방은 HDL-cholesterol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BMI에 의해서 분류된 세 그룹 모두에서 아침 결식률과 운동부족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군에서는 균형적인 영양섭취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만군에서는 너무 본인의 신체적 문제를 의식하여 식품의 섭취에 있어서 균형적인 식사를 무시하고, 체중을 줄이려고 편식을 시도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저체중군, 정상군 및 비만군에 상관없이 여대생의 현실에 맞는 전반적인 식생활의 개선과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 강화의 필요성 및 체계적인 식사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만인 뿐만 아니라 저체중의 비율도 높아 자신의 건강상태를 올바르게 판단하여 자신에게 맞는 식생활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esity on health by analyzing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obesity through the questionnaires on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 and physical measurements. The subjects, 419 college women aged 20 to 24 year-old, were randomly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24세의 여대생 대상으로 비만유형에 따라각 군별로 식습관과 식생활 평가, 영양섭취상태 및 혈액인자가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내 거주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 체계측 조사를 통해 비만 유형을 분류하고, 이들의 식습관과 식생활 평가, 영양섭취 상태 및 혈액상태를 조사하여 비만과 관련이 있는 원인요인들을 분석하고, 비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3)NS: not significant.
  • 4)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이란 체내에서 과다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 소모량을 초과했을 때 그 잉여 부분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 피하나 복강에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1,5). 비만의 발생원인은 유전적, 사회·경제적, 환경적인 요인 이외에도 체형, 체격 및 건강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8).
비만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경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신체의 활동량의 부족 및 영양의 과잉섭취로 인해 비만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우리나라 성인(20∼29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영양조사에 의하면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kg/m2 이상인 비만인이 1991년에는 17.
비만의 발생원인 중 위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비만의 발생원인은 유전적, 사회·경제적, 환경적인 요인 이외에도 체형, 체격 및 건강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8). 선행연구 (6,9)에서는 음주, 흡연, 운동량, 식사형태 및 잘못된 식습관 등을 비만과 관련된 위험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 장애의 한 형태인 기초대사율의 감소가 체중 증가와 비만을 야기하는 위험 인자로 보고되고 있다. 비만인은 정상체중인에 비해 열량 밀도가 높고, 포화지방이 높은 음식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2,10), 이상체중에서 10%체중이 증가하면 cholesterol, triglyceride 등의 혈청지질 농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Kim SK, Kim HJ. 1998. Comparison of the blood lipids, insulin and nutrients intake by fat distribution of obese male in Korea. Korean J Nutr 31: 72-79 

  2. Lee JS, Lee HO, Yim JE, Kim YS, Choue RW. 2005.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change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pattern and blood parameters in over weight or obese women. Korean J Nutr 38: 432-444 

  3.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2005.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it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4. Jang CH, Choi YA, Lee HM, Kim CH, Rho SY, Lim YB, Lee K. 2004. The relation life habits and obesity in taxi drivers Kyungjoo. J DongKook Med 11: 15-20 

  5. Huh KB. 1990. The present status of nutrition-related diseases and its countermeasures. Korean J Nutr 23: 197-207 

  6. Moon HK, Lee HJ, Park Y. 2007.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habits by percent body fat (PBF) change for adult women in the weight control program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2: 477-488 

  7. Lee HS, Lee JA, Paik JJ. 1998. A study of food habit, physic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3: 34-43 

  8. Matuschka P. 1995. Diabetes and 'normal' lifestyle. Am Fam Physician 52: 2001-2012 

  9. Cho KO, Lee HJ. 2007.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obesity indices and dietary factors in adult 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12: 160-167 

  10. Zhang M, Binns CW, Lee AH. 2002. Dietary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of adult women in south-east China: a nutrition study in Zhejiang province. Asia Pac J Clin Nutr 11: 13-21 

  11. Kannel WB, Gordon T. 1979. Physiological and medical concomitant of obesity in America. NIH Publication, Washington, DC. p 125-163 

  12. Monios Y, Magkos F, Christakis G, Kafatos AG. 2005. Changing relationships of obesity and dyslipidemia in Greek children: 1982-2002. Prev Med 41: 846-851 

  13. Chyun JH, Woo KJ, Choe EO. 2000. A study on obesity rate and self-evaluated body shape of woman living in Inch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 361-367 

  14. Lee YN, Choi H.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9: 1-10 

  15. Moses N, Banilivy M, Lifshitz F. 1989. Fear of obesity among adolescent girls. Pediatrics 83: 393-398 

  16.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 83-92 

  17.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 58-66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19. Anuurad E, Shiwaku K, Nogi A, Kitajima K, Enkhmaa B, Shimono K, Yamane Y. 2003. The new BMI criteria for asians by the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region of WHO are suitable for screening of overweight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in elder Japanese workers. J Occup Health 45: 335-343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n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894. WHO, Geneva 

  21. The Obesity Task Force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1998.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The Evidence Report. Obes Res 6: 51S-209S 

  22. Yoon GA. 2004. The relation of educational level and lifestyle behaviors to obesity in adult males. Korean J Nutr 37: 385-393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 

  24. Kim SM, Kim SS, Yoon SJ, Shin KW, Choi HJ, Kim KM, Lee DJ. 1988. What is the best simple anthropometric indexes of abdominal visceral fat in obese patients? J Korean Soc Study Obes 7: 157-168 

  25. Moon SJ, Kim HS, Kim JH, Park GS, You YH. 1995.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on obese women. Korean J Nutr 28: 759-770 

  26. Ahn MS, Chang IY, Kim KH. 2007. Comparisons of UCP2 polymorphism, dietary habits, and obesity index in normal and obes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2: 404-413 

  27. Hong SM, Bak KJ, Jung SH, Oh KW, Hong YA. 1993.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Ulsan city. Korean J Nutr 26: 338-346 

  28. Park YS, Lee YW, Hyun YS. 1995.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y type of residenc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91-404 

  29. Han YS, Joo NM. 2005.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adolescence obesity. Korean J Food Culture 20: 172-185 

  30. Yoo YH, Lee JE, Youm SH, Kim HS. 1997. Analysi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of women with child-bearing experiences and different body fat contents. Korean J Nutr 30: 201-209 

  31. Dreon DM, Frey-Hewitt B, Ellsworth N, Williams PT, Terry RB, Wood PD. 1988. Dietary fat: carbohydrate ratio and obesity in middle-age men. Am J Clic Nutr 47: 995-1000 

  32. Rolland-Cachera MF, Bellisle F. 1986. No correlation between adiposity and food intake: why are working class children fatter. Am J Clic Nutr 44: 779-787 

  33. Kim JY, Moon SJ. 1990.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3: 309-316 

  34. Kwon JS. 1993. Effects of a short peri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dietary intak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the different adiposity index. Korean J Dietary Culture 8: 321-330 

  35. Chung CE. 2006. Ready-to eat cereal consumption enhances milk and calcium intake in Korean population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 786-794 

  36. Bryant RJ, Cadogan J, Weaver CM. 1999. The new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implications for osteoporosis. J Am Coll Nutr 18: 406S-412S 

  37. Kim CS, Hong HO, Lee JS, Kim JY, Maeng WJ. 2007. A study on nutrient intake status and food sources of iron by dietary of high school girls in Seoul. Korean J Nutr 40: 371-384 

  38. Chang SA, Kim HS, Yoon KH, Ko SH, Kwon HS, Kim SR, Lee WC, Yoo SJ, Son HS, Cha BY, Lee KW, Son HY, Kang SK. 2004. Body mass index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for the degree of insulin resistance in non-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in Korea. Metabolism 53: 142-146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797. WHO, Geneva 

  40. Lee CK. 1987. Thesis for establishing of blood biochemical standard in Korean.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p 388-389 

  41. Kim SY, Yoon JS, Cha BG. 1992. Relationship among body fat distribution, adiposity, fasting serum insulin and lipids in adult female. Korean J Nutr 25: 221-232 

  42. Kang HS. 2003. Study on the effect of resistive training program on the iron content and serum lipid immunity of middle-aged women. J Sport Leisure Studies 19: 1047-1056 

  43. Seo HK, Lee SW, Na JC, Kang SB, Kim JM. 1999. The effect muscle endurance weight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and lipoprotein in middle-aged women. Korean Soc Sport Med 17: 224-234 

  44. Choi SH, Jo MW, Shin DS. 2004. Effect of the 8-week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serum hormone profiles and feeding patterns of obese females. Korean J Nutr 37: 888-898 

  45. Kim NH, Kim JM, Kim HS, Chang NS. 2007. Effect of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on fat mass and blood lipid profile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Korean J Nutr 40: 162-171 

  46. Davidson MH, Hauptman J, Difirolamo M. 1999. Weight control and risk factor reduction in obese subjects treated for 2 years with orlista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67: 968-977 

  47. Lee JH, Chae JS, Koh SJ, Kang SM, Choi DH, Jang YS. 2003. Caloric restrictions vs testosterone treatment: the effect on body fat distribution and serum lipid levels in overweight male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J Nutr 36: 924-932 

  48. Wood D, Stefanick WL, Dreon DM. 1988. Change in plasma lipids and lipoproteins in overweight men during weight loss through dieting as compared with exercise. N Engl J Med 319: 1173-1179 

  49. Moon SJ, Lee EK, Jeon HJ, Ko BK. 1993. A study on effect of exercise-training on body fat distribution and serum lipids. Korean J Nutr 26: 47-55 

  50. Schmidt SB, Wasserman AG, Muesing RA, Schlesselman SE, Larosa JC, Ross AM. 1985. Lipoprotein and apolipoprotein levels in angiographically defined coronary atherosclerosis. Am J Cardiol 55: 1459-1462 

  51. Van Gaal L, Vansant G, Van Campenhout G, Lepoutre L, De Leeuw I. 1989. Apolipoprotein concentrations in obese subjects with upper and lower body fat mass distribution. Int J Obes 13: 225-263 

  52. Haffner SM, Fong D, Hazuda HP, Pugh JA, Patterson JK. 1988. Hyperinsulinemia, upper body adipo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non-diabetics. Metab 37: 338-3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